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공급
Ⅰ. 공급의 법칙
Ⅱ. 공급곡선
Ⅲ. 공급의 결정요인
Ⅳ. 공급의 변화
1. 생산기술과 생산요소의 가격
2. 다른 재화의 가격
3. 미래 가격에 대한 기대
4. 시장에서의 공급자수
Ⅴ. 공급량의 변화
Ⅰ. 공급의 법칙
Ⅱ. 공급곡선
Ⅲ. 공급의 결정요인
Ⅳ. 공급의 변화
1. 생산기술과 생산요소의 가격
2. 다른 재화의 가격
3. 미래 가격에 대한 기대
4. 시장에서의 공급자수
Ⅴ. 공급량의 변화
본문내용
리를 생산하고 있는 농가의 경우 보리가격이 하락하면 모든 가격수준에 대응하여 밀의 공급량을 증가시킬 것이다.
(3) 미래 가격에 대한 기대
생산자는 누구나 자기가 생산하고 있는 재화의 가격이 앞으로 어떻게 변할 것인가를 생각해 볼 것이다. 그러므로 장래에 성립될 가격에 대한 기대는 현재 생산자의 공급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생산자가 앞으로 가격이 상승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하더라도 그 계화의 현재 공급 상태가 어떻게 변할 것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앞에서 예로 들었던 농가의 경우에 밀 값이 상승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하자. 밀 값이 상승될 것으로 기대되므로 이 농가는 추수한 밀의 일부를 저장했다가 가격이 올랐을 때 팔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현재 시장에서의 밀 공급은 감소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제조업자들은 앞으로 가격상승이 예상되면 생산을 확장시킴으로써 공급을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4) 시장에서의 공급자수
모든 기업의 조업도가 일정할 경우 공급자(기업)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상품의 시장공급은 증가될 것이다. 그러므로 어떤 산업에 새로운 기업이 참여하면 그에 따라 그 산업의 공급곡선은 오른 족으로 이동될 것이고, 반대로 생산에 참여하고 있던 기업이 그 산업을 떠나면 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될 것이다.
5) 공급량의 변화
수요의 변화와 수요량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공급의 변화와 공급량의 변화도 구별된다. 공급의 변화(change in supply)는 공급곡선 자체의 이동을 가리킨다.
공급이 증가할 경우 공급곡선은 오른 쪽으로 이동되며, 공급의 감소는 공급곡선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공급의 변화는 상기한 공급결정요인들 가운데 어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변화로 일어나게 된다. 이에 반하여 공급량의 변화(change in quantity supplied)는 공급곡선상에서의 공급점이 어느 한 점으로부터 다른 한 점으로 이동됨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공급량의 변화요인은 그 상품의 가격변화인 것이다. 위 표에서 달걀의 가격이 100원으로부터 80원으로 하락할 경우 달걀의 공급량은 12 000게로부터 10,000개로 감소된다.
위 그래프를 통하여 공급의 변화와 공급량의 변화를 구별해 보자. 공급곡선이 S1S1으로부터 S2S2 혹은 S3S3로 이동하는 것은 공급의 변화를 가리키고, 공급곡선 S1S1상에서 공급점이 a로부터 b로 이동하는 것은 공급량의 변화를 말하는 것이다.
(3) 미래 가격에 대한 기대
생산자는 누구나 자기가 생산하고 있는 재화의 가격이 앞으로 어떻게 변할 것인가를 생각해 볼 것이다. 그러므로 장래에 성립될 가격에 대한 기대는 현재 생산자의 공급결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러나 생산자가 앞으로 가격이 상승될 것이라고 예상한다. 하더라도 그 계화의 현재 공급 상태가 어떻게 변할 것이라고 단언할 수는 없다. 앞에서 예로 들었던 농가의 경우에 밀 값이 상승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하자. 밀 값이 상승될 것으로 기대되므로 이 농가는 추수한 밀의 일부를 저장했다가 가격이 올랐을 때 팔려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현재 시장에서의 밀 공급은 감소될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경우 제조업자들은 앞으로 가격상승이 예상되면 생산을 확장시킴으로써 공급을 증가시키게 될 것이다.
(4) 시장에서의 공급자수
모든 기업의 조업도가 일정할 경우 공급자(기업)의 수가 많으면 많을수록 그 상품의 시장공급은 증가될 것이다. 그러므로 어떤 산업에 새로운 기업이 참여하면 그에 따라 그 산업의 공급곡선은 오른 족으로 이동될 것이고, 반대로 생산에 참여하고 있던 기업이 그 산업을 떠나면 공급곡선은 왼쪽으로 이동될 것이다.
5) 공급량의 변화
수요의 변화와 수요량의 변화와 마찬가지로 공급의 변화와 공급량의 변화도 구별된다. 공급의 변화(change in supply)는 공급곡선 자체의 이동을 가리킨다.
공급이 증가할 경우 공급곡선은 오른 쪽으로 이동되며, 공급의 감소는 공급곡선을 왼쪽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은 공급의 변화는 상기한 공급결정요인들 가운데 어느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변화로 일어나게 된다. 이에 반하여 공급량의 변화(change in quantity supplied)는 공급곡선상에서의 공급점이 어느 한 점으로부터 다른 한 점으로 이동됨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공급량의 변화요인은 그 상품의 가격변화인 것이다. 위 표에서 달걀의 가격이 100원으로부터 80원으로 하락할 경우 달걀의 공급량은 12 000게로부터 10,000개로 감소된다.
위 그래프를 통하여 공급의 변화와 공급량의 변화를 구별해 보자. 공급곡선이 S1S1으로부터 S2S2 혹은 S3S3로 이동하는 것은 공급의 변화를 가리키고, 공급곡선 S1S1상에서 공급점이 a로부터 b로 이동하는 것은 공급량의 변화를 말하는 것이다.
추천자료
사시 36회 1차 경제학
경제학 요약
[경제학][경제학이론][경제학파]경제학의 역사와 경제학이론 및 경제학파(고전학설의 형성, ...
[거시경제학] 제 11-1강 총공급과 총수요 균형과 경제정책
민간비영리조직의 역할과 기능 및 현황, 사회서비스 공급과 활성화방안
[비영리체육시설][공공체육시설][체육시설]체육시설의 경영, 체육시설의 공급과 수요, 비영리...
공급사슬관리 할인점-백화점비교
국민소득과 물가
제13강 총수요와 총공급
[마약痲藥 가격의 변화] 스마트 사원이 알아야 할 알기쉬운 경제지식 100가지 [과제1] 문제풀이
[공공재 (Public goods)] 공공재의 개념과 유형, 준공공재의 정의와 특성, 공공재의 공급과 계획
경제학개론 ) 세금이 부과될 경우 소비자가 내는 가격과 판매자가 받는 가격 거래량에 어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