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성경의 배경의 사도 및 속사도 시대의 정치적상황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약성경의 배경의 사도 및 속사도 시대의 정치적상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해서 130년 팔레스틴을 방문하였고 의도적으로 예루살렘에 강경책을 펼쳤다.
② 132~136년에는 시므온 바 코흐바가 제2차 유대 독립전쟁을 일으켰다. 당대의 석학 율법학자 랍비 아키바는 그를 메시아로 추대하여, [민 24:17]에 나오는 '별의 아들' (바 코흐바)이라고 선언했다.
③ 바 코흐바는 132년 초에 예루살렘을 장악하였다. 이에 시리아의 안디옥에 순행을 나와 있던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바로 약 4만 명으로 구성된 군단을 출격시켰다.
④ 136년 바 코흐바는 베들레헴 근교의 바티르 마을 전투에서 전사하고, 아키바는 유대인들을 부추긴 죄로 로마군에게 처형되었다. 유대전쟁은 유대 북부부터 착실히 점령해 나간 로마군에 의해 134년 초의 예루살렘 함락 후 136년의 바티르 전투를 끝으로 종결 이 전쟁으로 요새 50개가 모두 파괴되었고, 985개의 마을이 잿더미가 되었으며, 50만이나 되는 유대인이 목숨을 잃었다. 134년 초 예루살렘이 함락되자 유대인들은 예루살렘 남서쪽 베틸 요새로 옮겨 136년 9월 26일까지 항쟁을 지속하였다. 이 때 바르 코크바는 전사하고, 포로가 된 랍비 아키바는 고문을 받다가 죽었다. 이 날은 70년 당시 예루살렘이 함락된 날과 같은 날이었다고 한다. 70년 성전이 붕괴된 날은 주전 586년 압월 9일(양력 7-8월) 느브갓네살에 의해서 성전이 붕괴된 날짜와도 같다고 한다. 4세기경부터는 남아있는 성전 터(통곡의 벽)에서 곡할 수 있도록 일년에 한 차례 예루살렘 출입이 허락되었다. 이날 유대인들은 하루 종일 금식하고, 구약성경 '예레미야 애가'를 읽으면서 그 날의 역사적 의미를 반추하고 있다.
되었다.
⑤ 유대전쟁이 끝난 후 하드리아누스 황제는 전후처리에 나서게 되었다.
1) 유대는 더 이상 유대로 불리지 않고 팔레스틴이 공식 명칭으로 정해졌다.
2) 예루살렘이라는 이름도 사라지고 아에리아 카피톨리나로 바뀌었다.
3) 예루살렘에서 유대교도를 모조리 추방하라는 명령을 내려 유대인의 예루살렘 거주를 금지했다. 결국 유대인들로 하여금 유대 땅을 떠나 각지로 흩어지게 하였다.
4) 로마에 대한 유대인들의 대규모 저항은 완전히 자취를 감추도록 하였다.
⑥ 이런 상황에서 유대인들은 그들의 신앙을 기준으로 하나로 연대하고, 유대인의 정체성을 유지하게 되었다.
4. 기독교와 유대교의 관계
① 제 1차 유대독립 전쟁(66-70)때 유대계 그리스도인들은 독립 운동에 가담하지 않고 요단강 건너, 갈릴리 호수에서 남쪽으로 28Km 떨어진 펠라로 피신했다.
② 85년경 유대인들은 얌니아에서 18조 기도문 중 제 12조 기도문에 그리스도인들을 단죄하는 구절을 덧 붙였다.
③ 115-117년 키레네 출신 루쿠아스 안드레아스가 메시아로 자처하여 독립운동을 할 때와 제 2차 유대 독립 전쟁(132-135) 때, 바 코흐바가 메시아로 자처하여 독립운동을 할 때 그리스도인들은 가담하지 않았다.
Ⅳ. 유대사회의 변화
1. 70년 성전파괴로 인한 구심점의 상실
① 성전이 파괴됨으로서 제사장들은 자신의 세력을 과시할 제도적 기반(제사제도, 제사장계급)을 상실하게 되었으며, 결국 산헤드린도 사라지게 되어 이스라엘 본토의 유대인 공동체에는 더 이상 사회적 기존체제가 존재하지 않았다.
② 해외의 유대인에게도 더 이상 그들을 결속할 중심이 없게 되었다.
2. 랍비적 유대교(회당)의 역할
① 요하난 벤 자카이를 중심으로 한 유대교는 유대전쟁의 패배의 원인이 율법에 대한 불순종 때문이었다고 생각하고 율법을 엄격하게 지키는 것이 이스라엘을 회복할 수 있는 길이라는 사상을 지배적으로 나타냈다.
② 회당을 중심으로 모이는 유대교의 형태는 율법이 유대사회의 유일한 요소로 부상되어 랍비가 흩어진 유대인들의 구심점이 되었다.
3. 유대교에 대한 로마의 태도 : 랍비적 유대교는 로마에 대해 무력적인 항거를 반대했던 자들로 구성되었으므로 로마 또한 랍비적 유대교의 독립적 행동을 방해하지 않았다.
4. 랍비적 유대교(회당)와 기독교 공동체의 갈등 시작
① 성전 파괴 후 율법을 중심으로 한 종교적 공동체의 모습으로 유대인을 이끌려 했을 때 유대인 그리스도인들은 율법을 다소 무시하거나 철저히 지키는 않음으로써 랍비적 유대교가 지향하는 유대공동체의 결집력을 약화시켰다.
② 로마가 그리스도인들의 제국 내 여러 지역에 선교활동으로 인한 부흥을 하나의 유대교 종파의 정치적 집단으로 생각하고 오인하게 된다면 랍비적 유대교의 활동을 묵인하는 로마와의 좋은 관계가 위협을 받게 될 것을 염려했다.
  • 가격1,8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4.09.03
  • 저작시기2008.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614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