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토리묵 및 청포묵 제조실험> 레포트입니다 [식품공학과 실험보고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토리묵 및 청포묵 제조실험> 레포트입니다 [식품공학과 실험보고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실험제목
2. 실험목적 및 원리
3. 실험재료
4. 실험방법
6. 실험결과
7. 고찰

본문내용

이렇게 묵을 제조하여 우리 조의 묵을 먼저 관능평가 해보았는데 청포묵은 정말 쫀득쫀득하고 맛있었는데, 도토리묵은 식감이 너무 좋지 않았다. 청포묵은 손으로 눌렀을 때도 탱탱했지만 도토리묵은 제대로 굳지 않았는지 문드러졌다.
묵의 맛을 관능평가 했을 때 가장 맛있다고 평가한 도토리묵은 3조였고, 청포묵은 4조였다. 대체적으로 3, 4 조의 묵 제조 비율이 좋았다고 판단이 된다. 향을 비교하였을 땐 도토리묵은 5조, 청포묵은 3조가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으며 6조는 비율이 너무 높았기 때문인지 향이 너무 강하다고 평가되었다. 조직감을 비교하였을 땐 도토리묵은 1조, 청포묵은 4조가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고 색을 비교하였을 땐 도토리묵은 1조 청포묵은 2조가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다. 색의 비교에서 6조의 도토리묵은 너무 황토색의 묵이 만들어져 보기에 좋지 않았다. 종합적인 기호도를 비교하였을 때엔 도토리묵은 1조, 청포묵은 4조가 가장 좋다고 평가되었다. 또 마지막으로 휘어짐 정도를 비교해 보았는데 도토리가루, 청포가루의 함량이 적을수록 휘어짐 정도가 큰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묵이 만들어진 양도 비교를 해봤어야 했지만 학생들이 측정을 하지 않았기 때문에 계산을 할 수 없어 아쉬웠다.
이번 실험에서 청포, 도토리가루 함량에 따른 조별 실험 결과를 보았을 때 1조부터 6조까지의 결과가 가루의 함량에 비례한 결과가 나오지 못하였다. 그 원인을 분석한 결과 조별 불의 세기 및 가열시간의 차이에 의하여 맛, 향, 조직감, 색 등 결과의 큰 오차가 난 것 같다. 묵의 굳기는 가열시간에 영향을 많이 미치고, 묵을 오래 가열할수록 수분이 증발하기 때문이다. 실험하기 전에 조별 불의 세기 및 가열시간을 일정하게 하도록 해서 실험에 임했으면 결과는 더 잘 나왔을 것이라고 예측한다. 집에서 묵을 제조할 때는 어머니께서 직접 도토리를 이용해서 제조하시는 것 같은데 지금까지는 내가 관심이 없어 정확한 제조법을 보지 못했지만, 이제는 도토리묵 및 청포묵의 제조 원리를 배웠으니, 다시 묵을 만들 기회가 생긴다면 같이 만들어보도록 해야겠다.
6. 참고문헌
http://www.happycampus.com/doc/4171710/?agent_type=naver
http://book.naver.com/bookdb/text_view.nhn?bid=4475136&dencrt=RkI0Z87FJMALDcsPOv7c7wUAsxDl7LCN7KUg%252B1feQCU%253D&term=%B9%AC+amylose&query=%EB%AC%B5+amylose
http://academic.naver.com/view.nhn?doc_id=14785631&dir_id=0&page=0&query=%EB%AC%B5%20%EC%95%84%EB%B0%80%EB%A1%9C%EC%8A%A4%20%EA%B8%B8%EC%9D%B4&ndsCategoryId=10406
7. 참고사진
< 청포묵가루와 도토리묵가루 > < 60℃의 완성된 청포묵 > < 58℃의 완성된 도토리묵>
< 완성된 묵을 틀에 담는 사진 >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8.20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433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