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목적 (Purpose)
2. 실험원리 ( Introduction)
3. 실험기구 (Apparatus )
4. 실험시약 ( Reagents )
5. 실험 방법 ( Procedures )
6. 실험데이터 와 결과 (Data and Results)
7. 토의 (Discussions)
2. 실험원리 ( Introduction)
3. 실험기구 (Apparatus )
4. 실험시약 ( Reagents )
5. 실험 방법 ( Procedures )
6. 실험데이터 와 결과 (Data and Results)
7. 토의 (Discussions)
본문내용
40
40.03
81.4891
42.779
0.99843
42.85
50
50.01
91.0024
52.2923
0.99843
52.37
3-2)뷰렛 실험 결과
평균
표준편차
기댓값최소
기댓값최대
질량으로부터 얻은 부피
10
14.07
0.43
13.93
14.20
20
23.89
23.75
24.02
30
33.91
33.78
34.05
40
43.14
43.01
43.27
50
52.87
52.74
53.00
눈금으로부터 얻은 부피
10
10.00
0.03
9.99
10.00
20
20.13
20.12
20.13
30
30.03
30.02
30.03
40
40.08
40.07
40.08
50
50.01
50.00
50.01
결과 data
표준편차(유리기구의 눈금을 읽은 측정값)
표준편차(질량으로부터 얻은 값)
오차의 평균
눈금실린더
0.04
0.16
1.62
피펫
0.02
1.02
5.44
뷰렛
0.03
0.43
3.54
7. 토의 (Discussions)
: 이번 실험에서는 피펫과 눈금실린더 그리고 뷰렛의 불확실도를 측정해보았는데, 실제로 실험한 결과와 예비레포트를 작성할 때 배운 사실이 매우 달랐다. 오차의 평균으로 알 수 있는 부분은 정확도, 그리고 표준편차로 알 수 있는 부분은 정밀도인데 실험에서 나온 결과로는 오차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피펫이 다른 기구들에 비해 월등히 차이나는 점으로 보아 정밀도와 정확도가 제일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원래는 피펫보다 눈금실린더의 정확도나 정밀도가 더 떨어진다. 왜냐하면 눈금이 있는 부분이 넓고 눈금선 간격도 크기 때문이다. 내가 한 실험에서 피펫이 이렇게 우발오차와 계통오차가 크게 나온 이유는 실험할 때 메니스커스가 뷰렛의 가장 아래쪽 눈금보다 아래로 내려가서 몇 mL정도 더 차이가 나서 그런 것 같다. 그리고 실험이 끝난 후에야 깨달았지만 사용한 비커 세 개의 질량이 모두 다른데 한 비커의 질량만 측정하여서 실험값에도 오류가 많았던 것 같다. 또한 화학저울을 이용하는데 화학 저울의 눈금이 자꾸 0.0001씩 내려가서 조금 대충 잰 점과 비커를 완벽하게 건조시키지 못한 점도 계통오차를 유발시킨 점 중 하나이다.
또 실제로 실험실의 온도와 물의 온도가 모두 19℃로 일치하진 않았던 것도 물의 밀도를 이용해 부피를 계산하는 데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던 원인 중 하나일 것이다.
40.03
81.4891
42.779
0.99843
42.85
50
50.01
91.0024
52.2923
0.99843
52.37
3-2)뷰렛 실험 결과
평균
표준편차
기댓값최소
기댓값최대
질량으로부터 얻은 부피
10
14.07
0.43
13.93
14.20
20
23.89
23.75
24.02
30
33.91
33.78
34.05
40
43.14
43.01
43.27
50
52.87
52.74
53.00
눈금으로부터 얻은 부피
10
10.00
0.03
9.99
10.00
20
20.13
20.12
20.13
30
30.03
30.02
30.03
40
40.08
40.07
40.08
50
50.01
50.00
50.01
결과 data
표준편차(유리기구의 눈금을 읽은 측정값)
표준편차(질량으로부터 얻은 값)
오차의 평균
눈금실린더
0.04
0.16
1.62
피펫
0.02
1.02
5.44
뷰렛
0.03
0.43
3.54
7. 토의 (Discussions)
: 이번 실험에서는 피펫과 눈금실린더 그리고 뷰렛의 불확실도를 측정해보았는데, 실제로 실험한 결과와 예비레포트를 작성할 때 배운 사실이 매우 달랐다. 오차의 평균으로 알 수 있는 부분은 정확도, 그리고 표준편차로 알 수 있는 부분은 정밀도인데 실험에서 나온 결과로는 오차의 평균과 표준편차가 피펫이 다른 기구들에 비해 월등히 차이나는 점으로 보아 정밀도와 정확도가 제일 떨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원래는 피펫보다 눈금실린더의 정확도나 정밀도가 더 떨어진다. 왜냐하면 눈금이 있는 부분이 넓고 눈금선 간격도 크기 때문이다. 내가 한 실험에서 피펫이 이렇게 우발오차와 계통오차가 크게 나온 이유는 실험할 때 메니스커스가 뷰렛의 가장 아래쪽 눈금보다 아래로 내려가서 몇 mL정도 더 차이가 나서 그런 것 같다. 그리고 실험이 끝난 후에야 깨달았지만 사용한 비커 세 개의 질량이 모두 다른데 한 비커의 질량만 측정하여서 실험값에도 오류가 많았던 것 같다. 또한 화학저울을 이용하는데 화학 저울의 눈금이 자꾸 0.0001씩 내려가서 조금 대충 잰 점과 비커를 완벽하게 건조시키지 못한 점도 계통오차를 유발시킨 점 중 하나이다.
또 실제로 실험실의 온도와 물의 온도가 모두 19℃로 일치하진 않았던 것도 물의 밀도를 이용해 부피를 계산하는 데에서 약간의 오차가 발생하였던 원인 중 하나일 것이다.
추천자료
녹는점 측정 예비레포트와 결과레포트
(일반물리실험2) 19장 열의 일당량 결과레포트
오피 앰프(OP-AMP)에 대한 결과레포트
[회로실험] 램프회로 실험 (예비+결과레포트)
[토질역학] 흙의 비중 시험(예비+결과레포트)
단진자에 의한 중력가속도 측정, 기주 공명 실험 예비레포트,결과레포트 A++
transistor 트렌지스터 실험레포트 결과레포트
응용화학실험결과레포트혼합물의조성
황산용액에서의황산기의정량결과레포트
기초전자실험 저역,고역,대역필터 개인 텀 결과레포트
물리학및실험 예비레포트 + 결과레포트 유도기 전력
[설계보고서] 05.전기기기 전원부의 정전압 및 정전류 회로 설계 (결과레포트) : 정전압 및 ...
Sol-Gel법에 의한 SiO2 Gel 제조 실험(결과레포트)
[일반화학실험] 이산화탄소의 승화열 측정 결과레포트(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