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phytochemical
■ phytochemical의 역할
■ Phytochemical의 종류
French paradox란?
유리 라디칼(Free radicals)
질병과 phytochemical
항산화 영양소와 암의 관계
순환기계 질환
무지개색 채소와 과일의 예
■ phytochemical의 역할
■ Phytochemical의 종류
French paradox란?
유리 라디칼(Free radicals)
질병과 phytochemical
항산화 영양소와 암의 관계
순환기계 질환
무지개색 채소와 과일의 예
본문내용
: 순환기계 질환(심장마비, 관상동맥경화증 등)에 의한 사망률을 감소시킴.
: 토코페롤이라고도 불리며 생체막이나 지단백질에 존재하면서 지질이 과산화되는
연쇄반응을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
: 대부분의 과일과 채소는 종류와 상관없이 보통 여러 가지 종류의 phytochemical을 보유.
질병과 phytochemical
암
- phytochemical의 주요 기능 중에 하나는 암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 (간암,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등)
-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작용
세포막 혹은 DNA, LDL-콜레스테롤 등의 산화를 막는 일은 비타민C, 비타민E 등과
함께 phytochemical이 담당해야 하는 주된 업무.
- 암이 빠르게 진행되도록 유도하는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암화를 억제하는
효소의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암을 예방.
- 식품 중의 위해성분이 발암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저지.
- 이소플라본 등의 phytoestrogen이나 셀레늄, 카테친류는 암화가 개시된 암세포가
종양으로 발전하는 것을 저지.
항산화 영양소와 암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긍정적인 시각
- 항산화 영양소는 유리 라디칼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암 예방 및 치료에 좋음
- 항산화 영양소는 암예방 효과가 없더라도 암의 공격성을 약화시킴
부정적인 시각
- 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가 비타민 A와 E를 복용하면 오히려 암세포의
확산을 가속화시키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
- 암세포가 다량의 비타민C를 소비함으로써 각종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음
- 비타민 C가 유전자 손상 물질을 만들어 종양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내용도
있음
항산화 영양소는 암의 예방이나 진행을 지연시킬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양면성을 가진 물질
- 따라서 고농도로 농축된 영양제를 복용하는 것보다는 항산화 영양소를 많이 함유한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현명한 방법
순환기계 질환
- Phytochemical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은 순환기계 질환을 예방하는데도 중요함
- 체내 항산화 성분이 부족하면 산화된 저밀도지단백(oxidized LDL)이 많이 생성되는데,
이들은 동맥혈관에 형성되는 플라크의 구성요소가 됨
- 엽산 섭취가 부족할 때는 동맥경화의 위험인자가 될 수 있는 호모시스테인의 생성이
증가
- phytochemical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소판의 응집력을 낮추며, 동맥경화성
지단백질인 LDL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순환기계 질환은 비만과 관련이 깊음
- 비만한 사람일수록 동맥경화,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등의 위험성이 훨씬 높음
- 비만방지를 위해 동물성 지방이 많은 식품 대신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
- 심장병과 순환기계 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일석이조의 효과
- 여러 종류의 과일과 채소, 곡류와 두류를 충분히 섭취할 경우에는 갖가지
phytochemical을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함께 섭취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상승효과도누릴 수 있고, 개개의 물질을 과잉섭취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독성문제로부터도 비교적 자유로 울 수 있다고 할 것임
무지개색 채소와 과일의 예
빨강 토마토, 수박, 딸기
주황 당근, 호박, 살구, 감
노랑(주황) 오렌지, 귤, 황도, 파인애플
노랑(초록) 무청, 갓, 옥수수, 그린빈, 완두콩, 멜론
초록 시금치, 브로콜리, 양배추
초록(흰색) 마늘, 파, 양파, 배, 버섯, 샐러리, 백포도주
보라(빨강) 딸기, 포도, 포도주스, 적포도주. 가지, 자두, 체리
: 토코페롤이라고도 불리며 생체막이나 지단백질에 존재하면서 지질이 과산화되는
연쇄반응을 차단하는 중요한 역할.
: 대부분의 과일과 채소는 종류와 상관없이 보통 여러 가지 종류의 phytochemical을 보유.
질병과 phytochemical
암
- phytochemical의 주요 기능 중에 하나는 암을 예방할 수 있다는 것 (간암, 대장암,
유방암, 전립선암 등)
- 강력한 항산화제로서 작용
세포막 혹은 DNA, LDL-콜레스테롤 등의 산화를 막는 일은 비타민C, 비타민E 등과
함께 phytochemical이 담당해야 하는 주된 업무.
- 암이 빠르게 진행되도록 유도하는 효소의 활성을 감소시키거나 암화를 억제하는
효소의활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암을 예방.
- 식품 중의 위해성분이 발암물질로 전환되는 것을 저지.
- 이소플라본 등의 phytoestrogen이나 셀레늄, 카테친류는 암화가 개시된 암세포가
종양으로 발전하는 것을 저지.
항산화 영양소와 암은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긍정적인 시각
- 항산화 영양소는 유리 라디칼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암 예방 및 치료에 좋음
- 항산화 영양소는 암예방 효과가 없더라도 암의 공격성을 약화시킴
부정적인 시각
- 화학요법과 방사선 치료를 받는 암환자가 비타민 A와 E를 복용하면 오히려 암세포의
확산을 가속화시키는 역효과를 가져올 수 있음
- 암세포가 다량의 비타민C를 소비함으로써 각종 화학요법이나 방사선 치료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작용을 나타낼 가능성이 있음
- 비타민 C가 유전자 손상 물질을 만들어 종양을 유발시킬 수 있다는 새로운 연구내용도
있음
항산화 영양소는 암의 예방이나 진행을 지연시킬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오히려
암을 유발할 수 있는 양면성을 가진 물질
- 따라서 고농도로 농축된 영양제를 복용하는 것보다는 항산화 영양소를 많이 함유한
식품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고 현명한 방법
순환기계 질환
- Phytochemical을 충분히 섭취하는 것은 순환기계 질환을 예방하는데도 중요함
- 체내 항산화 성분이 부족하면 산화된 저밀도지단백(oxidized LDL)이 많이 생성되는데,
이들은 동맥혈관에 형성되는 플라크의 구성요소가 됨
- 엽산 섭취가 부족할 때는 동맥경화의 위험인자가 될 수 있는 호모시스테인의 생성이
증가
- phytochemical은 혈중 콜레스테롤 수치와 혈소판의 응집력을 낮추며, 동맥경화성
지단백질인 LDL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음
- 순환기계 질환은 비만과 관련이 깊음
- 비만한 사람일수록 동맥경화, 고혈압, 울혈성 심부전 등의 위험성이 훨씬 높음
- 비만방지를 위해 동물성 지방이 많은 식품 대신 채소와 과일을 충분히 섭취
- 심장병과 순환기계 질환 예방에도 도움이 되는 일석이조의 효과
- 여러 종류의 과일과 채소, 곡류와 두류를 충분히 섭취할 경우에는 갖가지
phytochemical을 섭취할 수 있기 때문에 이들을 함께 섭취함으로써 얻을 수 있는
상승효과도누릴 수 있고, 개개의 물질을 과잉섭취함으로써 야기될 수 있는
독성문제로부터도 비교적 자유로 울 수 있다고 할 것임
무지개색 채소와 과일의 예
빨강 토마토, 수박, 딸기
주황 당근, 호박, 살구, 감
노랑(주황) 오렌지, 귤, 황도, 파인애플
노랑(초록) 무청, 갓, 옥수수, 그린빈, 완두콩, 멜론
초록 시금치, 브로콜리, 양배추
초록(흰색) 마늘, 파, 양파, 배, 버섯, 샐러리, 백포도주
보라(빨강) 딸기, 포도, 포도주스, 적포도주. 가지, 자두, 체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