목차
1. 결혼의 중요성
a. 배우자를 만나기 위한 준비
b. 배필의 선택 기준
2. 가정에 대한 일반적 이해
a. 가족의 기능
b. 가족의 본질과 특성
3. 성경적 가정과 가족의 개념
a. 구약의 가족 개념
b. 신약의 가족 개념
4. 성경적 가정의 본질
a. 언약공동체
b. 언약교육의 장
5. 성경적 가정의 구조
6. 성경적 가정의 역할
a. 남편과 아버지의 역할
b. 아내와 어머니의 역할
c. 자녀의 역할
참고 자료
a. 배우자를 만나기 위한 준비
b. 배필의 선택 기준
2. 가정에 대한 일반적 이해
a. 가족의 기능
b. 가족의 본질과 특성
3. 성경적 가정과 가족의 개념
a. 구약의 가족 개념
b. 신약의 가족 개념
4. 성경적 가정의 본질
a. 언약공동체
b. 언약교육의 장
5. 성경적 가정의 구조
6. 성경적 가정의 역할
a. 남편과 아버지의 역할
b. 아내와 어머니의 역할
c. 자녀의 역할
참고 자료
본문내용
나님께 위임받은 권위로 언약의 자녀로 양육할 책임을 갖게 되고, 자녀는 언약의 가정 안에서 사랑과 순종으로 양육될 특권을 부여받는다.
도예베르트는 결혼이 신뢰에 기초를 두어야 함을 말하며, 부모와 자녀들 사이의 도덕적 사랑과 신뢰의 관계를 강조한다.
조성국은 성경적 가정의 독특성과 가정 고유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가정이 다른 관계 구조들(국가, 교회, 학교 등)과 다른 고유한 독특성은 가정이 혈연에 기초한 생물학적 차원에 뿌리를 두고 있고, 또 사랑의 공동체로 윤리적 차원에서 찾을 수 있다. 가정이 사랑의 유대를 형성하여 지속된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법을 순종하고 하나님이 의도하시는 가정의 본질적 의의를 잘 발휘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정의 고유한 구조와 본질이 보여주는 핵심적 과제는 사랑 받고 사랑할 줄 아는 인간됨의 기초와 사랑을 실천하는 좋은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6. 성경적 가정의 역할
a. 남편과 아버지의 역할
그리스도께서 교회의 머리되심을 비유로 남편이 아내의 머리가 된다. 이것은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위하여 자기 몸을 내어줌과 같이 희생적인 사랑과 수고로 아내에게 헌신할 책임이 있음을 말한다. 성경은 남편이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아서 사랑과 섬김의 정신으로 머리된 지도력을 행사해야 된다고 가르친다(빌2:5-11, 마20:28). 가장은 가족을 재정적으로 섬기는 책임을 져야하며, 자기 가족을 지배하려 해서는 안 된다. 가장으로서의 남편은 직장 일 때문에 아내와 자녀의 영적 지도를 소홀히 해서도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딤전3:4, 벨전3:7, 엡5:28-29). 또한 지속적인 교육과 모범으로 그리스도인의 삶의 모습을 가르치고 이끌고 나가야 하는 책임이 주어져 있다(신6:7, 11:19; 엡6:4; 시34:11, 78:5-6).
b. 아내와 어머니의 역할
성경은 가정에서의 아내의 역할을 교회가 그리스도에게 복종하듯 사랑과 순종으로 남편에게 복종할 것을 가르치고 있다(엠5:22, 24, 골3:18). 아내는 남편에게 유순하고 존경하는 마음으로 순복할 것을 말씀하신다(벤전3:1-5).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여자는 생육하고 번성하는 책임을 부여받았다. 따라서 해산의 수고를 통해 자녀를 양육하고, 가정을 열심을 가지고 돌보아야 한다(딤전5:10. 14, 딛2:4-5, 잠 31:10-30).
c. 자녀의 역할
현대 사회의 가치관 혼란 속에서 자녀의 불순종이 만연된 시대이지만, 성경의 가르침은 부모에게 온전한 순종을 가르치고 있다. 순종의 삶이 하나님의 약속된 복을 얻는 삶의 비결이 되기 때문이다. 순종과 함께 부모 공경에 대한 명령과 축복을 약속 하셨다. 그러나 하나님의 뜻 안에서의 순종임을 말씀하신다(엡6:1-3, 골3:20).
참고문헌
박신경 저, 기독교 유아교육,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8
총신대학교 부속유치원 저, 기독교 유아교육의 통합교육과정, 학지사 2004
재닛 고크로저 저, 발달 과정에 따른 영유아 신앙교육, 생명의말씀사 2008
정희영 저, 기독교 유아교육론, 교육과학사 2004
도예베르트는 결혼이 신뢰에 기초를 두어야 함을 말하며, 부모와 자녀들 사이의 도덕적 사랑과 신뢰의 관계를 강조한다.
조성국은 성경적 가정의 독특성과 가정 고유의 의의를 다음과 같이 말한다. 가정이 다른 관계 구조들(국가, 교회, 학교 등)과 다른 고유한 독특성은 가정이 혈연에 기초한 생물학적 차원에 뿌리를 두고 있고, 또 사랑의 공동체로 윤리적 차원에서 찾을 수 있다. 가정이 사랑의 유대를 형성하여 지속된다면 그것은 하나님의 법을 순종하고 하나님이 의도하시는 가정의 본질적 의의를 잘 발휘하는 것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러므로 가정의 고유한 구조와 본질이 보여주는 핵심적 과제는 사랑 받고 사랑할 줄 아는 인간됨의 기초와 사랑을 실천하는 좋은 습관을 형성하는 것이다.
6. 성경적 가정의 역할
a. 남편과 아버지의 역할
그리스도께서 교회의 머리되심을 비유로 남편이 아내의 머리가 된다. 이것은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위하여 자기 몸을 내어줌과 같이 희생적인 사랑과 수고로 아내에게 헌신할 책임이 있음을 말한다. 성경은 남편이 예수 그리스도를 본받아서 사랑과 섬김의 정신으로 머리된 지도력을 행사해야 된다고 가르친다(빌2:5-11, 마20:28). 가장은 가족을 재정적으로 섬기는 책임을 져야하며, 자기 가족을 지배하려 해서는 안 된다. 가장으로서의 남편은 직장 일 때문에 아내와 자녀의 영적 지도를 소홀히 해서도 안 된다고 말하고 있다(딤전3:4, 벨전3:7, 엡5:28-29). 또한 지속적인 교육과 모범으로 그리스도인의 삶의 모습을 가르치고 이끌고 나가야 하는 책임이 주어져 있다(신6:7, 11:19; 엡6:4; 시34:11, 78:5-6).
b. 아내와 어머니의 역할
성경은 가정에서의 아내의 역할을 교회가 그리스도에게 복종하듯 사랑과 순종으로 남편에게 복종할 것을 가르치고 있다(엠5:22, 24, 골3:18). 아내는 남편에게 유순하고 존경하는 마음으로 순복할 것을 말씀하신다(벤전3:1-5). 그리고 하나님의 말씀을 따라 여자는 생육하고 번성하는 책임을 부여받았다. 따라서 해산의 수고를 통해 자녀를 양육하고, 가정을 열심을 가지고 돌보아야 한다(딤전5:10. 14, 딛2:4-5, 잠 31:10-30).
c. 자녀의 역할
현대 사회의 가치관 혼란 속에서 자녀의 불순종이 만연된 시대이지만, 성경의 가르침은 부모에게 온전한 순종을 가르치고 있다. 순종의 삶이 하나님의 약속된 복을 얻는 삶의 비결이 되기 때문이다. 순종과 함께 부모 공경에 대한 명령과 축복을 약속 하셨다. 그러나 하나님의 뜻 안에서의 순종임을 말씀하신다(엡6:1-3, 골3:20).
참고문헌
박신경 저, 기독교 유아교육, 한국기독교교육학회 2008
총신대학교 부속유치원 저, 기독교 유아교육의 통합교육과정, 학지사 2004
재닛 고크로저 저, 발달 과정에 따른 영유아 신앙교육, 생명의말씀사 2008
정희영 저, 기독교 유아교육론, 교육과학사 2004
키워드
추천자료
돈 크라이 마마에 나타난 남녀의 성 역할
[교육심리학]도덕성 및 성역할 발달에 관한 고찰
PET(pareat afficiency.training)에 대해 설명하고 한국에서 실시하고 있는 부모역할훈련 프...
[부모교육 A형] 영아기 발달 특성과 영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역할에 관하여 논하시오
[기혼여성][기혼여성 성적 자율성][기혼여성 경력단절]기혼여성 역할, 기혼여성 성적 자율성,...
장애유아 통합교육의 필요성 및 교사의 역할과 과제
태아기,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의 발달 중 어떤단계에서 부모역할이 가장 중요한가
[가족복지] 가족 형태 중 맞벌이 가족에서 여성의 사회적 역할 상승에 따른 가정의 권력 관계...
가족관계 속에서 발생하는 인간관계에 대한 개념을 설명하고 가족관계 속의 역할과 권력발생...
맞벌이 부부와 영아의 애착관계 증진을 위한 부모의 역할.
[부모교육] 부모교육 이론 중 적극적 부모역할훈련의 용기와 자기존중감, 책임감, 협동심을...
가족간호 A+ (ⅰ. 가족의 상호작용 1. 가족 역할 2. 가족의 권력 3. 가족의 의사소통 ⅱ. 가족...
[성사랑사회E형] 한국 사회에서 엄마 역할을 하면서 겪게 되는 어려움, 한국사회가 “엄마”들...
방통대중간과제물 성사랑사회 한국 사회에서의 엄마의 역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