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동 편식 지도와 예방 (편식의 정의, 편식의 원인, 편식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편식을 고치는 방법, 편식의 예방, 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동 편식 지도와 예방 (편식의 정의, 편식의 원인, 편식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편식을 고치는 방법, 편식의 예방, 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편식의 정의
 2. 편식의 원인
 3. 편식이 아동에게 미치는 영향
 4. 편식을 고치는 방법
 5. 편식의 예방
 6. 사례

Ⅲ. 결론

본문내용

와서 앉는 것과 야채반찬을 잘 먹는 것에 대한 강화를 해 주었다.
식사시간에 엄마의 잔소리가 없어지니까 처음에는 희건이가 좋아하면서 그 시간에 텔레비전을 보거나 컴퓨터를 하고 식사시간을 걸렀다. 그러다 식사시간 이후에는 식탁을 정리하니까 조금 지나니까 밥이 없다고 생각했는지 간식을 달라고 졸랐다. 물론 간식은 주지 않았다.
며칠이 이렇게 지나자 희건이도 상황을 어느 정도 파악을 했는지 식사시간에는 다른 행동은 하지 않고 바로 식탁으로 와서 앉게 되었다.
스스로 식탁에 앉는다고 희건이의 문제 해결이 된 게 아니고 편식의 문제가 있었기 때문에 편식에 대한 개입으로 위의 방법을 사용하여 희건이가 싫어하는 음식과 좋아하는 음식에 조절을 주면서 실행했다.
그런데 중간에 갑자기 희건이가 또다시 식사시간에 밥을 안 먹는 일이 생겼다. 잘 진행되고 있는 듯했는데 갑자기 그전과 같은 행동을 보여서 주의관찰을 하니까 희건이 동생 희빈(가명)이의 간식제공이 있었다. 희빈이는 희건이와는 반대되는 상황으로 밥과 모든 반찬을 잘 먹고, 간식 또한 열심히 챙겨먹는데, 희빈이의 간식을 희건이랑 같이 먹는 것을 보게 되었다. 간식으로 통해 배가 고프지 않으니까 희건이가 식사시간을 거르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 것이다. 그래서 부모님과 상의한 뒤에 희건이의 행동수정기간 동안 희빈이의 간식제공도 줄이는 것으로 얘기를 하고 다시 행동에 개입을 했다. 점차 희건이의 편식은 양과 조리법을 달리해서 조금씩 변화했다. 지난 11월 23일에는 같이 식사를 하면서 자기 그릇의 야채반찬을 다 먹고, 고기반찬을 조금 남기는 모습까지 보여줬다.
Ⅲ. 결론
편식이나 밥투정하는 습관이 문제가 되는 아동 중에는 체중미달 때문에 문제가 되는 경우는 별로 없다. 대부분은 부모가 먹기를 원하는 양을 정해주고 다그치기 때문에 먹는 것을 가지고 부모와 자녀간에 심리적 줄다리기를 하는 것이다. 우선 먹는 것은 아이가 자연스럽게 욕구가 일게 하는 것이 중요하며 ‘먹여주는 것’이 아니라 ‘먹는다’는 자발적인 결정을 할 수 있게 기회를 주어야 한다. 무보가 먹으라고 강요하면 먹어야 한다는 강박적인 생각 때문에 먹는 것을 즐거운 것, 편안한 것이라는 느낌을 가질 기회가 없어 먹는 것을 갖고 실랑이 하게 되는 나쁜 습관이 들게 된다.
건강한 삶을 위해서는 한창 자랄 때의 균형된 영양섭취가 매우 중요하다. 그리고 유아나 학령 전 아동기에는 식습관이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다. 이 시기에 좋은 식습관을 형성하여 다양한 식품을 골고루 선택하고, 충분한 영양을 섭취하도록 할 필요성이 있다.
편식도 하나의 습관이다. 정확한 원인을 파악해서 잘못된 편식 습관을 고쳐주는 것이 필요하다.
※ 참고문헌
정보인 箸(1992),『행동수정을 통한 어린이문제 행동지도』, 중앙적성출판사
정용부 箸(1998),『아동 생활지도와 상담』, 학지사
Charles E. Schaefer 箸(1996),『자녀의 잘못된 행동, 버릇 엄마가 고친다』,시간과 공간사
Tomas Gordon箸(1987), 『兒童, 靑少年 그들의 세계』, 홍익재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6.27
  • 저작시기2007.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626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