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가위 王家卫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왕가위 王家卫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데뷔전 왕가위 성장과정

2. 데뷔후 왕가위 주요작품 및 수상경력

3. 왕가위의 사람들
1)양조위
2)장만옥
3)장국영
4)크리스토퍼 도일(Christopher Doyle)

4. 왕가위와 작가주의
1)작가주의 배경
2)작가주의 영화
3)작가주의 감독으로서의 왕가위

본문내용

‘카이에 뒤 시네마’에 발표한 논문에서 ‘작가정책’이라는 이름이 제기되었다.
2)작가주의 영화
영화에서 그 대표자를 찾는 것은 쉽지 않다. 시나리오 작가, 감독, 연기자들, 촬영감독, 미술감독, 편집기사, 제작자등 모두 영화의 제작과정에서 빠져서는 안 될 사람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1950년대 트뤼포, 앙드레 바쟁 등을 비롯한 프랑스 영화 평론가들은 “영화의 작가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명확한 답을 하고 있다. 그들은 ‘영화의 작가’는 바로 ‘영화감독’이라고 주장했다. 그들은 시나리오에 지나치게 의존하는 당시의 프랑스 영화들에 대항하여 영화의 영상화에 책임지는 영화감독들이 영화의 예술성과 완성도를 높여야 한다고 생각하였다.
<카이에 뒤 시네마> 비평가로 활동한 고다르, 샤브롤, 트뤼포는 당시 할리우드가 유명스타를 주인공으로 한 영화를 국화빵 찍듯이 만들어 내고 있다고 비판하였다. 비판의 핵심은 스타위주의 제작이 영화를 여배우의 예쁜 얼굴이나 남자배우의 강한 남성미에 의존한 영화로 전락시키고 감독을 작품에 대한 예술적 통제력 보다는 스타를 화면에 잘 담아내는 장인으로 격하시킨다는 것이다.
작가영화가 되려면 연출한 세편이상의 영화, 영화에 대한 비평, 인터뷰, 회고록, 평전 등을 자료로 해 감독이 보여주는 주제, 양식 등을 검토하는 식으로 진행된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줄거리, 배역, 음악, 조명, 편집, 촬영기법 등의 모든 영화요소에 감독의 개성이 충분히 반영 되었는가?”, “미장센 등의 영화 스타일에 감독이 말하고자 하는 것을 나타냈는가?”이다.
3)작가주의 감독으로서의 왕가위
'왕가위식 영화찍기'는 이미 트레이드마크가 된지 오래다. 오스트레일리아 카메라감독 크리스토퍼 도일을 기용해 만든 'MTV 식 들고 찍기' '스탭 프린팅', 극단적인 광각카메라기법', '화려하고 감각적인 편집기법'은 이제 왕가위의 전유물이 되었다. 그의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인물들은 무심하면서도 외로움을 간직한 홍콩 젊은이들이 대부분이며, 동성애적 코드도 심심찮게 눈에 띈다. 뿐만 아니라 적절한 음악사용도 많은 화제를 몰고 오고 있는데, 기존의 음악들을 자신의 영화를 위해 다시 편곡하여 수록. 영화가 개봉하면 수록된 음악들과 뮤직비디오의 인기는 영화의 인기를 능가할 정도이다.
이런 왕가위 자신만의 색깔이 그를 최고의 스타일리스트, 또는 작가주의 감독이라 부르게 하고, 깐느에 열광하는 사람들이 그를 찾게 하는 이유일 것이다.
  • 가격1,0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6.29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67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