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무시할 수 없다. 시장. 에토스, 모랄은 국가간에 분쟁이 없는 평화의 시기에만 실현될 수 있는 가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지구적 상도동 주민이 자신이 속할 수 있는 경계의 끝인 지구시민사회의 진정한 지구시민이라면 시장, 에토스, 모랄, 평화를 모두 사유할 수밖에 없다는 결론에 도달한다. 지구시민사회가 국가, 국제사회, 세계사회와 공존하고 있는 것이다.
추천자료
한국에서 시민사회 운동의 의의
한국의 시민사회와 민주주의 전망
시민사회란 무엇인가?
중국 시민사회의 형성과 그 특성-사대부적 공공영역
공공정책과 시민사회) 공급시각과 수요시각
[시민사회의 이념적 시각] 헤프너-재노스키, 월저-디킨, 하이든-반틸, 에드워즈-폴리의 분류
국가와 시민사회의 관계
시장과 시민사회 관계) 시장에 대한 견제세력, 신자유주의와 기업의 특권 및 가버넌스 모델
글로벌 시민사회의 등장과 NGO의 역할
권력과 시민사회_아렌트의 권력론을 중심으로
중국 시민사회의 형성과 특징
한국 시민사회의 형성과 변천 100년
시민사회운동과 정당의 관계 및 유형에 관한 연구
남북통일의 과제-시민사회의 역할,남북 통일의 장애요인,북한 체제 변화,한민족 공동체 통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