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훈민정음으로 쓰여진 용비어천가는 조선 세종 때 지은 악장의 하나이다. 10권 5책. 1445년(세종 27) 4월에 편찬되어 1447년(세종 29) 5월에 간행된, 조선왕조의 창업을 송영(頌詠)한 노래이다. 모두 125장에 달하는 서사시로서, 한글로 엮은 책으로는 한국 최초의 것이다. 조선 건국의 유래가 길고 오래되었음과 조상의 성덕을 찬송하고, 태조(太祖)의 창업이 천명에 따른 것임을 밝힌 다음 후세의 왕들에게 경계하여 자손의 보수(保守)와 영창(永昌)을 비는 뜻으로 이루어져 있다.
추천자료
용비어천가 - 장르문제를 중심으로
한글창제에 관한 고찰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중간 3단원 판단하며 읽기 기출문제(교사용)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기말 3단원 02 판단하며 읽기 기출문제
[과외]중학 국어 1-2학기 기말 예상문제 02
한글의 우수성
한글창제, 무엇 때문이었을까
현대국어와 15세기 국어의 문법체계 대비
‘국문’의 창제 및 전파를 통하여 알 수 있는 선조들의 애민정신과 근대성지향
문중양의 우리역사 과학기행 요악본
문자창제 (하제문)
[언어의이해 C형] 한글의 창제에 대해 간략히 기술 - 방통대 중간과제물 한글창제
[방송대] 방통대 언어의 이해 A형 한글의 창제 원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