쯔쯔가무시 [Tsutsugamushi]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쯔쯔가무시 [Tsutsugamushi]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없음

본문내용

쯔쯔가무시 [Tsutsugamushi][쯔쯔가무시 원인균, 쯔쯔가무시 역학, 쯔쯔가무시 전판경로, 쯔쯔가무시 계절별 발생, 쯔쯔가무시 임상 증상, 쯔쯔가무시 진단, 쯔쯔가무시 혈청 검사, 쯔쯔가무시 임상양상]


1. 원인균
-Orienta tsutsugamushi가 원인균
-절대 세포내 기생 세균
-Gram(-)
-Karp형, Gilliam형, Kata형이 있는데, 균주에 따라 항원성의 차이가 있다
-진드기를 매개체로 전파
-혈관 내피세포에서 증식하여 혈관염을 일으킴
-최근에 rickettsia속에서 분리, orienta라는 새로운 속으로 분류함
2. 역학
1) 전파경로
-털 진드기를 통해 전파
-알, 유충, 번데기 및 성충의 4단계
-유충에서 번데기로 가는 단계에서 반드시 동물의 조직액을 필요로 한다
-위 시기에 자연계 숙주나 사람이 노출되면 감염이 성립한다
-사람은 우연숙주(incidental host)임
- 기생숙주는 집쥐(Micorotus montebelli, Apodemus specious)이며 이외에 들쥐 등의 야생설치류가 자연계 내의 보유동물
-Orienta tsutsugamushi에 감염된 털진드기의 유충이 사람의 조직액을 흡입 시 감염
2) 계절별 발생
-90% 이상에서 10월과 11월에 주로 발생
-12월에도 약 7% 발생하며 5-7월에도 수는 적지만 발생
3. 임상 증상
-고열, 두통, 발진 (rickettsia질환 공통 증상)
-1~3주의 잠복기→오한, 발열, 두통→기침, 근육통, 발진(체간에서 상하지로 퍼짐)
-발진은 체간에서 상하지로 퍼지며, 3~5mm정도의 크기로 약간 융기를 보이는 구진 형태
-가피(진단에 중요)는 5~10mm정도의 까만 딱지와 주위 발적: 털진드기에 물린 자리
  • 가격1,6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7.31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워드(doc)
  • 자료번호#9313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