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간호&재활간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급간호&재활간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이저 치료가 포함된다.
⑤ 마사지 : 손을 이용하여 마비근육의 혈액순환 증진, 경축근육의 정상 근 길이 회복 등의 효과를 일으킨다.
⑥ 운동치료 : 근력강화, 관절가동범위의 증진, 구력강화 등이 목적이다. 종류는 능동적 운동, 수동적 운동, 능동적 보조운동, 저항운동, 신장운동이 있고, 근수축의 양상에 따라 등척성 운동 등장성 운동, 등속성 운동으로 구분한다.
운동의 효과는 운동 시 심박출량 증가, 심근의 산소요구량 증가, 폐확산 기능 증가, 지방산의 산화 증가, 체중 감소 등이 있다.
⑸ 합병증예방
재활기간동안 대사자는 부동의 합병증에 노출되기 쉽다. 재활간호와 관련된 ROM은 손가락, 손, 발가락 등 모든 관절을 함께 움직여야 하며, 각 관절마다 적어도 다섯 번씩 관절범위운동을 시키고 이 과정을 매일 3회씩 실시해야 한다.
2. 자가 간호 결핍
ADL 또는 자가 간호활동은 식사, 목욕하기, 옷 입기, 대소변 보기 등을 포함한다.
⑴ 보존/적응장치의 사용
대상자의 독립적 활동을 돕기 위해 손에 끼우는 면도기, 손바닥에 끼워 쓰는 빗 등을 사용하도록 한다.
⑵ 에너지 보존
대상자가 아침에 에너지 수준이 높다면 에너지가 필요한 활동은 아침에 계획해야 한다. 활동을 분산시키는 것은 에너지 보존에 유용하다.
3. 피부통합성 손상위험
⑴ 체위변경
매 2시간마다 대사자를 돌려 눕히고 체위를 변경시켜 준다. 뼈 부위의 압력을 감소시킬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을 선택한다.
⑵ 피부간호
체위변경을 하거나 목욕할 때마다 피부간호를 해준다. 더러운 부위를 청결하게 하고, 건조시키며 로션을 발라준다.
⑶ 영양
충분한 영양은 상처를 치료하고 욕창을 예방한다. 충분한 단백질과 탄수화물을 섭취한다.
⑷ 기계적 장치
압력 제거장치에는 물침대, 젤 매트리스, 공기 매트리스 등이 있다. 기계적 장치를 사용하더라도 체위변경은 필요하다.
4. 배뇨장애
⑴ 방광훈련
- 촉진 또는 자극기법 : 대퇴 안쪽 쓰다듬기, 음모 잡아당기기, 손가락 항문 자극 등을 포함한다. 배뇨를 촉진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법은 Valsalva 기법(배변 볼 때처럼 숨을 멈추고 힘을 주도록)과 Crede 기법(손으로 방광을 마사지하는 것처럼 아래로 누르는 것)이 있다.
- 간헐적인 도뇨 : 처음에는 매 2~3시간 마다 카테터를 삽입하고 점차 삽입 간격을 늘린다. 대상자가 퇴원하여 자가 카테터 삽입을 할 수 있다면 간호사는 멸균이 아닌 청결기법을 가르쳐야 한다.
- 배뇨 스케줄 : 배뇨양상을 사정하고 대상자의 1일 계획을 세운다.
⑵ 약물요법
배뇨문제에 사용하는 약물은 콜린성 제제(Bethanechol chloride), 항경련제(Ditropan), 근육이완제(Dantrium) 등이다. 콜린성 제제는 이완성 방광의 결과인 소변정체를 감소시킨다.
⑶ 수분섭취
적어도 하루 2000~2500ml의 적절한 수분을 섭취하도록 가르친다. 소변의 산성화를 증가시킬 수 있는 cranberry 주스, 토마토 주스, 물 등의 섭취를 권장한다. 알칼리 소변을 증가시키는 과도한 우유, 유제품은 억제한다.
5. 변비
⑴ 배변훈련 : 장배설 스케줄을 작성한다.
⑵ 약물요법 : Bisacodyl(Dulcolax)과 glycerin은 일반적으로 처방되는 좌약이다.
⑶ 영양 및 합병증 예방
고섬유성 식이(곡물류, 겨, 신선하고 말린 과일류)를 섭취하도록 한다. 변비, 설사, 고창은 배변훈련 프로그램에서 발생하는 일반적인 합병증이다.
6. 비효과적 대응
간호사는 대상자가 자신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도록 격려해 주고, 대상자의 장애에 대한 수용 정도와 대응 능력을 사정하는데 도움이 되는 정보를 얻는다.
지역사회 기반 재활간호
1. 가정간호관리
⑴ 퇴원 전 사정
퇴원 전 작업치료사 또는 사례관리자는 가정을 방문하여 욕실, 침실, 부엌 등 전반적인 가정의 편의성에 대해 사정한다.
⑵ 퇴원 전 가정방문
대상자의 가정을 사정하는 방법으로 LOA(leave-of-absence visit)란 대상자가 퇴원 전에 잠시 자신의 집에서 지내보는 것이다. 가정방문 후, 대상자는 최종 퇴원 전에 추가적인 훈련의 필요성을 사정하기 위해 면담을 한다.
2. 건강교육
대상자의 학습 잠재력과 인지 능력을 사정하여 교육한다. 모든 장애는 신체상의 변화를 가져오는데 간호사는 감정의 표현을 권장함으로써 대처할 수 있도록 도와주고 장애보다는 현존하는 가능성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중요하다. 가정으로 퇴원 후, 다양한 건강관리자원(물리치료, 가정간호, 직업상담)을 이용하도록 해준다.
  • 가격1,3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2.19
  • 저작시기2014.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052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