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교육체제의 발전 .ppt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교육체제의 발전 .ppt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한국교육체제의 발전

1.조선의 교육체제
2.조선의 과거제도

본문내용

한국교육체제의 발전 (한국교육체제 조선후기, 한국교육체제 강제시비, 조선시대사회교육교화, 조선사대부유학교육과, 수기치인추구, 성리학경전교육강화, 조선의교육, 한국교육체제, 한국교육체제 발전).ppt


한국교육체제의 발전

1.조선의 교육체제
2.조선의 과거제도




조선의 교육사적 과업

▇ 교육기회의 실질적 확대
▇ 백성들에게 유학적 가치관의 보급
▇ 성리학적 교육 체제의 구축: 불교를 배척하고, 사장학 중심의 교육 풍토를 개선
▇ 공정한 관료 선발의 실시




조선 전기의 학교 체제(임란전)

▇ 관학 : 공교육
 - 중앙: 성균관(200), 사학(400)
 - 지방: 향교 (329개), 교수 훈도 중 1명씩 파견14,950명

 ≪ 그 림 ≫

▇ 사학: 사교육
 - 서당, 서재, 정사
 - 서원




향교의 교수 훈도 배정

〔도명〕 경기  충청  경상  전라  황해   강원  영안(함경) 평안   계
〔교수〕 11  4   12   8   6  7   13   11     72
〔훈도〕 26  50   55   49  18  19    9   31    257
〔계〕  37  54   67   57   24  26   22   42    329


향교의 생도 정원은 경국대전에 유학생도가 부·대도호부·목에는 90명, 도호부에는 70명, 군 50명, 현 30명으로 정해져 있었다.

   부·대도호부·목    28      2,520명
     도호부       44      3,080명
      군        82      4,100명
      현        175      5,250명
      계        329      14,950명

조선건국시 인구: 554만-1000만명 수준




N. 도회(都會)
▇ 고려 문헌공도의 하과夏課가 도회로 발전된 바 있는데 이를 조선전기에 부활시킴.
▇ 향교 사부학당 생도 중 우수자를 모아 지역 중심지에서 작문과 경학에 대해 학습하고 시험을 치름
▇ 도회기간: 1회 45일 정도, 년2회, 3년 수학, 참가시 소과 초시에 가산점 부여. 우수자에게 소과 복시(2차시) 응시 자격 부여
▇ 조선시대 세종 대 관학교육의 수준을 높이기 위한 조치로 시행.
  • 가격1,4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4.04.08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파워포인트(ppt)
  • 자료번호#91214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