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음식궁합
3. 궁합이 잘 맞는 음식
4. 궁합이 맞지 않는 음식
5. 결론
6. 참고자료
2. 음식궁합
3. 궁합이 잘 맞는 음식
4. 궁합이 맞지 않는 음식
5. 결론
6. 참고자료
본문내용
그러나 음식을 부적절하게 섭취하면 우리의 대장은 음식에서 오는 독성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서 독소가 대장의 민감한 점막을 손상시키기 전에 독소를 에워싸려고 상당한 양의 점액을 분비한다. 이러한 일이 식사때마다 매일 매주 매년 끊임없이 일어난다고 생각해 보라. 대장은 끊임없이 점액을 분비하게 되고 이러한 점액은 쌓여서 대장 주름 사이에 끼이게 되며 그 결과 대장의 구멍은 좁아지면서 삼투압 현상에 의해 독소가 끊임없이 혈액속으로 빨려들어가게 된다.
장에 독소 점액이 끼여 지속적으로 압박이 가해지면 장벽 바깥쪽으로 마치 혹과 같은 주머니들이 생겨나는데 이를 게실이라고 한다. 게실과 같은 대장 환경의 부패가 대장염이나 암 등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
치킨과 맥주를 줄여 부르는 '치맥', 무더운 여름 저녁의 인기 메뉴다. 하지만 치맥 앞에 침만 꿀꺽 삼켜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 통풍 환자다.
통풍은 혈액 내 요산의 농도가 높아질 때 생긴다. 배출되지 못한 요산이 혈액을 통해 관절의 연골과 힘줄, 주위 조직으로 침투해 염증을 일으킨다. 요산은 염증의 형태로 관절 안에서 뭉치고 딱딱해지면서 관절을 변형시키고 신장에 돌을 만들기도 한다. 바람만 불어도 아프다고 해서 통풍이라 병명이 붙을 만큼 통증도 심하다.
통풍 환자의 90%는 남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통풍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지난해 29만 2113명으로 그 중 남성이 26만 6320명(91.17%)이었다. 연령별로는 40~50대가 약 절반(13만 2759명)으로 가장 많다.
통풍은 요산의 농도가 높을 때 생긴다. 요산은 핵산의 구성성분인 퓨린이 체내에서 대사과정을 거치면서 만들어지는 최종 분해 산물이다. 단백질을 음식으로 섭취하면 그 안에 핵산 성분이 있고, 핵산 성분인 퓨린이 체내에서 대사과정을 거치면서 요산이 된다. 따라서 치킨 같은 고단백식품일수록 퓨린 함유량도 높다. 맥주 역시 주원료인 맥주보리에 퓨린이 많다.
이 때문에 과거에는 술과 고기를 즐기던 부유층이나 왕이 많이 걸린다고 해서 ‘부자의 병’, ‘왕의 병’이라고 불렀다. 나폴레옹과 알렉산더 대왕, 영국의 헨리 8세도 통풍을 앓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나라 역시 식습관의 변화로 지난 2009년 20만 1131명이던 환자가 4년 새 9만 982명(45.24%)늘어 이제는 30만 명(29만 2113명, 2013년)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여름은 통풍 환자 수가 가장 많은 계절이다. 햇볕과 높은 습도에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혈액 속의 요산의 양은 일정해도 체내 수분량이 줄어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남성 호르몬과 나이 탓도 있다. 요산은 신장에서 배출하는데 나이가 들수록 신장 기능이 약해지면서 요산 배출 능력도 떨어지기 때문. 또 남성호르몬은 신장에서 요산의 재흡수를 촉진해 혈중 요산 농도를 높게 한다. 반면 여성 호르몬은 신장에서 요산의 재흡수를 억제해 배출을 촉진하기 때문에 여성의 경우 주로 폐경기 이후 통풍이 나타난다.
피로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스트레스가 많거나 수술을 받은 경우, 무리한 운동으로 몸이 피로해지면서 체내 노폐물이 쌓이게 되는데 이 때 요산도 함께 남는다.
가족력도 영향을 미친다. 전체 통풍 환자의 3~6%를 차지하는 25세 이하의 환자의 경우 80%는 가족력이 원인이다.
요산 농도의 기준치는 남자는 7.0mg/dl(milligram per deciliter, 데시리터 당 밀리그램, 콜레스테롤·혈당의 단위), 여자는 6.0mg/dl로 통풍 환자의 약 98%가 기준치를 넘는다.
증상은 관절 주위가 붉게 변하면서 붓고 찌르는 듯한 느낌을 동반한다. 주로 무릎과 그 아래 부분, 특히 엄지발가락에서 많이 나타나지만 손가락 등 관절이 있는 곳이라면 어느 부위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통증은 갑자기 발생할 때가 많은데 보통 늦은 밤이나 새벽, 아침에 일어날 때 느끼는 경우가 많다. 통증은 몇 시간 이내 사라지거나 하루나 이틀 정도 이어지기도 하지만 심한 경우 몇 주간 계속 되기도 한다.
치료를 받아 증상이 없어지더라도 다수의 환자는 6개월에서 2년 사이 증상을 다시 경험한다. 하지만 치료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다. 치료 받지 않은 경우, 증상의 빈도는 시간이 갈수록 더 길고 심해진다.
통풍 진단을 받고 10년 정도 지나면 귓바퀴에 마치 물사마귀 같은 요산염 덩어리가 생긴다. 그리고 20년 정도 지나면 환자의 1/4 정도는 손가락이나 손, 발가락과 발목, 무릎 등에도 울퉁불퉁한 요산염 결정이 생기면서 관절이 뻣뻣해지고 통증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관절 변형도 일어나 손과 발의 형태가 변하기도 한다.
진단은 혈액 검사를 통해 요산 농도를 측정하거나 통풍이 의심되는 관절에 주사기로 윤활액을 뽑아내 요산염 덩어리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치료는 요산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 요산 이뇨제와 요산 생성 억제제 등을 사용한다. 전문가들은 "통풍은 완치가 되는 병이 아니다"라며 "통증이 없어졌다고 약을 끊었다가 혈관이나 심장, 신장 합병증으로 고생하는 경우도 흔하다"고 조언했다.
통풍을 예방하고 요산 농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식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아무리 더운 여름이라도 치맥은 금물. 특히 닭과 돼지고기 같은 육류와 맥주, 특히 소고기 등 붉은 고기와 동물의 간과 내장, 고등어와 꽁치 등 푸른 생선, 새우 등에 퓨린 성분이 많다. 하지만 단백질도 우리 몸에 필수 영양소이기 때문에 단백질 섭취를 위해 고기보다 우유나 계란, 치즈 등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6. 참고자료
비타민아이(www.vitamini.pe.kr) . 음식궁합
고경일 외[2004], 잊을 수 없는 밥 한 그릇, 도서출판 한길사
정해옥 외 1명, 한국음식의 이해, 교학연구사. 2011
이성우[2000], 식생활과 문화, 수학사
존 로빈스[2002], 음식혁명 : 육식과 채식에 관한 1000가지 이해와 오해, 시공사
김재홍(2007.01.23) . 〔건강〕‘음식궁합’ 얕보다간 큰 탈난다 . 경향닷컴 뉴스메이커
문영애(2009.05.18) . 먹는 법 따라 약 되고 독 되는 음식 궁합 . 내일신문
조후종[2001], 조후종의 우리음식이야기, 한림출판사
장에 독소 점액이 끼여 지속적으로 압박이 가해지면 장벽 바깥쪽으로 마치 혹과 같은 주머니들이 생겨나는데 이를 게실이라고 한다. 게실과 같은 대장 환경의 부패가 대장염이나 암 등으로 발전하게 되는 것이다.
치킨과 맥주를 줄여 부르는 '치맥', 무더운 여름 저녁의 인기 메뉴다. 하지만 치맥 앞에 침만 꿀꺽 삼켜야 하는 사람들이 있다. 통풍 환자다.
통풍은 혈액 내 요산의 농도가 높아질 때 생긴다. 배출되지 못한 요산이 혈액을 통해 관절의 연골과 힘줄, 주위 조직으로 침투해 염증을 일으킨다. 요산은 염증의 형태로 관절 안에서 뭉치고 딱딱해지면서 관절을 변형시키고 신장에 돌을 만들기도 한다. 바람만 불어도 아프다고 해서 통풍이라 병명이 붙을 만큼 통증도 심하다.
통풍 환자의 90%는 남자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통풍으로 병원을 찾은 환자는 지난해 29만 2113명으로 그 중 남성이 26만 6320명(91.17%)이었다. 연령별로는 40~50대가 약 절반(13만 2759명)으로 가장 많다.
통풍은 요산의 농도가 높을 때 생긴다. 요산은 핵산의 구성성분인 퓨린이 체내에서 대사과정을 거치면서 만들어지는 최종 분해 산물이다. 단백질을 음식으로 섭취하면 그 안에 핵산 성분이 있고, 핵산 성분인 퓨린이 체내에서 대사과정을 거치면서 요산이 된다. 따라서 치킨 같은 고단백식품일수록 퓨린 함유량도 높다. 맥주 역시 주원료인 맥주보리에 퓨린이 많다.
이 때문에 과거에는 술과 고기를 즐기던 부유층이나 왕이 많이 걸린다고 해서 ‘부자의 병’, ‘왕의 병’이라고 불렀다. 나폴레옹과 알렉산더 대왕, 영국의 헨리 8세도 통풍을 앓았던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나라 역시 식습관의 변화로 지난 2009년 20만 1131명이던 환자가 4년 새 9만 982명(45.24%)늘어 이제는 30만 명(29만 2113명, 2013년)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구나 여름은 통풍 환자 수가 가장 많은 계절이다. 햇볕과 높은 습도에 땀을 많이 흘리기 때문에 혈액 속의 요산의 양은 일정해도 체내 수분량이 줄어 농도가 높아지기 때문이다.
남성 호르몬과 나이 탓도 있다. 요산은 신장에서 배출하는데 나이가 들수록 신장 기능이 약해지면서 요산 배출 능력도 떨어지기 때문. 또 남성호르몬은 신장에서 요산의 재흡수를 촉진해 혈중 요산 농도를 높게 한다. 반면 여성 호르몬은 신장에서 요산의 재흡수를 억제해 배출을 촉진하기 때문에 여성의 경우 주로 폐경기 이후 통풍이 나타난다.
피로도 원인이 될 수 있다. 스트레스가 많거나 수술을 받은 경우, 무리한 운동으로 몸이 피로해지면서 체내 노폐물이 쌓이게 되는데 이 때 요산도 함께 남는다.
가족력도 영향을 미친다. 전체 통풍 환자의 3~6%를 차지하는 25세 이하의 환자의 경우 80%는 가족력이 원인이다.
요산 농도의 기준치는 남자는 7.0mg/dl(milligram per deciliter, 데시리터 당 밀리그램, 콜레스테롤·혈당의 단위), 여자는 6.0mg/dl로 통풍 환자의 약 98%가 기준치를 넘는다.
증상은 관절 주위가 붉게 변하면서 붓고 찌르는 듯한 느낌을 동반한다. 주로 무릎과 그 아래 부분, 특히 엄지발가락에서 많이 나타나지만 손가락 등 관절이 있는 곳이라면 어느 부위든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통증은 갑자기 발생할 때가 많은데 보통 늦은 밤이나 새벽, 아침에 일어날 때 느끼는 경우가 많다. 통증은 몇 시간 이내 사라지거나 하루나 이틀 정도 이어지기도 하지만 심한 경우 몇 주간 계속 되기도 한다.
치료를 받아 증상이 없어지더라도 다수의 환자는 6개월에서 2년 사이 증상을 다시 경험한다. 하지만 치료 효과가 없는 것은 아니다. 치료 받지 않은 경우, 증상의 빈도는 시간이 갈수록 더 길고 심해진다.
통풍 진단을 받고 10년 정도 지나면 귓바퀴에 마치 물사마귀 같은 요산염 덩어리가 생긴다. 그리고 20년 정도 지나면 환자의 1/4 정도는 손가락이나 손, 발가락과 발목, 무릎 등에도 울퉁불퉁한 요산염 결정이 생기면서 관절이 뻣뻣해지고 통증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관절 변형도 일어나 손과 발의 형태가 변하기도 한다.
진단은 혈액 검사를 통해 요산 농도를 측정하거나 통풍이 의심되는 관절에 주사기로 윤활액을 뽑아내 요산염 덩어리가 있는지를 확인한다.
치료는 요산의 농도를 낮추기 위해 요산 이뇨제와 요산 생성 억제제 등을 사용한다. 전문가들은 "통풍은 완치가 되는 병이 아니다"라며 "통증이 없어졌다고 약을 끊었다가 혈관이나 심장, 신장 합병증으로 고생하는 경우도 흔하다"고 조언했다.
통풍을 예방하고 요산 농도를 관리하기 위해서는 제일 먼저 식습관 개선이 필요하다. 아무리 더운 여름이라도 치맥은 금물. 특히 닭과 돼지고기 같은 육류와 맥주, 특히 소고기 등 붉은 고기와 동물의 간과 내장, 고등어와 꽁치 등 푸른 생선, 새우 등에 퓨린 성분이 많다. 하지만 단백질도 우리 몸에 필수 영양소이기 때문에 단백질 섭취를 위해 고기보다 우유나 계란, 치즈 등으로 섭취하는 것이 좋다.
6. 참고자료
비타민아이(www.vitamini.pe.kr) . 음식궁합
고경일 외[2004], 잊을 수 없는 밥 한 그릇, 도서출판 한길사
정해옥 외 1명, 한국음식의 이해, 교학연구사. 2011
이성우[2000], 식생활과 문화, 수학사
존 로빈스[2002], 음식혁명 : 육식과 채식에 관한 1000가지 이해와 오해, 시공사
김재홍(2007.01.23) . 〔건강〕‘음식궁합’ 얕보다간 큰 탈난다 . 경향닷컴 뉴스메이커
문영애(2009.05.18) . 먹는 법 따라 약 되고 독 되는 음식 궁합 . 내일신문
조후종[2001], 조후종의 우리음식이야기, 한림출판사
추천자료
사회복지:인간관계 훈련-배경,의의,효과,훈련프로그램
인간중심모델-사회복지실천
인간행동과사회환경3A)매슬로(매슬로우/Maslow) 이론과 로저스(Logers) 이론의 인본주의적 공...
인간행동과사회환경 A형)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
인간행동과사회환경=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
인간행동과사회환경1A)행동발달에 대한 프로이트(S. Freud)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인간행동과사회환경1D)행동발달에 대한 매슬로(A. Maslow)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
인간행동과사회환경=매슬로 이론과 로저스 이론의 인본주의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
인간행동과사회환경 C형)행동발달에 대한 반두라(A. Bandura)이론의 특징과 의의를 설명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아들러 이론과 매슬로 이론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인간행동과사회환경3A) 프로이트 정신분석이론과 융의 분석심리학의 이론적 공통점과 차이점...
인간행동과사회환경3D)매슬로 이론과 로저스 이론의 인본주의적 공통점과 차이점에 대하여 설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