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계영화기행 - 에이젠슈테인의 영화 ‘10월’, 카니발이론을 통한 영화 ‘조선명탐정’ 분석(이론요약&영화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세계영화기행 - 에이젠슈테인의 영화 ‘10월’, 카니발이론을 통한 영화 ‘조선명탐정’ 분석(이론요약&영화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때에 죽은 줄 알았던 정약용과 한객주가 다시 등장하게 된다. 그리고 한객주인 줄로 알았던 여인이 죽은줄로 알았던 열녀임이 밝혀지게 된다. 이들은 대감의 수하에 의해 궁지에 몰리게 되지만, 갑작스레 날아오는 화살로 위기를 벗어나게 된다. 그 화살은 임금이 쏜 화살로 이 때에 임금과 군사들이 등장하여 위기에 처한 열녀와 정약용을 구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임금은 대감에 대해 죄를 물으며 이를 엄벌하려 하지만 대감은 끝까지 수를 쓰며 그들을 천주쟁이라고 일컬어 자신의 위기를 빠져나가려고 한다. 하지만 임금의 기지로 그들은 위기에서 벗어나게 되고 정약용은 압송되어가는 대감에게 소심한 구타로 지금까지 일어났던 일에 대하여 해학적으로 해소를 하는 모습을 모인다. 영화의 마지막에는 더 큰 반전이 기다리고 있는데 그것은 개장수인줄 알았던 자가 바로 한객주였다는 사실이 밝혀지게 된다. 그리고 영화의 마지막은 정약용과 열녀의 대화로 이루어지게 되는데, 열녀는 노비들을 위한 세상을 위해 청나라로 떠나겠다는 포부를 밝히게 되고, 정약용은 자신이 세례를 받았던 일화에 대해 이야기 하던 도중 그 당시 열녀를 만났었던 것을 기억해내고 기억을 한 순간 열녀는 그 당시에 일화가 있었던 물건만을 남겨둔 채 사라지고 없어지게 된다. 그리고 한객주와 열녀는 배를 타고 청나라로 떠나게 되는데 이 때 정약용은 바위 위에서 배웅을 해주게 되고 그의 뒤로 자신들의 노비문서를 쥔 노비들이 등장하여 한객주와 열녀를 배웅하여 준다. 그들을 보며 열녀는 눈물을 흘리며 다시 만날 날이 있 것임을 말한다. 그리고 1년 후에 청나라에서 개장수와 정약용은 재회하여 또 다시 누군가에게 쫓기며 열린 결말을 제시하고 영화는 끝이 나게 된다.
이 영화에서 카니발적 모습은 우선 작은 지방에서 일어난다고 볼 수 있다. 지방주요세력인 이 대감과 그의 비리에 대하여 정약용과 한객주, 그리고 열녀의 활동으로 인해 비리를 캐내고, 노비들의 도움으로 비리에 대하여 고발하고 이를 바로잡음으로써 탈관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더욱이 영화<조선명탐정>에서는 이러한 탈관에 권력의 상징인 임금까지 이를 도움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더욱 극대화 시키고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영화의 전체적인 의미로서 노비들과 평민, 귀족 모두가 평등한 사회를 만들 것이라는 의지를 열녀와 한객주의 말에서 관찰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신분 사이에 격차가 존재하였던 조선시대에 향한 카니발적인 의지를 나타내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영화속에서 정약용은 수 많은 생명의 위협을 받지만 이를 그의 특유의 기지를 발휘하거나 또는 많은 사람들의 도움을 받으며 살아나게 되는데 이것은 앞으로 노비들도 평등한 세상을 만들어 나가는 사람들의 앞길을 묘사하고 있는 것과 같다. 영화의 마지막에 노비들이 정약용, 한객주, 그리고 열녀의 활약으로 인해 받아낸 그들의 노비문서를 들고서 배를 타고 떠나는 한객주와 열녀를 두 팔을 높이 들어 배웅해 주는 모습에서 우리는 카니발적 행동으로 인해 생겨나게 된 환희를 영화를 보면서 함께 느낄 수 있게 될 것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6.05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18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