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쯔쯔가무시 [Tsutsugamushi][쯔쯔가무시 원인균, 쯔쯔가무시 역학, 쯔쯔가무시 전판경로, 쯔쯔가무시 계절별 발생, 쯔쯔가무시 임상 증상, 쯔쯔가무시 진단, 쯔쯔가무시 혈청 검사, 쯔쯔가무시 임상양상]
1. 원인균
-Orienta tsutsugamushi가 원인균
-절대 세포내 기생 세균
-Gram(-)
-Karp형, Gilliam형, Kata형이 있는데, 균주에 따라 항원성의 차이가 있다
-진드기를 매개체로 전파
-혈관 내피세포에서 증식하여 혈관염을 일으킴
-최근에 rickettsia속에서 분리, orienta라는 새로운 속으로 분류함
2. 역학
1) 전파경로
-털 진드기를 통해 전파
-알,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의 4단계
-유충에서 번데기로 가는 단계에서 반드시 동물의 조직액을 필요로 한다
-위 시기에 자연계 숙주나 사람이 노출되면 감염이 성립한다
-사람은 우연숙주(incidental host)임
- 기생숙주는 집쥐(Micorotus montebelli, Apodemus specious)이며 이외에 들쥐 등의 야생설치류가 자연계 내의 보유동물
-Orienta tsutsugamushi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의 조직액을 흡입 시 감염
2) 계절별 발생
-90% 이상에서 10월과 11월에 주로 발생
-12월에도 약 7% 발생하며 5-7월에도 수는 적지만 발생
3. 임상 증상
-고열, 두통, 발진 (rickettsia질환 공통 증상)
-1~3주의 잠복기→오한, 발열, 두통→기침, 근육통, 발진(체간에서 상하지로 퍼짐)
-발진은 체간에서 상하지로 퍼지며, 3~5mm정도의 크기로 약간 융기를 보이는 구진 형태
-가피(진단에 중요)는 5~10mm정도의 까만 딱지와 주위 발적: 털진드기에 물린 자리
1. 원인균
-Orienta tsutsugamushi가 원인균
-절대 세포내 기생 세균
-Gram(-)
-Karp형, Gilliam형, Kata형이 있는데, 균주에 따라 항원성의 차이가 있다
-진드기를 매개체로 전파
-혈관 내피세포에서 증식하여 혈관염을 일으킴
-최근에 rickettsia속에서 분리, orienta라는 새로운 속으로 분류함
2. 역학
1) 전파경로
-털 진드기를 통해 전파
-알,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의 4단계
-유충에서 번데기로 가는 단계에서 반드시 동물의 조직액을 필요로 한다
-위 시기에 자연계 숙주나 사람이 노출되면 감염이 성립한다
-사람은 우연숙주(incidental host)임
- 기생숙주는 집쥐(Micorotus montebelli, Apodemus specious)이며 이외에 들쥐 등의 야생설치류가 자연계 내의 보유동물
-Orienta tsutsugamushi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의 조직액을 흡입 시 감염
2) 계절별 발생
-90% 이상에서 10월과 11월에 주로 발생
-12월에도 약 7% 발생하며 5-7월에도 수는 적지만 발생
3. 임상 증상
-고열, 두통, 발진 (rickettsia질환 공통 증상)
-1~3주의 잠복기→오한, 발열, 두통→기침, 근육통, 발진(체간에서 상하지로 퍼짐)
-발진은 체간에서 상하지로 퍼지며, 3~5mm정도의 크기로 약간 융기를 보이는 구진 형태
-가피(진단에 중요)는 5~10mm정도의 까만 딱지와 주위 발적: 털진드기에 물린 자리
키워드
추천자료
급성 경막하 혈종 케이스 스터디
분만실 CASE P.P PLACENTA PREVIA 전치태반
간질환 간의 모양과 기능 간염 알코올성 간질환
의학적 관점에서의 인간 생명의 존엄성 문제
지역사회간호학 실습 지침서
분만 1,2,3,4기 간호
알레르기성 질병관리
[성인간호학] 식중독,장염(Gastroenteritis) 케이스스터디
임신부에 대한 장애 예방
[질환별 물리치료] 족저근막염
[성인간호학][Pneumonia][폐렴]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문헌고찰
angina pectoris
[아동간호학실습] 아동 폐렴 케이스 스터디(PNEUMONIA case study)
[여성건강간호학실습] 난소낭종(ovarian cyst) 케이스 스터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