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비문학(口碑文學) 속에 나타난 ‘호랑이’ 비교 연구 - 중국 <호온전(虎媼傳)>과 한국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구비문학(口碑文學) 속에 나타난 ‘호랑이’ 비교 연구 - 중국 <호온전(虎媼傳)>과 한국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호온전>과 <해와 달이 된 오누이>의 서사구조

3. 호랑이 비교 분석

4. 맺은 말

본문내용

며, 결국 이런 욕심 때문에 나중에 죽음을 당한다.
3) 해학적 호랑이
<호온전>과 <해와 달이 된 오누이>를 읽어보면 결말부분에서 두 호랑이의 차이를 볼 수 있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에서 두 남매가 호랑이의 정체를 알아채고 호랑이에게 속임을 당하고 문을 열어준다. 호랑이는 나무위에 도망가 앉아 있는 남매한테 나무위에 올라가는 방법을 알려 달라고 한다. 남매는 참기름을 바르면 올라 올 수 있다고 호랑이에게 거짓으로 알려주었고, 호랑이가 그 말을 믿고 참기름을 발라서 나무에 오르려 하지만 미끄러지면서 실패를 한다. 이를 비롯하여 호랑이는 惡人속에 해학적 유형으로 분류한다. 하지만 <호온전>에서는 호랑이의 해학적 묘사가 구체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호랑이는 누나를 마저 잡아먹기 위해 동료 호랑이에게 도움을 청하려 잠시 자리를 비우고, 누나는 지나가는 나무꾼의 도움으로 도망치며 살아난다. 이 작품 속에서는 ‘호랑이’보다 누나의 총명과 용감함을 돋보이게 하는 것 같다. 어려운 일이 있을 때 주변 사람의 도움을 받고 어려움을 극복하는 의미로 표현을 한다. 반면 한국에 <해와 달이 된 오누이>중에서는 호랑이의 묘사가 아주 활발하게 흉악한 호랑이로 풍자되는 색채를 가지고 있다.
4) 호랑이의 죽음
<호온전>에서는 지나가는 나무꾼의 도움으로 누나는 목숨을 구했고, 옷을 나무위에 덮으며 호랑이를 속인다. 후에 돌아온 호랑이는 옷을 보고 누나가 아직도 나무위에 있는 줄 알고 같이 온 동료 호랑이들과 나무를 쓰러뜨린다. 하지만 누나는 없고 옷밖에 없자, 화가 난 동료 호랑이들은 외할머니 호랑이를 죽인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중에 두 남매가 기도를 하여 하느님에게 도움을 청하고 하늘로 올라간다. 호랑이가 두 남매를 따라 기도를 하였고 줄을 타고 하늘로 올라가다 떨어져서 죽는다. <호온전>과 <해와 달이 된 오누이>중에 호랑이가 죽는 결말은 똑같지만 죽은 방식과 독자에게 전달하는 의미는 사뭇 다르다.
<호온전>중의 호랑이가 다른 호랑이에게 죽임을 당하는 과정에서 당대 사회 배경으로 같은 민족 사이에 나타나는 갈등을 묘사 되는 것 같다. 그리고 <해와 달이 된 오누이>중에 호랑이의 죽음에 대해서는 자신이 파악하지 못하고 솟구치는 야욕을 채우기 위해서 하늘을 이용하려한다. 그리고 하늘은 그에게 헌 줄을 주었다. 해와 달이 된 오누이 민담에 투영 된 역사적 현실과 민중의 희망
지나친 욕심이 화인이 된다는 것을 볼 수 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4.07.22
  • 저작시기2013.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2992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