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기兒童期의 문제행동 개념과 종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기兒童期의 문제행동 개념과 종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문제행동의 개념
2) 문제행동의 변화와 지속
3) 문제행동(장애)의 범주

본문내용

류방식은 2개의 광의의 증후군(내현화 증후군, 외현화 증후군)으로 구분되며 각 증후군 아래에 8개의 협의의 증후군(불안/우울, 위축, 신체증상, 사회적 미성숙, 사고의 문제, 주의집중 문제, 비행, 공격성)으로 구분된다. 주의집중 문제가 혼합된 증후군에 포함되어 있으나 학계에서는 일반적으로 주의력 결핍 및 과잉행동의 문제는 외현화 증후군에 속하는 것으로 의견의 일치를 보고 있다(강상경 외, 2009).

(3) 양 분류체계의 비교
앞서 설명한 DSM-IV와 ICD-10과 같은 범주적 분류체계는 문제행동을 정상(normal)과 이상(abnormal)으로 구분하는 분명한 범주를 활용하여 문제행동을 정의한다. DSM-IV의 분 류 체계는 각 장애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위원회를 통해서 장애들의 개념에 대해 합의하고, 각 장애를 정의하기 위한 진단기준들을 선택한다. 예컨대, 불안장애라는 범주가 있을 때 어떤 아동이 불안장애에 잘 들어맞는지, 그렇지 않은지를 판단할 수 있다.
반면에 차원적 분류체계(외현화, 내현화)는 사람의 행동이 정상에서 이상으로 이어지는 연속선의 어딘가에 있다고 본다. 예를 들어, 어떤 아동의 불안의 정도를 범주적 분류와 진단에 서는 일정 기준에 따라 정상인지 이상인지를 구분한다면, 차원적 분류와 진단에서는 아동의 불안 정도가 평균에 비해서 높은 편인가, 낮은 편인가를 판단하는 것이다. 즉 개인에 대해, 정상-이상이라는 단순한 범주가 부여되는 것이 아니라 점수의 높고 낮음으로 기술되는 것이 다. 이러한 차원 안에서 사람들의 문제를 이해할 때 당장 치료를 요하는 임상적 수준의 문제뿐 만 아니라 준-임상적 수준의 문제를 정의하고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본다는 점에서 두 분류체계는 증상에 대한 접근방식에 있어서 차이를 보이고 있다(강상경 외, 2009).

(4) 기타 분류
이 밖에도 장애 혹은 문제행동을 구분하는 방식으로 국내의 심리학 교과서에서 주로 사용되는 분류방식을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표 2-4> 기타 분류 방식
장애 유형
장애 종류
발달장애
정신지체, 전반적 발달장애, 학습장애, 언어장애, 운동기술장애
행동장애
주의력결핍 및 과잉행동, 적대적 반항장애, 품행장애
생리기능장애
섭식장애, 배설장애, 수면장애
정서장애
우울장애. 불안장애
기타장애
틱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선택적 함구증, 아동학대
일반적 문제행동
낮은 자신감, 의존성, 이기적 행동, 거짓말, 도벽, 떼쓰기, 낮은 학업성취

추천자료

  • 가격3,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5.20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185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