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교생산비설 - 리카도(D. Ricardo)의 이론, 고전이론에 대한 비판(수송비,비용의 다양성)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비교생산비설 - 리카도(D. Ricardo)의 이론, 고전이론에 대한 비판(수송비,비용의 다양성)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비교생산비설

Ⅰ. 리카도의 이론

Ⅱ. 고전이론에 대한 비판

1. 수송비
2. 비용의 다양성

본문내용

은 후계자들에 의해 수정되어 왔다.
II. 고전이론에 대한 비판
고전적 비교생산비설에 대한 한계점을 제시한 것은 토우시그(F. W. Taussig)가 주장한 것 이외에도 19세기와 20세기 초에 걸쳐 여러 번 있었다. 많은 학자들은 고전학파가 주장하는 이론이 2국 2재의 세계를 전제로 하고 있다는 이유에서 비판하였고, 또 다른 학자들은 수송비의 논의가 빠져 있다고도 지적하였다. 비용은 불변이라는 리카아도의 후계자들의 가정도 문제가 되었다. 고전파의 전통이론을 계승하는 많은 논의들은 비교생산비이론을 2재 이상의 상품이 무역 양국 간에 교환되는 현실적인 상황을 적용시키려 노력했다.
아마도이 분야에서 가장 유명한 사람은 만골트(H. von Mangoldt)이며, 에지워드(F. Y. Edgeworth)에 의해서 요약 발전되었다. 만골트와 에지워드 연구방법은 다수재의 경우에는 실질비용의 지식만으로는 어떤 나라에 의해 어느 재화가 수입되고, 어느 재화가 수출되는지를 충분히 설명할 수 없다는 것을 인정했다. 수출입 무역의 패턴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2국에서의 상대적 화폐임금률을 알 필요가 있다. 만약 그 비용의 변동, 예를 들자면 임금이 B국에서보다A국이 많이 상승한다면 A국으로부터 수출되고 있던 재화는 이미 수출할 수 없게 될지도 모른다. 이는 수출했던 재화가 수입재로서 둔갑을 할지도 모를 일이다.
1. 수송비
지금까지의 논의에서 분명히 빠져 있는 것은 수송비를 고려하지 않은 점이다. 초기 무역이론은 수송비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다른 많은 경제 분석에도 생략되고 있다.
수송비의 존재는 국제무역의 이윤과 패턴에 상당한 영향을 줄 것이다. 만약 생산물을 A국으로부터 B국에 수송하는 비용이 양국에 있어서 생산물의 국내가격 차이보다 크다면 수송비가 없던 경우의 무역은 발생하지도 않을 것이다.
2. 비용의 다양성
고전파 이론은 그 불변비용의 가정이 비판되어 왔다. 1국의 비용체증의 산업에 비교생산비 우위가 있고 비용체감의 산업에 열위라 한다면 전자의 산업화에 특화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비판이 그레이엄(F. D. Gram)에 의해서 행해졌다.
그레이엄은 최초, A국이 시계제조에, B국은 소맥재배에 비교우위를 갖는다고 가정했을 때, 양국은 시계제조는 비용체감이고 소맥재배는 비용체증이라 한다면, A국이 시계의 생산을 확대한다면 시계제조 산업은 체감적인 "규모의 경제"를 누릴 것이고, 한편 소맥의 산출량이 감소한다면 소맥 생산지는 단위비용의 저하에서 이익을 얻게 될 것이다. 즉 자원의 이전에 따른 A국의 이익은 명백하다. 그러나 B국의 경우, 소맥의 생산확대는 비용의 상승으로 연결되고 시계생산의 축소는 비용체증을 가져온다. 이와 같이 B국은 노동의 생산성이 양산업에서 하락할 것이다.
그레이엄의 분석은 많은 점에서 비판을 받을지는 모르지만 아마도 그의 설명에 가장 근본적인 약점은 비용체증의 적용방법일 것이다. 나이트(F. H. Knight)가 지적한 바와 같이 그레이엄은 내부경제와 외부경제의 의의를 구별하지 못했다. 고 반박을 받았다.
  • 가격2,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4.09.20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377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