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돌봄 지원법의 입법배경과 개정사항, 돌봄사업의 현재 진행 경과와 이에 대한 의견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아이돌봄 지원법의 입법배경과 개정사항, 돌봄사업의 현재 진행 경과와 이에 대한 의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아이돌봄 지원법 개요

2. 아이돌봄 지원사업 등장배경

3. 아이돌봄 지원사업의 추진배경

4. 아이돌봄 지원사업의 추진 경과

5. 아이돌봄 지원사업 정책 내용과 변화

6. 아이돌봄 지원사업 현황
1) 아이돌봄 지원사업 현황
2) 아이돌보미 양성교육현황
3) 아이돌봄 서비스 회원가입 현황
4) 실 이용가구 현황

7.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의 어려움과 문제점

8.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의 어려움 해결을 위한 방법 제안

9. 참고문헌

본문내용

때, 아이돌보미에 대한 평가도 수시로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개선이 필요한 부분을 개선하도록 조치하고, 그래도 반복적으로 부정적인 행동이 수정되지 않을 때는, 교육 의무, 근로정지, 자격 박탈 등의 법적인 제제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넷째, 우리나라 보육정책이 일하는 여성의 자녀양육 문제를 해결해 주고자 하는 의도에서 출발했지만 여전히 개별 가정의 보육비용 부담완화로만 그치고 있다. 자녀 양육은 재정이 부족한 가정만 힘든 것이 아니라 보편적으로 모두 겪는 어려움이기 때문에 아무리 무상보육이 확대되었다 하더라도 메우지 못하는 부분이 존재할 수밖에 없다. 자녀양육지원제도인 아이돌봄서비스가 부모들의 다양한 자녀양육 수요를 충족하면서 아동성장과 발달, 부모의 취업지원이라는 두 가지 목표에 부합되도록 정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아이돌봄서비스가 아동 돌봄의 보편적서비스로 보육시설의 보완재가 아니라 대체재로 기능해야 할 것이다.
9. 참고문헌
고선주(2012). 저출산 대응: 가족내 자녀양육지원강화. 한국심리학회지 18(1). P.53~76
김미경(2012). 여성노동시대-일,가족양립을 위한 여성주의 사회복지. 나눔의 집 P.251~271
김선미·이기영·이승미·김은정·김소영·류재언(2010). 자녀양육지원사업개선방안-아이돌보미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여성가족부
백경희(2012). 울산광역시 아이돌봄 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대한 연구. 울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여성가족부·한국건강가정진흥원(2011), 아이돌봄지원사업 결과보고서
장참샘(2014). 아이돌봄서비스의 이용경험 연구. 전남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가격1,8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4.09.03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622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