굿놀이 자료모음 (굿놀이, 무당의 성격, 무당굿놀이)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굿놀이 자료모음 (굿놀이, 무당의 성격, 무당굿놀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굿놀이
1. 굿과 굿놀이 개념
2. 무당굿의 목적

무당의 성격
1. 강신무
2. 세습무

무당굿놀이
무당굿놀이목적분류

본문내용

아 인간에게 신의 뜻을 전하는 공수를 내린다.
(작두타기는 신의 강림을 보여주는 예이다.)
- 신의 영력에 의해 인간사를 풀이해 주는 무당을 ‘영험’하다고 평가함.
2. 세습무 : 무인의 가계 출신이 세습하여 무당이 된 경우.
(세습무계 출신의 남자와 결혼한 후 시어머니로부터 기능을 물려받은 세습 관계 속에서 무업을 계승하는 것)
-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 세습에 의해 인위적으로 무당이 되기에 영력과 관계없이 제의를 집행한다.
- 세습무는 제의적 행위나 춤, 노래 등을 통해 신을 즐겁게 하고 신에게 인 간의 소원을 빌어 준다. 굿거리에 따라 무복을 갈아입지 않고, 방울이나 삼지창 같은 무구를 사용하지 않음.
- 특별한 볼거리가 없으며 신의 입장에서 공수도 내리지 않는다.
- 목이 좋아 소리를 잘하고 덕담이 풍부하고 멋들어진 춤을 추는 무당을 훌 륭한 무당이라고 여기고 그 굿을 재미있는 굿이라고 간주한다.
무당굿놀이: 무당굿에 나타나는 극적인 속성, 놀이적인 속성, 재미를 추구하는 속성등에 주목한다. 무당굿놀이는 말이나 몸짓 혹은 춤과 노래를 중심으로 해서 어떤 내용을 보여주는 것
지역
무당굿놀이
평안도
자리곰방놀이, 제석굿방아놀이
황해도
영산대감 영산할아
  • 가격7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4.09.05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631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