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리실험] 04장. 자기력 측정 (결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물리실험] 04장. 자기력 측정 (결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5. 실험결과
6. 결과 분석
7. 토의 및 건의사항

본문내용

앞의 실험에서 생각해 볼 점을 말해보자. 앞의 실험에서 자석을 6개 즉 최대개수를 붙이고 실험 한 것은 자기장의 세기가 클수록 힘이 강하기 때문에 실험 결과가 훨씬 좋게 나왔을 것이다.
이번 실험에서 오차의 원인이라고 할 것은 거의 없었던 편이다. 각도에 따른 힘의 변화를 따질 때 이것은 매우 미세한 변화로 정확한 그래프를 얻으려면 유효숫자가 더 높게 잡혀서 정확한 실험을 해야한다는 생각을 하였는데 이는 질량이 더 정확히 재어져야하는 것이므로 저울을 더 좋은 것으로 바꿔야한다는 말이다.
또 생각해볼 때, 이번 실험은 자기장의 세기를 자석의 개수로만 조절을 하여서 자기장의 세기를 몰랐는데 자기장의 세기도 알 수 있는 방법으로 실험하면 얻어진 힘의 값을 실제로 도선의 길이, 자기장의 세기, 사인세타, 전류의 세기를 모두 곱한 것으로 비교해보아 힘의 식을 정확히 등호로 표시하는 실험도 할 수 있어서 더 좋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3. 참고문헌
(1) Young & Freedman University Physics 13th edition
(2) 일반 물리학 실험실 http://phya.yonsei.ac.kr/~phylab/
(3) 두산 세계 대백과사전 EnCyber
문제
1. 도선의 길이에 해당하는 부분은 자기장이 도선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부분이다. 그러면 가장 아랫쪽에 있는 부분이 된다. 즉 꺾인 부분에서 가로로 있는 맨 밑의 부분을 말하는 것이다.
2. 전류의 흐름과 자기장의 방향을 생각해보면, 전류의 흐름으로 인해 발생하는 자기장은 오른나사의 법칙에 따라 발생한다. 그러면 자기장의 밀도가 밀한 곳과 소한 곳이 생기게 되고 전선은 소한 곳의 방향으로 힘을 받게 된다. 즉 전자저울에 나타나는 힘의 방향을 나타내는 부호는 오른나사의 법칙과 정확히 일치한다. 만약 그렇지 않게 나타난다면 아마 부호(힘의 방향)만 반대로 나타나는 것일 것이다. 전류의 흐름이나 자기장의 방향 둘 중 하나가
반대로 되어 있으면 힘을 반대 방향으로 받기 때문이다. 만약 두 요소가 모두 반대로 되어있으면 힘은 같은 방향으로 받는다.
3. 플레밍의 왼손 법칙은 전자기력의 방향을 정하는 방법이다. 도선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을 알 때 도선이 받는 힘의 방향을 찾을 때 사용한다. 플레밍의 오른손 법칙은 전자기 유도에 의한 유도전류의 방향을 찾을 때 사용한다. 즉 도선의 운동 방향과 자기장의 방향을 알 때 유도전류의 방향을 찾아낼 수 있다.
전동기는 전자기력을 이용한 것이다. 전류가 자기장 속에서 받는 힘을 이용하여 전기 에너지를 기계적인 일로 바꾸는 장치를 전동기라 한다. 자기장에 각 변이 코일인 직사각형이 있고 정류자를 통하여 직류 전류를 흘리면 코일의 두 변에 힘이 작용한다. 이 힘은 코일을 회전시키려는 짝힘으로서 코일에 토크가 생기게 하여 항상 일정한 방향의 회전력을 얻게 한다.
발전기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한 것이다. 강력한 자석 안에 코일을 감은 도체를 넣어 회전시키게 한다. 그러면 안에 있는 코일의 운동으로 인하여 기전력이 생기게 된다.
  • 가격13,86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4.01
  • 저작시기2014.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095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