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굿놀이
1. 굿과 굿놀이 개념
2. 무당굿의 목적
무당의 성격
1. 강신무
2. 세습무
무당굿놀이
무당굿놀이목적분류
1. 굿과 굿놀이 개념
2. 무당굿의 목적
무당의 성격
1. 강신무
2. 세습무
무당굿놀이
무당굿놀이목적분류
본문내용
아 인간에게 신의 뜻을 전하는 공수를 내린다.
(작두타기는 신의 강림을 보여주는 예이다.)
- 신의 영력에 의해 인간사를 풀이해 주는 무당을 ‘영험’하다고 평가함.
2. 세습무 : 무인의 가계 출신이 세습하여 무당이 된 경우.
(세습무계 출신의 남자와 결혼한 후 시어머니로부터 기능을 물려받은 세습 관계 속에서 무업을 계승하는 것)
-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 세습에 의해 인위적으로 무당이 되기에 영력과 관계없이 제의를 집행한다.
- 세습무는 제의적 행위나 춤, 노래 등을 통해 신을 즐겁게 하고 신에게 인 간의 소원을 빌어 준다. 굿거리에 따라 무복을 갈아입지 않고, 방울이나 삼지창 같은 무구를 사용하지 않음.
- 특별한 볼거리가 없으며 신의 입장에서 공수도 내리지 않는다.
- 목이 좋아 소리를 잘하고 덕담이 풍부하고 멋들어진 춤을 추는 무당을 훌 륭한 무당이라고 여기고 그 굿을 재미있는 굿이라고 간주한다.
무당굿놀이: 무당굿에 나타나는 극적인 속성, 놀이적인 속성, 재미를 추구하는 속성등에 주목한다. 무당굿놀이는 말이나 몸짓 혹은 춤과 노래를 중심으로 해서 어떤 내용을 보여주는 것
지역
무당굿놀이
평안도
자리곰방놀이, 제석굿방아놀이
황해도
영산대감 영산할아
(작두타기는 신의 강림을 보여주는 예이다.)
- 신의 영력에 의해 인간사를 풀이해 주는 무당을 ‘영험’하다고 평가함.
2. 세습무 : 무인의 가계 출신이 세습하여 무당이 된 경우.
(세습무계 출신의 남자와 결혼한 후 시어머니로부터 기능을 물려받은 세습 관계 속에서 무업을 계승하는 것)
- 남부지방에 분포한다.
- 세습에 의해 인위적으로 무당이 되기에 영력과 관계없이 제의를 집행한다.
- 세습무는 제의적 행위나 춤, 노래 등을 통해 신을 즐겁게 하고 신에게 인 간의 소원을 빌어 준다. 굿거리에 따라 무복을 갈아입지 않고, 방울이나 삼지창 같은 무구를 사용하지 않음.
- 특별한 볼거리가 없으며 신의 입장에서 공수도 내리지 않는다.
- 목이 좋아 소리를 잘하고 덕담이 풍부하고 멋들어진 춤을 추는 무당을 훌 륭한 무당이라고 여기고 그 굿을 재미있는 굿이라고 간주한다.
무당굿놀이: 무당굿에 나타나는 극적인 속성, 놀이적인 속성, 재미를 추구하는 속성등에 주목한다. 무당굿놀이는 말이나 몸짓 혹은 춤과 노래를 중심으로 해서 어떤 내용을 보여주는 것
지역
무당굿놀이
평안도
자리곰방놀이, 제석굿방아놀이
황해도
영산대감 영산할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