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1.1 과제의 필요성 및 중요성
1.2 문제 정의 및 설계 목표
2. 설계 내용
2.1 개념 설계
2.2 모순 도출
2.3 문제 해결 대안
1.1 과제의 필요성 및 중요성
1.2 문제 정의 및 설계 목표
2. 설계 내용
2.1 개념 설계
2.2 모순 도출
2.3 문제 해결 대안
본문내용
/ P0 = e -Et/Q
S: 세균의 생존율
P, P0: 자외선조사 후와 조사 전 세균수
E: 유효조사조도, t: 조사시간
Q=S를 1/e=36.8%로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조사량(유효조사조도와 조사시간)
이 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종 세균의 살균효과는 유효조사조도와 조사시간의 곱(조사량)에 의해 정해진다. 자외선에 의한 미생물 살균효과는 세균, 곰팡이, 효모에 따라 다르고 같은 세균이라도 균종, 균주에 따라 달라진다. 이질균, 대장균은 비교적 적은 조사량으로 사멸하지만 Bacillus의 포자는 22,000μ w sec/cm2의 선량을 필요로 한다. 흑곰팡이는 330,000μ wsec/cm2, 포도주 효모는 13,200μ wsec/cm2의 조사량에 의해서 완전히 사멸한다.
자외선 살균의 특징
- 모든 살균에 유효하다.
- 피조사물(被照射物)에 거의 변화를 주지 않음.
- 조사받은 균에 내성을 주지 않음.
- 사용방법이 간단하다.
- 사람이 방에 있는 그대로 살균을 할 수 있다.
- 살균효과는 조사 중에 한하며 잔존하지 않는다.
- 공기, 물의 살균에 가장 적합하다.
- 자외선은 눈 또는 피부에 다소 유해하기 때문에 안전상 주의를 필요로 한다.
S: 세균의 생존율
P, P0: 자외선조사 후와 조사 전 세균수
E: 유효조사조도, t: 조사시간
Q=S를 1/e=36.8%로 감소시키는 데 필요한 조사량(유효조사조도와 조사시간)
이 식에서도 알 수 있듯이 각종 세균의 살균효과는 유효조사조도와 조사시간의 곱(조사량)에 의해 정해진다. 자외선에 의한 미생물 살균효과는 세균, 곰팡이, 효모에 따라 다르고 같은 세균이라도 균종, 균주에 따라 달라진다. 이질균, 대장균은 비교적 적은 조사량으로 사멸하지만 Bacillus의 포자는 22,000μ w sec/cm2의 선량을 필요로 한다. 흑곰팡이는 330,000μ wsec/cm2, 포도주 효모는 13,200μ wsec/cm2의 조사량에 의해서 완전히 사멸한다.
자외선 살균의 특징
- 모든 살균에 유효하다.
- 피조사물(被照射物)에 거의 변화를 주지 않음.
- 조사받은 균에 내성을 주지 않음.
- 사용방법이 간단하다.
- 사람이 방에 있는 그대로 살균을 할 수 있다.
- 살균효과는 조사 중에 한하며 잔존하지 않는다.
- 공기, 물의 살균에 가장 적합하다.
- 자외선은 눈 또는 피부에 다소 유해하기 때문에 안전상 주의를 필요로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