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자본주의의 개념
-자본주의의 정의
-자본주의의 발생과정
2. 자본주의의 윤리성 비판
-자본주의 윤리성의 필요성
-신학적
-마르크스주의
-자본주의 한계
3. 결 언
-자본주의의 정의
-자본주의의 발생과정
2. 자본주의의 윤리성 비판
-자본주의 윤리성의 필요성
-신학적
-마르크스주의
-자본주의 한계
3. 결 언
본문내용
들어 합승마차나 난로 난방 또는 무성영화 애호가인들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나는 어쩔 수 없이 자동차나 중앙난방 그리고 유성영화를 소비하거나 아니면 소극적인 저항을 할 수 밖에 없는 걸...” 대량 생산 산업과 대량 구매력은 자본주의의 평등화 성향을 야기한다. 이러한 소비의 평등화 성향은 개인적 소비 양식을 성취하는데 커다란 장애요인으로 작용한다. 이것은 자본주의가 개인적인 생활양식과 방식을 보장해 줄 수 있다는 논거에 의미 있는 물음표를 갖게 한다.
황금만능주의
돈을 삶의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겨 모든 것을 돈과 연관시켜 생각하고 돈이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돈 제일주의를 일컫는다. 인생의 목적 역시 돈을 모으는데 두기 때문에 심할 경우에는 돈을 신격화 하는 현상이 빚어지기도 한다.
마르크스는 <자본론>에서 이런한 현상을 물신 숭배로 정의하고 노동력의 산물인 상품 화폐 자본들이 오히려 신앙 또는 숭배의 대상이 되는 생산체제를 비판하였다. 실제로도 대부눈의 사회 경제 심리학자들은 현대 배금 주의 풍조가 산업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있다. 즉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물질적 가치기 정신적 가치를 앞서가게 되고 이로 인해 황금 만능주의 풍조과 생겨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문제는 삶의 최고 가치를 돈에 두게 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 각종 사회 현상들인데 이들 현상들이 국가 사회에 전반에 미치는 해악이 너무 크다는데 그 심각성이 있다고 학자들은 지적한다.
결 언
자본주의가 가진 속성상 인간의 이기심과 욕망의 극대화를 통해 자본주의는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어떻게 보면 인간의 악한 면만을 먹고 자라는 악의 나무일 지도 모른다. 자신의 이윤을 위해서 자신이 가진 정보를 가지고 최대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판단을 하고 이러한 판단을 하여 시장에 참여하게 되고 이것은 인간이 아닌 자신 스스로의 욕망을 극대화 시키려는 목적에 그 끝을 두고 있다. 이 과정 속에서 개인들은 윤리 마저도 경제적으로 바꾸어 생각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제까지 수업 시간을 통해 배워왔던 현대 윤리적인 이슈들이 결국은 자본주의의 폐단으로 인해 발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자본주의는 현존하는 가장 빠른 속도로 사회를 끌어나가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경제제도임에는 반론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이러한 시각 - 사회주의의 이데올로기 실험이 실패로 끝나고 자본주의가 완벽한 승리를 거둔 것처럼 보는 시각-은 위험하다. 이러한 상황은 자본주의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의지를 마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사회 체계와 마찬가지로 경제제도도 쇄신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지속적인 발전을 향한 의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우리는 자본주의과 과연 단일하게 실현될 수 있는 준거의 틀로서 적절한지 이 외의 방법은 없는지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 자료
<자본주의 윤리학> 페터코블로브스키 -철학과현실사-
<쉽게 읽는 마르크스주의> 크리스 하먼 -북막스-
<반 자본주의선언> 알렉스 켈리니코스 -책갈피-
<경제사 강의> 김대래 -신지서원-
황금만능주의
돈을 삶의 가장 중요한 가치로 여겨 모든 것을 돈과 연관시켜 생각하고 돈이면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돈 제일주의를 일컫는다. 인생의 목적 역시 돈을 모으는데 두기 때문에 심할 경우에는 돈을 신격화 하는 현상이 빚어지기도 한다.
마르크스는 <자본론>에서 이런한 현상을 물신 숭배로 정의하고 노동력의 산물인 상품 화폐 자본들이 오히려 신앙 또는 숭배의 대상이 되는 생산체제를 비판하였다. 실제로도 대부눈의 사회 경제 심리학자들은 현대 배금 주의 풍조가 산업화에서 비롯되었다고 보고 있다. 즉 산업화가 진행되면서 물질적 가치기 정신적 가치를 앞서가게 되고 이로 인해 황금 만능주의 풍조과 생겨나게 되었다는 것이다. 문제는 삶의 최고 가치를 돈에 두게 되면서 나타나기 시작한 각종 사회 현상들인데 이들 현상들이 국가 사회에 전반에 미치는 해악이 너무 크다는데 그 심각성이 있다고 학자들은 지적한다.
결 언
자본주의가 가진 속성상 인간의 이기심과 욕망의 극대화를 통해 자본주의는 더욱 발전할 수 있는 어떻게 보면 인간의 악한 면만을 먹고 자라는 악의 나무일 지도 모른다. 자신의 이윤을 위해서 자신이 가진 정보를 가지고 최대한 합리적이고 효율적인 판단을 하고 이러한 판단을 하여 시장에 참여하게 되고 이것은 인간이 아닌 자신 스스로의 욕망을 극대화 시키려는 목적에 그 끝을 두고 있다. 이 과정 속에서 개인들은 윤리 마저도 경제적으로 바꾸어 생각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제까지 수업 시간을 통해 배워왔던 현대 윤리적인 이슈들이 결국은 자본주의의 폐단으로 인해 발생되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지만 한편으로는 자본주의는 현존하는 가장 빠른 속도로 사회를 끌어나가고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경제제도임에는 반론할 여지가 없다. 하지만 이러한 시각 - 사회주의의 이데올로기 실험이 실패로 끝나고 자본주의가 완벽한 승리를 거둔 것처럼 보는 시각-은 위험하다. 이러한 상황은 자본주의의 모순을 극복하기 위한 의지를 마비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다른 사회 체계와 마찬가지로 경제제도도 쇄신할 필요가 있으며 더불어 지속적인 발전을 향한 의지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우리는 자본주의과 과연 단일하게 실현될 수 있는 준거의 틀로서 적절한지 이 외의 방법은 없는지에 대해서 논의하는 것은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참고 자료
<자본주의 윤리학> 페터코블로브스키 -철학과현실사-
<쉽게 읽는 마르크스주의> 크리스 하먼 -북막스-
<반 자본주의선언> 알렉스 켈리니코스 -책갈피-
<경제사 강의> 김대래 -신지서원-
키워드
추천자료
[정치경제] 국가론 (자본주의 자유주의
세계화와 국가 현대 자본주의
종교 혁명 또는 청교도 윤리는 자본주의 발전의 원인인가, 아니면 결과인가?
포르노와 이데올로기(포르노그래피와 자본주의적관점과 가부장적 권력관계분석)
모럴 헤저드의 극복 - 유교자본주의의 부활
한국사회에서 권위주의 지배와 자본주의jo
[복지국가]한국사회에서 자본주의와 사회복지와의 관련성
괴테의 파우스트를 읽고(자본주의의 문화적 모순)
경제공동체의 시대) 글로벌 자본주의 한계와 상생경제의 시대
에스핑앤더슨 『복지 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
[서평] 자본주의4.0 (The New capitalism:4.0 is coming.) _ 아나톨 칼레츠키(Anatole Kalets...
[독후감] 자본주의 4.0 : 신자유주의를 대체할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 _ 아나톨 칼레츠키 저
[감상문, 분석] <자본주의 4.0>에 대해서 _ 아나톨 칼레츠키 (Anatole Kaletsky) 저
사회복지국가의 사회복지 역사와 발전과정을 논술하고 자본주의국가의 문제와 해결방안에 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