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적 구조를 갖고 있어, 팬덤이 아니라면 접근하기 힘든 구조를 갖고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또한 내부적으로 생산과 소비를 바탕으로 막대한 이윤을 창출하는 경우가 생기기도 한다. 그렇다면 팬덤의 규모는 어느 정도일까? 정확한 집계는 되지 않았지만 동방신기 약 90만 명, 슈퍼주니어 약 70∼80만 명, 소녀시대·빅뱅 약 40∼50만 명, 샤이니 약 30만 명, 2PM 약 20∼30만 명 정도로 추산하고 있다.
그렇다면 팬덤시장에서는 어떤 ‘굿즈’들을 판매하고 있을까? 기본적으로 스티커, 이름표, 야광봉, 사진, 엽서, 포토카드 부터 개별재작 케릭터 상품, 휴대폰고리, 다이어리, 수건, 개별재작CD, 개별재작DVD, 화보집, 달력, 개별재작 텀블러, 자체재작영상 시사회 등, 활용 가능한 분야의 상품들을 생산 및 판매를 하고 있다.
이렇게 본인의 취향과 부합되는 다양한 상품을 만들기 위해 팬들은 다양한 분야의 기술과 지식을 습득한다. 이렇게 축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취업이 되는 사례들이 늘어남에 따라 팬덤 활동은 팬들의 생활에 깊숙이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중국의 팬덤과 사례
1) 오리온 초코파이 ‘하오리오’
한국에서도 인기가 좋은 초코파이는 중국에서도 ‘하오리오’라는 상표로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장동건과 소녀시대 유리를 내세운 광고를 통해 중국의 장동건과 소녀시대 팬들의 지지를 얻었다. 이 광고를 통해 초코파이의 판매량이 증가 하였다고 한다.
2) ‘무간도’ 증지위와 신라면
음식으로 둘째가라면 서러운 중국에서 사랑받는 음식종류 중 매운 음식에 대한 중국인들의 사랑은 남다르다. 이렇게 매운 음식이 많은 중국시장에서 ‘신라면’은 인지도와 판매량이 저조할 수 밖에 없었다. 농심은 이런 상황을 돌파하고자 홍콩영화의 스타인 ‘증지위’를 내세운 유쾌한 광고를 내보내면서, 중국 라면시장의 점유율과 판매량을 높일 수 있었다.
3) 지도자들의 자동차 ‘현대’
2000년 초반에만 하더라도 중국에서 현대자동차의 인지도는 바닥이었다. 하지만 이후 현대자동자는 브랜드 고급화를 중심으로 지도자들이 중시하는 차라는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고, 이후 지도자들과 같아지고자 하는 일종의 팬덤현상에 힘입어 2010년, 중국 자동차시장점유율 13%를 차지하게 되었다.
Ⅳ. 나아갈 방향
파생 상품을 팔아 주는 부가적인 시장일 뿐만 아니라, 시장 동향과 선호성에 대한 소중한 피드백을 무료로 제공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문화 상품들은 양면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으로는 산업의 경제적 이익에 봉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팬들의 문화적 이익에 봉사한다.
산업과 팬들 사이에는 팬들의 취향마저 통합시키려는 산업 측의 시도와 산업의 생산물들을 '배척'하려는 팬들의 시도 사이에서 벌어지는 갈등이 늘 존팬덤 문화는 문화 산업의 상업적 이익과 관련된다. 산업의 입장에서 팬들은 재한다."
"대중문화와 문화 산업의 관계는 그러므로 복합적이면서도 흥미로운 면이 있다. 때로는 갈등하고 때로는 협조적이거나 공모적이다“
그러므로 개개인의 문화적 이익과 문화의 충족을 통해서 팬덤문화의 성숙함으로 경제이익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문화영역으로 확대 발전되었으면 한다.
Ⅴ. 출처
- 이글루스, http://yswoov.egloos.com/1067330, 팬덤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daum.net/yoonho-vicky/2432, 굿즈
- 다음 스타존, http://telzone.daum.net/starzone/, 팬덤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80600, 팬덤의미
- 한류 지속과 기업의 활용방안, 고정민, 삼성경제연구소, 2005
그렇다면 팬덤시장에서는 어떤 ‘굿즈’들을 판매하고 있을까? 기본적으로 스티커, 이름표, 야광봉, 사진, 엽서, 포토카드 부터 개별재작 케릭터 상품, 휴대폰고리, 다이어리, 수건, 개별재작CD, 개별재작DVD, 화보집, 달력, 개별재작 텀블러, 자체재작영상 시사회 등, 활용 가능한 분야의 상품들을 생산 및 판매를 하고 있다.
이렇게 본인의 취향과 부합되는 다양한 상품을 만들기 위해 팬들은 다양한 분야의 기술과 지식을 습득한다. 이렇게 축적된 지식을 바탕으로 취업이 되는 사례들이 늘어남에 따라 팬덤 활동은 팬들의 생활에 깊숙이 자리매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3. 중국의 팬덤과 사례
1) 오리온 초코파이 ‘하오리오’
한국에서도 인기가 좋은 초코파이는 중국에서도 ‘하오리오’라는 상표로 인기를 얻고 있다. 특히 장동건과 소녀시대 유리를 내세운 광고를 통해 중국의 장동건과 소녀시대 팬들의 지지를 얻었다. 이 광고를 통해 초코파이의 판매량이 증가 하였다고 한다.
2) ‘무간도’ 증지위와 신라면
음식으로 둘째가라면 서러운 중국에서 사랑받는 음식종류 중 매운 음식에 대한 중국인들의 사랑은 남다르다. 이렇게 매운 음식이 많은 중국시장에서 ‘신라면’은 인지도와 판매량이 저조할 수 밖에 없었다. 농심은 이런 상황을 돌파하고자 홍콩영화의 스타인 ‘증지위’를 내세운 유쾌한 광고를 내보내면서, 중국 라면시장의 점유율과 판매량을 높일 수 있었다.
3) 지도자들의 자동차 ‘현대’
2000년 초반에만 하더라도 중국에서 현대자동차의 인지도는 바닥이었다. 하지만 이후 현대자동자는 브랜드 고급화를 중심으로 지도자들이 중시하는 차라는 이미지를 가지게 되었고, 이후 지도자들과 같아지고자 하는 일종의 팬덤현상에 힘입어 2010년, 중국 자동차시장점유율 13%를 차지하게 되었다.
Ⅳ. 나아갈 방향
파생 상품을 팔아 주는 부가적인 시장일 뿐만 아니라, 시장 동향과 선호성에 대한 소중한 피드백을 무료로 제공하는 존재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문화 상품들은 양면적인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으로는 산업의 경제적 이익에 봉사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팬들의 문화적 이익에 봉사한다.
산업과 팬들 사이에는 팬들의 취향마저 통합시키려는 산업 측의 시도와 산업의 생산물들을 '배척'하려는 팬들의 시도 사이에서 벌어지는 갈등이 늘 존팬덤 문화는 문화 산업의 상업적 이익과 관련된다. 산업의 입장에서 팬들은 재한다."
"대중문화와 문화 산업의 관계는 그러므로 복합적이면서도 흥미로운 면이 있다. 때로는 갈등하고 때로는 협조적이거나 공모적이다“
그러므로 개개인의 문화적 이익과 문화의 충족을 통해서 팬덤문화의 성숙함으로 경제이익과 사회에 기여할 수 있는 문화영역으로 확대 발전되었으면 한다.
Ⅴ. 출처
- 이글루스, http://yswoov.egloos.com/1067330, 팬덤
- 네이버 블로그, http://blog.daum.net/yoonho-vicky/2432, 굿즈
- 다음 스타존, http://telzone.daum.net/starzone/, 팬덤
- 네이버 백과사전, http://100.naver.com/100.nhn?docid=780600, 팬덤의미
- 한류 지속과 기업의 활용방안, 고정민, 삼성경제연구소, 2005
추천자료
청소년문화중에서 음악팬덤
아동소비 문화의 특징과 아동소비자 피해 사례
매스컴속 팬덤문화
한국과 중국 대학생의 문화적 차이에 따른 소비주의 가치관의 차이
욕망,광고,소비의 문화사
로이스로제와그의아들,딸-현대 사회의 소비 문화와 다원화된 동일성의 강제양상에 대하여.
몸에 대한 소비적 문화 현상과 의미
누가 문화예술을 소비하는가 & 누가 문화예술을 공급하는가
[소비자행동] 타문화와 비교한 한국문화의 특징
팬덤문화
[교육학개론] 팬덤 문화, 청소년문화,
[대중문화] 아이돌 팬덤(fandom)문화의 변질에 대한 비판적 분석 - 국내 대중가수 팬덤을 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