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7
-3
149
12.42
-2
204
17
-1
83
6.92
0
120
10
1
65
5.42
2
56
4.67
3
36
3
4
53
4.42
Total
1,200
100
*점수가 커질수록 통일에 우호적(최대=4 최소=-4)
*전체평균 -1.81
표 2를 참조하면 통일 후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인덱스는 전체평균의 경우 -1.81이다. 남녀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조사자의 경우는 평균이 -1.71 여성조사자의 경우는 평균이 -1.91로 나타났다. 검증①과 마찬가지로 남성이 여성보다 통일에 우호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② 상위 계층일수록 북한에 대해 우호적일 것이다.
검증①
<문제 8번사용>
표3. 통일이 자신에게 이익이 될 것이다.(전체)
성향
조사자수
비율
전혀이익이 아니다(-2)
242
20.17
별로 이익이 아니다(-1)
661
55.08
다소 이익이다(1)
254
21.17
매우 이익이다(2)
43
3.58
Total
1,200
100
*숫자가 커질수록(2) 우호적
*전체평균 -0.67
표 3을 참고하면 ‘통일이 자신에게 이익이 될 것이다’의 전체평균은 -0.67이었다. 상위·중위·하위계층의 계층평균의 경우는 상위계층이 -0.36, 중위계층이 -0.64 하위계층이 -0.84로 나타났다. 상위계층은 전체평균을 상회하는 평균값을 보여줬다. 반면에 계층이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갈수록 평균값은 감소했다.
검증②
<29번문제 사용>
표4. 대북지원에 대한 시민의식 인덱스(전체)
점수
조사자수
비율
-4
13
1.08
-3
17
1.42
-2
114
9.5
-1
212
17.67
0
414
34.5
1
219
18.25
2
145
12.08
3
38
3.17
4
28
2.33
Total
1,200
100
*점수가 커질수록 북한에 대해 우호적(최대=4 최소=-4)
*전체평균 1.47
표4를 참조하면 대북지원에 대해 전체평균은 1.47였다. 각 계층별 차이를 살펴보면 상위계층의 경우 1.79, 중위계층의 경우 1.46, 하위계층의 경우 1.48로 나타났다. 이번 역시 상위계층은 전체평균을 상회하는 결과를 보여줬고 중위·하위계층은 평균에 근접한 결과를 보여줬다.
5. 결론
가설① 남성보다 여성이 통일에 더 우호적인 성향을 보일 것이다.
<문제26번 사용>
표5. 현 정권의 대북정책에 대한 만족도(전체)
만족도
조사자수
비율
매우 불만족(-2)
130
10.83
불만족(-1)
596
49.67
만족(1)
439
36.58
매우 만족(2)
35
2.92
Total
1,200
100
*숫자가 높을수록(2) 현 정권에 대해 우호적이다
*전체평균 -0.29
표 5를 참조하면 대북정책에 대한 전체 만족도는 -0.29이다. 남성과 여성의 만족도 차이를 보면 남성의 만족도는 -0.35이고 여성의 만족도는 -0.23이다. 현 정권을 보수정권이라고 볼 때 남성들은 대북정책에 불만족을 느끼고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만족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남성들을 진보적이라고 볼 때 흔히 진보정권이 북한에 호의적이듯 남성들도 호의적이라고 볼 수 있다.
가설② 상위 계층일수록 북한에 대해 우호적일 것이다.
표6. 한국의 경제상황 만족도(전체)
경제만족도
조사자수
비율
불만족(-1)
830
69.17
만족(1)
351
29.25
매우만족(2)
19
1.58
Total
1,200
100
*숫자가 높을수록(2) 경제상황에 만족
*전체평균 -0.37
표6을 참조하면 현 경제상황에 대한 만족도 전체평균값은 -0.37이다. 계층별로는 상위계층이 0.05, 중위계층이 -0.36, 하위계층이 -0.42로 나타났다. 경제상황의 만족과 북한의 인식에 대한 연관이 있다면 상위계층이 가장 북한에 우호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3
149
12.42
-2
204
17
-1
83
6.92
0
120
10
1
65
5.42
2
56
4.67
3
36
3
4
53
4.42
Total
1,200
100
*점수가 커질수록 통일에 우호적(최대=4 최소=-4)
*전체평균 -1.81
표 2를 참조하면 통일 후 사회문제 해결에 대한 인덱스는 전체평균의 경우 -1.81이다. 남녀의 차이를 살펴보면 남성조사자의 경우는 평균이 -1.71 여성조사자의 경우는 평균이 -1.91로 나타났다. 검증①과 마찬가지로 남성이 여성보다 통일에 우호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② 상위 계층일수록 북한에 대해 우호적일 것이다.
검증①
<문제 8번사용>
표3. 통일이 자신에게 이익이 될 것이다.(전체)
성향
조사자수
비율
전혀이익이 아니다(-2)
242
20.17
별로 이익이 아니다(-1)
661
55.08
다소 이익이다(1)
254
21.17
매우 이익이다(2)
43
3.58
Total
1,200
100
*숫자가 커질수록(2) 우호적
*전체평균 -0.67
표 3을 참고하면 ‘통일이 자신에게 이익이 될 것이다’의 전체평균은 -0.67이었다. 상위·중위·하위계층의 계층평균의 경우는 상위계층이 -0.36, 중위계층이 -0.64 하위계층이 -0.84로 나타났다. 상위계층은 전체평균을 상회하는 평균값을 보여줬다. 반면에 계층이 상위계층에서 하위계층으로 갈수록 평균값은 감소했다.
검증②
<29번문제 사용>
표4. 대북지원에 대한 시민의식 인덱스(전체)
점수
조사자수
비율
-4
13
1.08
-3
17
1.42
-2
114
9.5
-1
212
17.67
0
414
34.5
1
219
18.25
2
145
12.08
3
38
3.17
4
28
2.33
Total
1,200
100
*점수가 커질수록 북한에 대해 우호적(최대=4 최소=-4)
*전체평균 1.47
표4를 참조하면 대북지원에 대해 전체평균은 1.47였다. 각 계층별 차이를 살펴보면 상위계층의 경우 1.79, 중위계층의 경우 1.46, 하위계층의 경우 1.48로 나타났다. 이번 역시 상위계층은 전체평균을 상회하는 결과를 보여줬고 중위·하위계층은 평균에 근접한 결과를 보여줬다.
5. 결론
가설① 남성보다 여성이 통일에 더 우호적인 성향을 보일 것이다.
<문제26번 사용>
표5. 현 정권의 대북정책에 대한 만족도(전체)
만족도
조사자수
비율
매우 불만족(-2)
130
10.83
불만족(-1)
596
49.67
만족(1)
439
36.58
매우 만족(2)
35
2.92
Total
1,200
100
*숫자가 높을수록(2) 현 정권에 대해 우호적이다
*전체평균 -0.29
표 5를 참조하면 대북정책에 대한 전체 만족도는 -0.29이다. 남성과 여성의 만족도 차이를 보면 남성의 만족도는 -0.35이고 여성의 만족도는 -0.23이다. 현 정권을 보수정권이라고 볼 때 남성들은 대북정책에 불만족을 느끼고 여성들은 상대적으로 만족하는 모습을 보여줬다. 남성들을 진보적이라고 볼 때 흔히 진보정권이 북한에 호의적이듯 남성들도 호의적이라고 볼 수 있다.
가설② 상위 계층일수록 북한에 대해 우호적일 것이다.
표6. 한국의 경제상황 만족도(전체)
경제만족도
조사자수
비율
불만족(-1)
830
69.17
만족(1)
351
29.25
매우만족(2)
19
1.58
Total
1,200
100
*숫자가 높을수록(2) 경제상황에 만족
*전체평균 -0.37
표6을 참조하면 현 경제상황에 대한 만족도 전체평균값은 -0.37이다. 계층별로는 상위계층이 0.05, 중위계층이 -0.36, 하위계층이 -0.42로 나타났다. 경제상황의 만족과 북한의 인식에 대한 연관이 있다면 상위계층이 가장 북한에 우호적인 것으로 나타난다.
추천자료
- 남북한 여성의 삶과 여성의 역활
- 국제정치의 변화와 한반도(북핵문제와 통일문제 중심으로)
- 남북분단의 원인과 그 극복 방안- 통일정책비교를 중심으로
- 한반도 통일문제
- [A+평가 레포트]통일 한국의 바람직한 보훈제도 통합방향에 관한 연구 - 이론적 고찰, 통합사...
- 북핵문제 해결방안에 대한 고찰
- 남북연합과 낮은단계 연방제 통일방안에 관한 비교
- [남북외교정책][남북통일외교정책][남북관계][대북정책][남북통일]남북외교정책의 주요 시책...
- 통일을 위한 준비
- [통일교육][남북통일교육][남북통일][통일]통일교육의 개념, 통일교육의 중요성, 통일교육의 ...
- 사회문제론E형 한국전쟁이나 냉전 혹은 분단은 개인의삶에는 어떤영향을 미치고있으며 사회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