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벅스]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과 아시아 진출사례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스타벅스]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과 아시아 진출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스타벅스의 개요

2.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
1) 감성마케팅
2) SNS마케팅

3. 스타벅스의 성공비결
1) 최상의 제품
2) 최초로 커피 바 제조, 소매업 통합

4. 스타벅스의 아시아 진출 사례
1) 중국
2) 일본
3) 한국

5. 결론 및 시사점

본문내용

독점적 우위가 있으므로 그들의 니즈에 부합하고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경우에는 인터넷에서 보이는 중국특유의 국수주의가 매장 영업성과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게다가 현지에서 수행하는 교육 및 사회공헌 활동도 긍정적인 기업이미지 형성에 기인하였다. 그리고 전통차보다 상대적으로 저렴한 커피가격으로 성공을 거두었다.
2) 일본
일본 경제주간지 닛케이비즈니스는 최신호 커버스토리 ‘유행에 지지않는 경영’을 통해 소비자는 변덕이 심해 한때의 성공에 빠져드는 스타벅스 재팬의 경영은 실패하기 쉽다고 지적했다. 유행은 갑자기 왔다가 바람처럼 사라지기 때문에 최고경영자는 제품이 인기를 끄는 시점부터 소비침체기에 대비해야한다는 것이다.
3) 한국
1999년 이대점을 오픈한지 5년만에 서울 이태원에 100호점을 열었다. 5년만에 100호점을 호픈하며 영업 2년째 되는 해에 흑자를 이태원점에 달성하고 그 해 순익 전망 60억원 등 한국시장에서 스타벅스는 두드러진 성장세를 이어갔다. 숫자로 들어나는 경영 성과뿐만이 아니라 스타벅스는 원두커피의 고급화와 Take-out이라는 새로운 사회문화 현상을 창출했다. 스타벅스는 한국에서 세계 다른 지역에서는 찾기 힘든 기록을 보유하고 있다. 현지어로 간판을 붙인 매장도 서울 인사동 매장이 유일하다. 2001년 출점당시 지역주민들이 미국 문화의 상징으로 꼽히는 스타벅스의 출점을 반대하자 스타벅스 코리아측은 3개월 동안 본사를 설득하고 간판을 한글로 달고 전통 기와와 창살무늬로 인테리어를 했다. 결국 인사동 매장은 전 세계 스타벅스 매장 중 가장 아름다운 매장으로 꼽히고 있다. 전통문화의 거리에 융화하기 위해 한글 간판을 단 것과 같은 지역화 전략은 한국에서 스타벅스가 성공할 수 있었던 비결로 평가된다.
5. 결론 및 시사점
- 소비자들이 더욱 더 친환경적이고 도덕적인 기업들을 선호하는 추세를 반영해 윤리경영정책을 설립하고 이를 확장해 가는 스타벅스의 전략적인 정책을 미국 시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우리 기업들도 참고할 필요가 있다.
- 커피나 차라는 품목이 아니라 고객이 원하는 친근하고 편안한 이미지를 생성해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는 스타벅스의 마케팅 전략은 미국뿐 아니라 한국의 다양한 기업이 마케팅 활동에 활용할 것으로 기대된다.
- 국내의 경우 미국과는 달리 커피산업이 늦게 발달되기 시작하여 현재에 이르러 산업이 포화상태에 가까워지고 있다. 국내 스타벅스 코리아는 꾸준한 성장을 이루고 있으며 최근 여러 경쟁업체들 중에 내셔널 브랜드 ‘카페베네’는 단기간 내에 500호점을 돌파했다. 포화된 시장의 틈새를 노리고서 국내 기업들이 보이지 않는 ‘커피전쟁’을 펼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고속 성장 속에서 커피를 사업으로만 대했다가 쓴 잔을 들이켰던 스타벅스의 재도약이 더욱 의미를 갖는다. 스타벅스의 감성경영이 소비자의 입맛뿐 아니라 마음에도 적중했듯, 국내 커피 전문 업체들도 사업 확장에만 눈이 멀어 매장 확대에만 급급할 것이 아니라 소비자의 마음을 훔칠 수 있는 고객밀착의 경영전략에 눈을 돌려야 할 것이다.
  • 가격1,8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8.18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41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