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법정조건
2. 감가상각비
3. 생장률의 계산
4. 벌채목의 재적 측정
5. 입목의 재적 측정
6. 임분의 재적 측정
7. 산림평가의 기본공식
8. 임지평가
9. 임목평가
2. 감가상각비
3. 생장률의 계산
4. 벌채목의 재적 측정
5. 입목의 재적 측정
6. 임분의 재적 측정
7. 산림평가의 기본공식
8. 임지평가
9. 임목평가
본문내용
식
-제 n년째의 수입의 전가 계산식 : 전가계산식(b)에 유한연년수입의 후가합계식(e)를 대입한다
-전가합계식 : 공비는 , , 항수는 n개 이므로 급수총화공식(c)를 이용하여 구한다
(b)식에 (e)식을 대입한 식을 정리하면
제 n년째까지의 전가합계식 : (g)
제 n년째의 수입의 전가계산식 : (h)
㉣상환금계산식
-일정 기간 동안에 일정액의 자본금을 상환하고자 할 때에 연불액, 즉 상환금을 계산하는 공식
-유한연년수입의 전가합계식(g)에서 r을 구하면 된다
(i)
(식에서 은 자본회수계수, 연부율, 부금률)
㉤상환기간계산식
-일정액의 자본을 매년 동일액의 상환금으로 상환하려고 할 때 소요되는 연한을 계산하는 것
-상환금계산식(i)를 이용하여 구한다
(j)
(의 값을 구한 후 후가계수표를 이용하여 n의 근사치를 구한다)
②유한정기수입
㉠후가합계식 : n년마다 R원씩 m회 수입될 경우의 후가를 구하는 것
(k)
㉡전가합계식 : 전가계산식(b)와 유한정기수입의 후가합계식(k)를 이용하여 구한다
제 m회 수입의 전가 계산식 : (l)
제 m회까지의 전가 합계식 : (m)
⑷무한수입의 복리산식
①무한연년수입의 전가합계(자본가)식
수입이 매년 말에 있을 경우 : (n)
수입이 매년 초에 있을 경우 : (연도 말 수입으로 환산) (o)
②무한정기수입의 전가합계식
㉠현재부터 n년마다 영구히 R원씩 수입될 경우
주벌수확과 같이 벌기마다 일정한 수입을 영구히 얻을 경우의 전가(자본가, 수익가)를 계산할 때 사용한다
(p)
(식에서 은 무한정기수입의 전가계수, 무한정기수입의 전가계수표에서 찾는다)
㉡제 1회 수입은 현재 곧 있고, 그 후부터는 n년마다 R원씩 수입될 경우
임지기망가 계산공식에서 조림비의 전가합계를 계산하는데 사용한다
(q)
(식에서 은 무한정기수입의 전가계수, 무한정기수입의 전가계수표에서 찾는다)
③제 1회 수입은 지금부터 a년 후에 있고, 그 후부터는 n년마다 R원씩 수입될 경우
임지기망가 계산공식에서 무육비나 간벌수확계산에 사용한다
(r)
(식에서 은 무한정기수입의 전가계수, 무한정기수입의 전가계수표에서 찾는다)
8.임지평가
⑴임지비용가
①임지를 원에 구입하고 동시에 임지개량비()와 관리비()를 투입한 후 현재까지 년이 경과한 현재까지 수입이 없을 경우
라고 나타내면,
②임지를 원에 구입한 후 매년 임지개량비()와 관리비()를 지출하고 년 때 수입()이 있을 경우
③년 전에 임지를 원에 구입하고 동시에 임지개량비()를 지출한 후 년이 경과한 현재 수입의 후가를 라 할 경우
④년 전에 임지를원에 구입한 후 매년 임지개량비()와 관리비()를 현재까지 지출하고 수입이 없을 경우
⑤년 전에 임지를 원에 구입하고 년 전에 임지개량비()를 지출한 후 현재까지 수입이 없을 경우
⑥년 전에 임지를 원에 구입하고 년 전에 임지개량비()를 지출한 후 현재까지 수입이 없을 경우
⑵임지기망가
①총수입 : 주벌수확(), 간벌수확(), 연년잡수익()
-주벌수확 (벌기 년마다 을 영구적으로 얻을 경우 그 전가)
(A)
-간벌수확 (조림 후 a년도에 , b년도에 , … , q년도에 가 있으며 이들 수확이 영구적으로 계속될 때의 그 전가합계)
(B)
-연년잡수익 (연년잡수익을 해마다 r원씩 영구적으로 얻는다고 할 때의 그 전가)
(C)
②비용 : 조림비(), 무육비(), 연년관리비()
-조림비 (초년도에 를 투입하고 그 후 년마다 를 투입할 때 그 전가)
(D)
-무육비 (조림 후 a년도에 , b년도에 , … , q년도에 가 지출되고, 이들 비용이 영구적으로 계속될 때 그 전가합계)
(E)
-연년관리비 (매년 원씩 년동안 지출된다고 가정할 때 관리비의 후가합계)
(F)
③임지기망가는 총수입의 전가합계에서 비용의 전가합계를 공제한 것이므로 (A)+(B)+(C)-(D)-(E)-(F)
-Faustmann의 임지기망가식
(G)
만약 무육비(제벌, 가지치기 등)을 조림비에 포함시킨다면 (G)식은 더 간단해진다
(H)
(H)식에서 조림비 항목을 변화시키면 이 되므로
(I)
-Heyer의 임지기망가식 : 제 1회의 조림비()과 제 2회의 조림비()의 차이가 클 경우
(J)
-Lehr식 : 벌기(n)이 변함에 따라 Bu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관찰하기 편하므로 Bu의 성질을 연구할 때 이용
(K)
-Spiegel의 수확수익가 : 서로 다른 지위급의 가치 비교를 위해 사용하는데, 조림비와 관리비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L)
⑶직접사례비교법
①대용법
②입지법
9.임목평가
⑴임목비용가
①비용
-지대 : 임지의 가격을 B라 하면 m년까지의 지가의 원리합계에 지가 B를 공제한 금액
-관리비 : 매년 v원씩 m년 동안 지출한 관리비(봉급, 사무비, 세금, 수리비 등)의 후가
-조림비 : 각 조림비(C)는 각각 지출연도가 다르지만 편의상 전부 초년도에 지출한 것으로 할인하여 계산한다
②수입
간벌수입 : 조림 후 a년도, b년도, …에 간벌수입 Ta, Tb, … 를 얻었을 경우 각 간벌수입의 후가
③임목비용가식 : 비용의 후가합계에서 수입의 후가합계를 공제한 것
⑵임목기망가
m년생의 임목이 n년 때 벌채된다고 할 때 각 인자
㉠수입 : 주벌수입(), 간벌수입(), (조림비는 계산인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주벌수익 (벌기 n년 때 주벌수입 Yr을 얻을 수 있을 때 그 현재가(전가))
-간벌수입 (m년 이후 벌기 n년 까지의 중간인 a년도에 간벌수입 Ta가 있다고 할 때 그 현재가)
㉡비용 : 지대(), 관리비()
-지대 (m년부터 벌기 n년까지 매년 지출대는 지대 B의 현재가)
-관리비 (매년 v원씩 n-m년 동안 지출할 관리비의 현재가)
㉢임목기망가식 : 수입의 전가합계에서 경비의 전가합계를 공제한 것
⑶Glaser법
①Glaser식
②Glaser의 보정식
육성임업에서는 투입비의 대부분이 조림 초기인 10년간에 편재하기 때문에 Glaser식을 실용적인 견지에서 일부를 보정한 것
③Martineit의 산림이용가법
천연림 등의 조림비가 없는 경우 는 0이 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을 얻게 된다
⑷시장가역산법
①시장가역산법의 기본식
ⓐ
②일반적인 시장가역산식
, , 이므로
ⓑ
③우리나라 산림청에서 적용하는 식
ⓒ
시장가역산법
-제 n년째의 수입의 전가 계산식 : 전가계산식(b)에 유한연년수입의 후가합계식(e)를 대입한다
-전가합계식 : 공비는 , , 항수는 n개 이므로 급수총화공식(c)를 이용하여 구한다
(b)식에 (e)식을 대입한 식을 정리하면
제 n년째까지의 전가합계식 : (g)
제 n년째의 수입의 전가계산식 : (h)
㉣상환금계산식
-일정 기간 동안에 일정액의 자본금을 상환하고자 할 때에 연불액, 즉 상환금을 계산하는 공식
-유한연년수입의 전가합계식(g)에서 r을 구하면 된다
(i)
(식에서 은 자본회수계수, 연부율, 부금률)
㉤상환기간계산식
-일정액의 자본을 매년 동일액의 상환금으로 상환하려고 할 때 소요되는 연한을 계산하는 것
-상환금계산식(i)를 이용하여 구한다
(j)
(의 값을 구한 후 후가계수표를 이용하여 n의 근사치를 구한다)
②유한정기수입
㉠후가합계식 : n년마다 R원씩 m회 수입될 경우의 후가를 구하는 것
(k)
㉡전가합계식 : 전가계산식(b)와 유한정기수입의 후가합계식(k)를 이용하여 구한다
제 m회 수입의 전가 계산식 : (l)
제 m회까지의 전가 합계식 : (m)
⑷무한수입의 복리산식
①무한연년수입의 전가합계(자본가)식
수입이 매년 말에 있을 경우 : (n)
수입이 매년 초에 있을 경우 : (연도 말 수입으로 환산) (o)
②무한정기수입의 전가합계식
㉠현재부터 n년마다 영구히 R원씩 수입될 경우
주벌수확과 같이 벌기마다 일정한 수입을 영구히 얻을 경우의 전가(자본가, 수익가)를 계산할 때 사용한다
(p)
(식에서 은 무한정기수입의 전가계수, 무한정기수입의 전가계수표에서 찾는다)
㉡제 1회 수입은 현재 곧 있고, 그 후부터는 n년마다 R원씩 수입될 경우
임지기망가 계산공식에서 조림비의 전가합계를 계산하는데 사용한다
(q)
(식에서 은 무한정기수입의 전가계수, 무한정기수입의 전가계수표에서 찾는다)
③제 1회 수입은 지금부터 a년 후에 있고, 그 후부터는 n년마다 R원씩 수입될 경우
임지기망가 계산공식에서 무육비나 간벌수확계산에 사용한다
(r)
(식에서 은 무한정기수입의 전가계수, 무한정기수입의 전가계수표에서 찾는다)
8.임지평가
⑴임지비용가
①임지를 원에 구입하고 동시에 임지개량비()와 관리비()를 투입한 후 현재까지 년이 경과한 현재까지 수입이 없을 경우
라고 나타내면,
②임지를 원에 구입한 후 매년 임지개량비()와 관리비()를 지출하고 년 때 수입()이 있을 경우
③년 전에 임지를 원에 구입하고 동시에 임지개량비()를 지출한 후 년이 경과한 현재 수입의 후가를 라 할 경우
④년 전에 임지를원에 구입한 후 매년 임지개량비()와 관리비()를 현재까지 지출하고 수입이 없을 경우
⑤년 전에 임지를 원에 구입하고 년 전에 임지개량비()를 지출한 후 현재까지 수입이 없을 경우
⑥년 전에 임지를 원에 구입하고 년 전에 임지개량비()를 지출한 후 현재까지 수입이 없을 경우
⑵임지기망가
①총수입 : 주벌수확(), 간벌수확(), 연년잡수익()
-주벌수확 (벌기 년마다 을 영구적으로 얻을 경우 그 전가)
(A)
-간벌수확 (조림 후 a년도에 , b년도에 , … , q년도에 가 있으며 이들 수확이 영구적으로 계속될 때의 그 전가합계)
(B)
-연년잡수익 (연년잡수익을 해마다 r원씩 영구적으로 얻는다고 할 때의 그 전가)
(C)
②비용 : 조림비(), 무육비(), 연년관리비()
-조림비 (초년도에 를 투입하고 그 후 년마다 를 투입할 때 그 전가)
(D)
-무육비 (조림 후 a년도에 , b년도에 , … , q년도에 가 지출되고, 이들 비용이 영구적으로 계속될 때 그 전가합계)
(E)
-연년관리비 (매년 원씩 년동안 지출된다고 가정할 때 관리비의 후가합계)
(F)
③임지기망가는 총수입의 전가합계에서 비용의 전가합계를 공제한 것이므로 (A)+(B)+(C)-(D)-(E)-(F)
-Faustmann의 임지기망가식
(G)
만약 무육비(제벌, 가지치기 등)을 조림비에 포함시킨다면 (G)식은 더 간단해진다
(H)
(H)식에서 조림비 항목을 변화시키면 이 되므로
(I)
-Heyer의 임지기망가식 : 제 1회의 조림비()과 제 2회의 조림비()의 차이가 클 경우
(J)
-Lehr식 : 벌기(n)이 변함에 따라 Bu가 어떻게 변하는가를 관찰하기 편하므로 Bu의 성질을 연구할 때 이용
(K)
-Spiegel의 수확수익가 : 서로 다른 지위급의 가치 비교를 위해 사용하는데, 조림비와 관리비가 포함되어 있지 않다
(L)
⑶직접사례비교법
①대용법
②입지법
9.임목평가
⑴임목비용가
①비용
-지대 : 임지의 가격을 B라 하면 m년까지의 지가의 원리합계에 지가 B를 공제한 금액
-관리비 : 매년 v원씩 m년 동안 지출한 관리비(봉급, 사무비, 세금, 수리비 등)의 후가
-조림비 : 각 조림비(C)는 각각 지출연도가 다르지만 편의상 전부 초년도에 지출한 것으로 할인하여 계산한다
②수입
간벌수입 : 조림 후 a년도, b년도, …에 간벌수입 Ta, Tb, … 를 얻었을 경우 각 간벌수입의 후가
③임목비용가식 : 비용의 후가합계에서 수입의 후가합계를 공제한 것
⑵임목기망가
m년생의 임목이 n년 때 벌채된다고 할 때 각 인자
㉠수입 : 주벌수입(), 간벌수입(), (조림비는 계산인자에 포함되지 않는다)
-주벌수익 (벌기 n년 때 주벌수입 Yr을 얻을 수 있을 때 그 현재가(전가))
-간벌수입 (m년 이후 벌기 n년 까지의 중간인 a년도에 간벌수입 Ta가 있다고 할 때 그 현재가)
㉡비용 : 지대(), 관리비()
-지대 (m년부터 벌기 n년까지 매년 지출대는 지대 B의 현재가)
-관리비 (매년 v원씩 n-m년 동안 지출할 관리비의 현재가)
㉢임목기망가식 : 수입의 전가합계에서 경비의 전가합계를 공제한 것
⑶Glaser법
①Glaser식
②Glaser의 보정식
육성임업에서는 투입비의 대부분이 조림 초기인 10년간에 편재하기 때문에 Glaser식을 실용적인 견지에서 일부를 보정한 것
③Martineit의 산림이용가법
천연림 등의 조림비가 없는 경우 는 0이 되므로 다음과 같은 식을 얻게 된다
⑷시장가역산법
①시장가역산법의 기본식
ⓐ
②일반적인 시장가역산식
, , 이므로
ⓑ
③우리나라 산림청에서 적용하는 식
ⓒ
시장가역산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