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목차
1. 근무성적평정 제도의 의의
2. 근무성적평정 제도의 구성요소와 펴악요소
3. 한국경찰공무원의 근무성적평정
4. 타 기관의 근무성적평정사례
5. 외국의 경찰공무원의 근무성적평정사례
6. 근무성적평정의 신문사례
7. 근무성적평정제도의 개선방안
2. 근무성적평정 제도의 구성요소와 펴악요소
3. 한국경찰공무원의 근무성적평정
4. 타 기관의 근무성적평정사례
5. 외국의 경찰공무원의 근무성적평정사례
6. 근무성적평정의 신문사례
7. 근무성적평정제도의 개선방안
본문내용
1. 근무성적평가제도의 의의
1) 근무성적평정의 개념
조직 구성원의 근무실적, 능력, 성격, 근무태도 및 발전성등을
조직적으로 측정, 파악하여 공정한 인사관리의 기초로 삼으며
나아가서는 행정능률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인사행정기능
2) 근무성적평정의 중요성
⓵ 직원에 대한 공식화된 환류
☞ 근무성적을 통한 부하직원 장단점 확인 및 생산성 향상을 유도
⓶ 교육훈련
☞ 근무성적을 통한 경찰관서 문제점 및 교육훈련 부족 확인
⓷ 전보
☞전문부서(범죄수사,범죄예방) 전보는 근무성적 평점 조사에 중요
⓸ 보상
☞ 근무성적평정은 급여인상에 중요
⓹ 징계
☞ 근무성적평정 점수가 계속 낮게 나오면 징계조치 가능
3) 근무성적평정의 특성
⓵ 직무수행실적, 개인적 특성, 행태의 평가
☞ 사람의 잠재적 능력,동기,성격,적성,흥미를 포함한 개인적 특성, 가시적 형태가 대상
⓶ 판정작용
☞ 사람의 판정이라는 심리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
⓷ 기록
☞근무성적 평정의 결과는 기록을 통해 문서화, 최근에는 컴퓨터로 입력
⓸ 활용
☞ 근무성적평정에는 활용의 목표가 있어야함
4) 근무성적평정제도의 요건
⓵ 타당성
☞ 관련직무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가들이 판단
☞ 판정과정의 운영과정에서도 확보(1인 평정보다 다수가 평정)
⓶ 신뢰성
☞ 평정자의 주관적, 자의적 요소개입 방지
☞ 내적 일관성 확보
⓷ 식별력 / 판별력
☞ 탁월한 사람과 무능한 사람을 뚜렷이 구분
⓸ 수용성
☞ 평정자들의 지지와 평정대상자들의 이해 필요
⓹ 실용성
☞ 평정자나 평정대상자들에게 쉽게 이해되고 단순해야함.
☞ 평정방법중에서는 평정척도법이나 체크리스트법이 실용성이 높음
1) 근무성적평정의 개념
조직 구성원의 근무실적, 능력, 성격, 근무태도 및 발전성등을
조직적으로 측정, 파악하여 공정한 인사관리의 기초로 삼으며
나아가서는 행정능률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는 인사행정기능
2) 근무성적평정의 중요성
⓵ 직원에 대한 공식화된 환류
☞ 근무성적을 통한 부하직원 장단점 확인 및 생산성 향상을 유도
⓶ 교육훈련
☞ 근무성적을 통한 경찰관서 문제점 및 교육훈련 부족 확인
⓷ 전보
☞전문부서(범죄수사,범죄예방) 전보는 근무성적 평점 조사에 중요
⓸ 보상
☞ 근무성적평정은 급여인상에 중요
⓹ 징계
☞ 근무성적평정 점수가 계속 낮게 나오면 징계조치 가능
3) 근무성적평정의 특성
⓵ 직무수행실적, 개인적 특성, 행태의 평가
☞ 사람의 잠재적 능력,동기,성격,적성,흥미를 포함한 개인적 특성, 가시적 형태가 대상
⓶ 판정작용
☞ 사람의 판정이라는 심리적 과정을 통해 이루어짐
⓷ 기록
☞근무성적 평정의 결과는 기록을 통해 문서화, 최근에는 컴퓨터로 입력
⓸ 활용
☞ 근무성적평정에는 활용의 목표가 있어야함
4) 근무성적평정제도의 요건
⓵ 타당성
☞ 관련직무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가들이 판단
☞ 판정과정의 운영과정에서도 확보(1인 평정보다 다수가 평정)
⓶ 신뢰성
☞ 평정자의 주관적, 자의적 요소개입 방지
☞ 내적 일관성 확보
⓷ 식별력 / 판별력
☞ 탁월한 사람과 무능한 사람을 뚜렷이 구분
⓸ 수용성
☞ 평정자들의 지지와 평정대상자들의 이해 필요
⓹ 실용성
☞ 평정자나 평정대상자들에게 쉽게 이해되고 단순해야함.
☞ 평정방법중에서는 평정척도법이나 체크리스트법이 실용성이 높음
추천자료
우리 나라 공무원
교육평가제도
교원평가제의 문제점과 발전방향
교원평가제도의 도입 배경과 추진 과정 및 외국의 시사점 & 전망과 제언
아동성학대 개념과 실태 그리고 대응방안
[교사론 A+]학교조직과 교사
[교육행정] 학교조직과 교사
여성복지
우리나라 공무원 평가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교원평가제
교원평가제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한 고찰
교원평가제(교원평가제도)에 대한 이론, 새로운 교원평가제(교원평가제도) 도입, 새로운 교원...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개념과 필요성, 교원평가제도(교사평가제도)의 전제조건과 영...
교원평가(교사평가)의 가치, 교원평가(교사평가)의 목적, 교원평가(교사평가)의 전제조건, 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