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역량과 경쟁우위] 전략경영과 핵심역량(자원-기반 관점,역량-기반 관점,역동적 능력 접근), 핵심역량-능력-자원의 관계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핵심역량과 경쟁우위] 전략경영과 핵심역량(자원-기반 관점,역량-기반 관점,역동적 능력 접근), 핵심역량-능력-자원의 관계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핵심역량과 경쟁우위

Ⅰ. 전략경영과 핵심역량

1. 자원-기반 관점
2. 역량-기반 관점
3. 역동적 능력 접근

Ⅱ. 핵심역량, 능력, 자원

본문내용

보다 나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새로운 금융상품을 개발할 수
있는 숙려된 기술(skills)도 보유하고 있다. 그러나 은행의 자산을 잘 활용하기
위해서 MIS와 마케팅 숙련된 기술(skills) 집합이 공동으로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면 최대의 부가가치를 실현시킬 수 없다. 핵심역량은 전체 기업에 걸쳐서 가장
넓은 차원에서 자원과 능력을 활용하기 때문에 가장 큰 부가가치를 발생시킨다
다른 도시들에 사무실을 가지고 있는 컨설팅 회사의 사례를 보자. 각 지리적
위치에 있는 사무실은 오랜 시간에 걸쳐서 일련의 구체적인 숙련된 기술(예,
건강관리 조직 혹은 석유산업을 위한 컨설팅)들을 개발해오고 있다. 회사는
이러한 지식을 사무실의 네트워크를 통해서 활용하는 정도에 따라서 보다 많은
가치를 실현시킬 수 있다. 그래서 회사는 필요로 하는 전문지식을 보유하고
있는 특정 사무실을 활용함으로써 건강관리 컨설팅에 관한 핵심역량을 개발하고 보유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계층구조의 층이 높으면 높을수록 성취하기 어렵고 보다 넓은 조직적인 범위를 가지고 있다. 기능적 능력(functional capability)의 개발은 한 기능 부서에 있는 구성원들의 협업을 필요로 한다. 역량(competencies)의 성취는 동일한 SBU에서 여러 기능들의 통합과 조정을 필요로 한다. 핵심역량(core competency)의 활용은 상이한 SBU들과 기업의 나머지 부분들 사이의 통합(integration), 의사소통(communication), 협동(co-operation)을 달성할 수 있는 기업의 능력에 달려 있다. 조직학습 혹은 기업의 지식-기반 관점(knowledge-based view)은 조직의 내부경계를 초월해서 지식의 전이를 순조롭게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서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 조직의 구석구석까지 역량(competencies)과 능력(capabilities)을 전이하는데 어려움을 표현하는 '내적 고착성'의 개념이 특히 중요하다. 내적 고착성의 원인으로는 지식의 인과적 모호성(causal ambiguity) 혹은 비중명성(unprovenness), 지식의 수혜자 혹은 지식 원천의 일부에 대한 동기유발 결여, 교차-학습을 장려하지 않는 조직의 문화 등이 있다.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달성을 위해서 자원(자산), 능력, 역량, 그리고 핵심역량이 어떻게 상호 연결되어야 하는가를 아래의 그림에서 보여주고 있다.
핵심역량과 경쟁우위
  • 가격2,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6.24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578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