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 1절 학습의 의의와 정의 제 3절 강화이론과 조직행동수정
1. 학습의 의의 1. 강화이론
2. 학습의 정의 1) 행동형성
2) 강화의 종류
제 2절 학습이론 3) 강화스케줄
1. 행동학습이론 2. 조직행동수정
1) 고전적 조건화 1) 의의
2) 작동적 조건화 2) 현실적용
2. 인지학습이론
1) 통찰학습
2) 인지도학습
3) 정보처리학습이론
3. 사회학습이론
1. 학습의 의의 1. 강화이론
2. 학습의 정의 1) 행동형성
2) 강화의 종류
제 2절 학습이론 3) 강화스케줄
1. 행동학습이론 2. 조직행동수정
1) 고전적 조건화 1) 의의
2) 작동적 조건화 2) 현실적용
2. 인지학습이론
1) 통찰학습
2) 인지도학습
3) 정보처리학습이론
3. 사회학습이론
본문내용
로 구분됩니다.
★
다음 표는 간헐적 강화의 표인데요.
먼저 고정간격 유형은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다음 강화가 주어지는 경우입니다. 강아지를 훈련시키기 위해 종을 울린 뒤 밥을 준다고 했을 때 종을 울린 뒤 30분 후에 꼭 밥을 주는 것이 바로 고정간격 유형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변동간격유형은 기간에 따라 강화를 하지만 고정간격유형과 달리 그 시기를 알 수 없는 경우입니다. 강아지에게 종을 울리고 밥을 주긴 주는데 언제 밥을 줄 지 모르는 것은 변동간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변동비율유형은 전체적으로는 일정한 수의 반응에 대해 강화가 주어지지만, 그 시기는 예측할 수 없는 경우인데요.
변동비율의 대표적인 예로 대부분의 도박이나 로또가 되겠는데요. 로또를 100번에 한 번이 될 지 만 번에 한번이 될지 운이 좋아서 한 번에 1등이 될지 아무도 알 수 없는 거잖아요.그렇듯이 강화가 주어지지만, 예측할수 없는 것을 변동비율유형이라고 보실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정비율 유형인데요. 고정비율유형은 일정한 횟수의 반응에 대해 강화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앞에서 설명드렸던로또가 만약 변동비율이아니라 고정비율이라면 100번 사면 1등이 되고, 다시 100번사면 1등이 되는 한마디로 100번에 한번은 무조건 일등이되는 그런 결과를 초래하게 되겠죠?
네, 이러한 강화스케쥴이 어느 하나가 옳고 그름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조직의 상황이나 담당 업무의 성격을 고려해서 판단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
다음은 조직행동수정입니다.
조직행동수정이란 강화이론을 조직에 적용시킨 것인데요,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구성원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
조직행동수정은 일반적으로 다섯 단계로 구성되는데요,
첫째, 목표로 하는 문제행동을 정의한다.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를 규명하는 것이 되겠구요.
둘째, 기초자료를 수집한다.
문제가 되는 행동의 현재수준과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 결과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말합니다.
셋째로, 기능적 분석을 행한다.
기초자료를 검토하면서 조직에서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검토하는 작업입니다.
넷째, 개입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한다.
바람직한 조직행동을 촉진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억제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합니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그동안의 성과를 목표와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평가하는 단계입니다.
★
다음 표는 간헐적 강화의 표인데요.
먼저 고정간격 유형은 일정한 기간이 지나면 다음 강화가 주어지는 경우입니다. 강아지를 훈련시키기 위해 종을 울린 뒤 밥을 준다고 했을 때 종을 울린 뒤 30분 후에 꼭 밥을 주는 것이 바로 고정간격 유형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변동간격유형은 기간에 따라 강화를 하지만 고정간격유형과 달리 그 시기를 알 수 없는 경우입니다. 강아지에게 종을 울리고 밥을 주긴 주는데 언제 밥을 줄 지 모르는 것은 변동간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다음으로 변동비율유형은 전체적으로는 일정한 수의 반응에 대해 강화가 주어지지만, 그 시기는 예측할 수 없는 경우인데요.
변동비율의 대표적인 예로 대부분의 도박이나 로또가 되겠는데요. 로또를 100번에 한 번이 될 지 만 번에 한번이 될지 운이 좋아서 한 번에 1등이 될지 아무도 알 수 없는 거잖아요.그렇듯이 강화가 주어지지만, 예측할수 없는 것을 변동비율유형이라고 보실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고정비율 유형인데요. 고정비율유형은 일정한 횟수의 반응에 대해 강화를 부여하는 것입니다. 앞에서 설명드렸던로또가 만약 변동비율이아니라 고정비율이라면 100번 사면 1등이 되고, 다시 100번사면 1등이 되는 한마디로 100번에 한번은 무조건 일등이되는 그런 결과를 초래하게 되겠죠?
네, 이러한 강화스케쥴이 어느 하나가 옳고 그름이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조직의 상황이나 담당 업무의 성격을 고려해서 판단하여 사용하여야 합니다.
★
다음은 조직행동수정입니다.
조직행동수정이란 강화이론을 조직에 적용시킨 것인데요, 조직의 성과향상을 위해 바람직한 방향으로 구성원의 행동을 변화시키는 것을 말합니다.
★
조직행동수정은 일반적으로 다섯 단계로 구성되는데요,
첫째, 목표로 하는 문제행동을 정의한다.
조직성과에 부정적인 결과를 초래하는 문제를 규명하는 것이 되겠구요.
둘째, 기초자료를 수집한다.
문제가 되는 행동의 현재수준과 여기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 결과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는 것을 말합니다.
셋째로, 기능적 분석을 행한다.
기초자료를 검토하면서 조직에서의 문제가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검토하는 작업입니다.
넷째, 개입전략을 개발하고 이를 구체적으로 실행한다.
바람직한 조직행동을 촉진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을 억제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을 수립합니다.
그리고 나서 마지막으로 그동안의 성과를 목표와 비교하여 최종적으로 평가하는 단계입니다.
추천자료
부모교육이론 (민주적 부모교육이론 &행동수정)
국민은행의 합병이후 조직관리(조직행동이론)
[조직행동론] 공정성 이론
[조직행동론]공정성이론
< 조직행동이론 > 현대해상화재보험의 조직과 조직문화에 대해서
조직행동 사례 이론 적용
[조직행동론]통합모형이론과 동기부여 증진방안 (A+리포트)
행동변화의 전략-강화전략의 유형(강화이론: Reinforcement theory)
조직행동론상 동기부여 내용이론 전반의 검토
[동기이론] 강화이론(행동주의적 접근), 욕구위계이론(인본주의적 접근), 성취동기이론, 귀인...
행동수정이론으로서 고전적 조건 형성이론에 대해 서술.
상담심리학)정신분석적 상담이론, 인간중심 상담이론, 행동수정이론을 비교·설명한 후, 핵심...
행동수정 이론
조직행동론커뮤니케이션 이론커뮤니케이션 방향조직 커뮤니케이션전자 커뮤니케이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