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벤츄리 미터실험
1. 실험목적
2. 실험 기본원리
3. 실험장치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고찰 및 결론
1. 실험목적
2. 실험 기본원리
3. 실험장치
4. 실험방법
5. 실험결과
6. 고찰 및 결론
본문내용
00
91.00
106.0
121.0
136.0
156.0
1
57.5
54
40
18
17
26
36
40
43
45
46
20,000
114.5
174.67
3.95
191.05
0.914
2
56
52
44
31
31
34
39
42
44
45
46
10,000
72.6
137.74
2.5
151.99
0.906
3
243
225
147
39
47
116
154
171
188
198
203
10,000
23.1
432.90
20.4
434.18
0.997
4
229
218
156
75
80
132
161
174
187
195
200
10,000
26.8
373.13
15.4
377.24
0.989
5
94
88
62
23
25
44
62
66
74
76
78
10,000
40.0
250.00
7.1
256.15
0.976
6
92
87
68
40
42
48
66
70
75
77
79
10,000
48.3
207.04
5.2
219.21
0.944
7
95
89
56
10
13
36
55
58
68
73
76
10,000
36.9
271.00
8.5
280.26
0.967
8
140
130
88
28
30
65
88
98
108
114
115
10,000
32.0
312.50
11.2
321.71
0.971
9
130
125
108
80
83
94
105
110
114
115
118
10,000
49.0
204.08
5
214.95
0.949
10
200
190
150
95
97
130
150
160
170
175
179
10,000
32.5
307.69
10.5
311.50
0.988
11
190
184
165
136
138
150
163
168
173
174
175
10,000
47.8
209.21
5.4
223.39
0.937
12
230
215
160
80
85
135
164
175
190
195
200
10,000
27.5
363.64
15
372.31
0.977
결
과
Qr vs. C의 그래프 작성결과는?
12회 측정유량중 大, 中 ,小 세 값을 택해 측정내용의 ④(입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各 수압관에서의 목부분 속도수두
(최대)에 대한
최대압력수두와 각 수두 차(hi-h1)의 비에 관한 그래프 작성의 작성결과는?
비
고
Qt=[←(A1/A2)2=6.98]=
A1: 관로의 수압관(값), D2: 목부분 수압관(값)
B, C, E, F, G, H, I, J, K: 각 점의 수압관(값), 측정내용: ①수압관(pizometer), ②각 점의 지름, ③각 점의 관로 단면적, ④시점 A1 으로부터의 거리 (ⓞ 그림 1(b) 참조)
<그래프 1> 벤츄리 미터의 유량계수
<그래프 2> 벤츄리 미터의 실제유량과 수두차의 제곱급 관계
<표 2> 벤츄리 미터의 유량별 단면의 크기변화에 따른 에너지 손실관계
내용
번호
(mm)
(
Q小=137.74()
Q中=250(
Q大=432.39(
26.00
0.615
5.306
0.144
0.000
5.6
-0.38
-0.159
9.4
0
0.000
24.3
0
0.000
B
23.20
0.690
4.225
0.226
-0.082
5.2
-0.42
-0.175
8.8
-0.06
-0.008
22.5
-1.8
-0.076
C
18.40
0.869
2.657
0.575
-0.431
4.4
-0.5
-0.209
6.2
-0.32
-0.041
14.7
-9.6
-0.405
16.00
1.000
2.009
1.000
-0.856
3.1
-0.63
-0.263
2.3
-0.71
-0.090
3.9
-20.4
-0.862
E
16.80
0.953
2.215
0.830
-0.686
3.1
-0.63
-0.263
2.5
-0.69
-0.087
4.7
-19.6
-0.828
F
18.40
0.867
2.667
0.565
-0.421
3.4
-0.6
-0.250
4.4
-0.5
-0.063
11.6
-12.7
-0.536
G
20.16
0.787
3.190
0.400
-0.256
3.9
-0.55
-0.229
6.2
-0.32
-0.041
15.4
-8.9
-0.376
H
21.84
0.730
3.744
0.289
-0.145
4.2
-0.52
-0.217
6.6
-0.28
-0.035
17.1
-7.2
-0.304
I
23.53
0.680
4.346
0.215
-0.071
4.4
-0.5
-0.209
7.4
-0.2
-0.025
18.8
-5.5
-0.232
J
25.24
0.633
5.000
0.168
-0.024
4.5
-0.49
-0.204
7.6
-0.18
-0.023
19.8
-4.5
-0.190
K
26.00
0.615
5.306
0.144
0.000
4.6
-0.48
-0.200
7.8
-0.16
-0.020
20.3
-4
-0.169
<그래프 3> 벤츄리 미터의 단면 크기변화와 에너지손실
6. 고찰 및 결론
(1) 실제유량과 계산유량의 차이는 유량계수의 차에 의하여 1~10%의 손실이 발생하였다
(2) 유량계수 C는 약 0.906~0.997(평균≒0.959)을 보여 실험장치의 값 0.93~0.98(평균≒0.955)와 평균적으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3) 실험관내 압력분포는 벤츄리미터의 목부의가 가장낮게 나타났으며 유량이 클수록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벤츄리미터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1) 실제유량과 계산유랑의 차이는 관마찰과 유체점성에 의한 손실에 의해 발생한다.
(2) 유량계수를 쓰면 실제와 같은 계산값을 얻을 수 있다.
(3) 입구와 목부의 수두차이를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 할 수 있다.
(4) 본 실험에 사용한 벤츄리미터의 유량계수는 0.959이며, 이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량을 알 수 있다.
91.00
106.0
121.0
136.0
156.0
1
57.5
54
40
18
17
26
36
40
43
45
46
20,000
114.5
174.67
3.95
191.05
0.914
2
56
52
44
31
31
34
39
42
44
45
46
10,000
72.6
137.74
2.5
151.99
0.906
3
243
225
147
39
47
116
154
171
188
198
203
10,000
23.1
432.90
20.4
434.18
0.997
4
229
218
156
75
80
132
161
174
187
195
200
10,000
26.8
373.13
15.4
377.24
0.989
5
94
88
62
23
25
44
62
66
74
76
78
10,000
40.0
250.00
7.1
256.15
0.976
6
92
87
68
40
42
48
66
70
75
77
79
10,000
48.3
207.04
5.2
219.21
0.944
7
95
89
56
10
13
36
55
58
68
73
76
10,000
36.9
271.00
8.5
280.26
0.967
8
140
130
88
28
30
65
88
98
108
114
115
10,000
32.0
312.50
11.2
321.71
0.971
9
130
125
108
80
83
94
105
110
114
115
118
10,000
49.0
204.08
5
214.95
0.949
10
200
190
150
95
97
130
150
160
170
175
179
10,000
32.5
307.69
10.5
311.50
0.988
11
190
184
165
136
138
150
163
168
173
174
175
10,000
47.8
209.21
5.4
223.39
0.937
12
230
215
160
80
85
135
164
175
190
195
200
10,000
27.5
363.64
15
372.31
0.977
결
과
Qr vs. C의 그래프 작성결과는?
12회 측정유량중 大, 中 ,小 세 값을 택해 측정내용의 ④(입구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各 수압관에서의 목부분 속도수두
(최대)에 대한
최대압력수두와 각 수두 차(hi-h1)의 비에 관한 그래프 작성의 작성결과는?
비
고
Qt=[←(A1/A2)2=6.98]=
A1: 관로의 수압관(값), D2: 목부분 수압관(값)
B, C, E, F, G, H, I, J, K: 각 점의 수압관(값), 측정내용: ①수압관(pizometer), ②각 점의 지름, ③각 점의 관로 단면적, ④시점 A1 으로부터의 거리 (ⓞ 그림 1(b) 참조)
<그래프 1> 벤츄리 미터의 유량계수
<그래프 2> 벤츄리 미터의 실제유량과 수두차의 제곱급 관계
<표 2> 벤츄리 미터의 유량별 단면의 크기변화에 따른 에너지 손실관계
내용
번호
(mm)
(
Q小=137.74()
Q中=250(
Q大=432.39(
26.00
0.615
5.306
0.144
0.000
5.6
-0.38
-0.159
9.4
0
0.000
24.3
0
0.000
B
23.20
0.690
4.225
0.226
-0.082
5.2
-0.42
-0.175
8.8
-0.06
-0.008
22.5
-1.8
-0.076
C
18.40
0.869
2.657
0.575
-0.431
4.4
-0.5
-0.209
6.2
-0.32
-0.041
14.7
-9.6
-0.405
16.00
1.000
2.009
1.000
-0.856
3.1
-0.63
-0.263
2.3
-0.71
-0.090
3.9
-20.4
-0.862
E
16.80
0.953
2.215
0.830
-0.686
3.1
-0.63
-0.263
2.5
-0.69
-0.087
4.7
-19.6
-0.828
F
18.40
0.867
2.667
0.565
-0.421
3.4
-0.6
-0.250
4.4
-0.5
-0.063
11.6
-12.7
-0.536
G
20.16
0.787
3.190
0.400
-0.256
3.9
-0.55
-0.229
6.2
-0.32
-0.041
15.4
-8.9
-0.376
H
21.84
0.730
3.744
0.289
-0.145
4.2
-0.52
-0.217
6.6
-0.28
-0.035
17.1
-7.2
-0.304
I
23.53
0.680
4.346
0.215
-0.071
4.4
-0.5
-0.209
7.4
-0.2
-0.025
18.8
-5.5
-0.232
J
25.24
0.633
5.000
0.168
-0.024
4.5
-0.49
-0.204
7.6
-0.18
-0.023
19.8
-4.5
-0.190
K
26.00
0.615
5.306
0.144
0.000
4.6
-0.48
-0.200
7.8
-0.16
-0.020
20.3
-4
-0.169
<그래프 3> 벤츄리 미터의 단면 크기변화와 에너지손실
6. 고찰 및 결론
(1) 실제유량과 계산유량의 차이는 유량계수의 차에 의하여 1~10%의 손실이 발생하였다
(2) 유량계수 C는 약 0.906~0.997(평균≒0.959)을 보여 실험장치의 값 0.93~0.98(평균≒0.955)와 평균적으로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3) 실험관내 압력분포는 벤츄리미터의 목부의가 가장낮게 나타났으며 유량이 클수록 변화폭이 크게 나타났다.
벤츄리미터 실험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1) 실제유량과 계산유랑의 차이는 관마찰과 유체점성에 의한 손실에 의해 발생한다.
(2) 유량계수를 쓰면 실제와 같은 계산값을 얻을 수 있다.
(3) 입구와 목부의 수두차이를 이용하여 유량을 계산 할 수 있다.
(4) 본 실험에 사용한 벤츄리미터의 유량계수는 0.959이며, 이를 이용하여 유체의 유량을 알 수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