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어 교수학습법 적용 사례 발표 [전신 반응 교수법 활용]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국어 교수학습법 적용 사례 발표 [전신 반응 교수법 활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1. 들어가며
2. 대상학습자 정보
3. 교수법 선정
4. 지도안의 기획 의도 및 의의

Ⅱ. 본론
1. 수업 모형
2. 지도안

Ⅲ. 결론
1. 지도안의 유용한 점
2. 지도안의 문제점과 한계
3. 지도안 보완가능성

본문내용

에 가세요.
친구 2명을 데리고 가세요.
T: (학생의 명령을 듣고 행동을 한다. 학생들이 실수를 하면 직접 다시 명령의 내용을 행동으로 보여준다.)
(학생들의 발음이 정확하고 행동이 일치하면 명령어를 칠판에 쓴다. 학생들에게 읽기 연습을 시키고 노트에 쓰도록 한다.)
(교사는 새로운 명령어를 쓰고 앞의 방법과 동일하게 연습한다.)
활용
(10분)
종이시계와 공을 이용한 놀이
교사는 우선 시침과 분침이 있는 종이로 만들어진 시계와 비치볼을 하나 준비한다. 그리고 우선 두 사람을 선정하여 한 명에게는 시계를(S1), 그리고 다른 한 명에게는 공을(S2) 준다.
T, S: (모두 한 목소리로) 시계를 가리키세요!
S2: (시계를 가리킨다.)
S1: 시간을 읽으세요.
S2: 1시 45분입니다.
S1: S3씨하고 집에 가세요.
S2: (S3를 일으킨다.)
S1: 친구 두 명을 데리고 가세요.
S2: (S4와 S5를 일으킨다.)
위와 같은 방식으로 시계와 공을 계속 다른 학생에게 전달해서 학생들이 돌아가면서 다들 한 번은 공과 시계를 가지고 명령 혹은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종이시계, 공
정리
(5분)
확인 정리
교사가 학생들 전체에게 종이 시계를 가지고 시침과 분침을 바꿔가며 시간을 물어본다.
‘~하고’의 표현을 확인한다.
학습한 전체 내용을 다시 반복해서 확인한다.
다음 학습 내용을 예고하고 인사를 하며 마친다.
(교사: T, 학생: S, 시범 그룹: MG(Model Group))
Ⅲ. 결론
1. 지도안의 유용한 점
학습자들은 편안하고 즐거운 분위기에서 한국어의 기초를 배워나갈 수 있다. 또한 교사는 많은 준비를 하지 않고도 힘들지 않게 수업을 진행해 나갈 수 있다. 또한 언어를 배운데 있어서 바로바로 결과를 확인할 수 있기에 즐거운 첫 경험을 기억하게 해주며, 따라서 계속해서 학습을 이어나가고 싶은 내적 동기를 유발하는데 도움을 준다. 더 나아가 학습자들은 기초 사물 어휘와 동장동사들을 오감을 사용하여 배웠기 때문에 나중에 학습의 깊이가 더 깊어질 때에도 쉽게 이 어휘들을 잊지 않고 잘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2. 지도안의 문제점과 한계
기본적으로 이 교수법은 초급 단계의 학습자들에게만 유리하다. 중, 고급으로 올라갈수록 추상적이고 섬세한 단어나 표현들을 배우는데, 그러한 것을 배우기에는 이 교수법만으로는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이 교수법을 이용한 수업은 대부분이 명령법을 이용하는데, 실생활에서 명령법을 사용하여서 대화를 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기 때문에 구문의 실생활 활용도는 낮은 편이라고 볼 수 있겠다.
3. 지도안 보완가능성
이 전신반응 교수법의 주창자인 James Asher가 이미 말했듯이 다른 여러 교수법들과 함께 사용해야할 것이다. 이 교수법 하나로는 언어의 깊이를 느낄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이 교수법을 사용함에 있어서 기본적으로는 명령법을 사용하되, 위의 지도안에서와 같이 ‘~입니다’와 같은 구문도 첨가한다면 학습자들은 직설법이나 질문법 등의 여러 화법도 다양하게 구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6.29
  • 저작시기2014.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672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