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아놀이 중 쌓기 놀이와 공간 개념형성 및 발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유아놀이 중 쌓기 놀이와 공간 개념형성 및 발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目 次
1. 쌓기 놀이의 중요성

2. 공간개념 형성 및 발달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획득되어 개방적 모양과 폐쇄적 모양을 구별하게 되는 공간개념 발달의 초기 단계이다. Brody는 블록을 수평적 또는 수직적으로 한 개씩 놓아봄으로써 통해 유아에게 근접, 분리, 순서의 개념 즉 위상적 공간개념을 획득하게 도와준다고 하였다. 사영적 공간개념은 몇 개의 물체를 개인의 관점과 관련지어 서로 결합시킬 수 있는 단계이다. 사영적 공간 개념 형성에 따라 유아에게 각도를 달리하여 찍은 동일 물체의 사진을 제시하면 그 물체의 전체적인 구조를 인지할 수 있다. 즉 사물을 옆이나 앞에서 보는 것과 같이 장소, 위치에 따라 그 사물이 달라 보임을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유클리드적 공간개념은 평행, 각도, 비율 등의 개념을 기초로 하여 참조체제와 수평-수직의 조정축을 사용하여 형성된다. 유클리드적 공간개념은 기하학과 밀접하게 연결되어서 유아는 거리, 길이, 각도, 면적, 부피와 같은 개념을 점차적으로 습득하여 우리가 생활하는 1,2,3차원 공간의 양적 표상 Reife은 이러한 공간개념 발달이 블록을 이용한 쌓기 놀이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블록을 가지고 어떻게 배열 하는가 봄으로써 유아의 공간적 개념과 여러 인지 발달 면을 이해할 수 있게 되고 공간적 관계인 안, 밖, 꼭대기, 뒤, 옆 등의 공간적 개념들을 습득한다는 것이다. 3세 유아를 대상으로 블록구성과 공간개념발달과의 관계를 연구한 Johonson역시 유아가 블록으로 수평적, 수직적 형태를 만들어보는 것은 상, 하, 좌, 우 등의 투시적 공간관계를 터득하도록 도와주며 다리를 놓고 울타리를 만드는 쌓기 놀이는 내부공간과 외부 공간 개념을 발달시킨다고 하였다.
유아의 블록구성과 공간개념 형성 및 발달의 관계를 종합해 보면 쌓기 놀이영역에서의 블록 구성 놀이는 공간과 공간의 관계에 대한 많은 학습 기회를 제공하여 블록으로 건물이나 도로와 같은 공간을 상징적으로 묘사할 때 그 유아는 공간과 공간의 관계를 인식하고 활용하게 된다. 따라서 공간 개념이 형성되는 중요한 단계인 유아기에 쌓기 놀이를 통해 직접 조작해 보고 그들이 접하는 환경 속에서의 경험을 반영하여 여러 형태의 모양을 만들거나 공간을 구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갖도록 함으로써 공간개념 형성 및 발달을 증진시킬 수 있다.
참고문헌
- 쌓기놀이에서 블록을 이용한 공간표상활동이 유아의 지도 이해능력에 미치는 영향 (김민자 저,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2005.8)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4.23
  • 저작시기2014.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486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