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사의 수업 행동 분석
2. 교사의 수업 행동에 대한 평가의 준거
1) 배호순의 수업 실기 평가 준거
2) 원효원의 수업 행동 평가 준거
3. 수업 평가 준거에 대한 검토와 비판
2. 교사의 수업 행동에 대한 평가의 준거
1) 배호순의 수업 실기 평가 준거
2) 원효원의 수업 행동 평가 준거
3. 수업 평가 준거에 대한 검토와 비판
본문내용
‘학습 능력 및 요구에 따른 개별화’, ‘요약 및 정리(선행 조직자의 활용)’, ‘학습 난이도 조절’, ‘학습 내용의 구조화’, ‘조직적인 자료의 활용’, 이렇게 7개의 요인이 들어 있다. 그런데 이 7개의 요인은 개별적인 요인으로 인식될 뿐, 이로부터 그 상위의 개념인 ‘수업 구조화’의 모습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하위 요인인 7개의 요인을 어떤 방식으로 어떤 비중으로 어떻게 통합하여야 상위 개념인 ‘수업 구조화’를 이룰 수 있는지도 알 수 없다다.
넷째, 앞에서 지적한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위의 교사의 수업 행동 분석에는 수업 또는 학습에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텍스트(교과서 또는 교재)와 학습의 당사자인 학생에 대한 고려가 너무 소홀히 되어 있다. 교사의 수업은 상당한 정도로 교재에 의존된다. 우리 나라나 미국의 학교 수업에서 교사 수업의 80% 이상이 교과서의 내용과 방법에 의존되고 있다는 연구들이 이를 잘 증명해 준다. 학교 수업에서 텍스트가 차지하는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텍스트를 배제한 교사 행동만의 수업 분석은 교사와 학생 사이의 역동적 과정인 수업 연구로 적합하다고 볼 수 없다.
다섯째, 교사의 수업은 학생의 학습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에서는 교사 위주의 교수보다는 오히려 학생 중심의 학습에 대한 고려가 더 요청된다. 따라서 교실 수업은 교사 중심보다는 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교실 수업에 대한 연구는 교사 중심의 연구보다는 학생 중심의 연구로 그 전체적인 방향이 바뀌어야 한다.
학생 중심의 수업 운영과 수업 분석 연구는 최근 교육에서 크게 강조되고 있는 사고력 및 창의력과도 관련된다. 지식 기반 사회의 도래와 함께 학교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반성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교육 정책 방향 그리고 학자들의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에서 종래의 지식보다는 학생들의 사고력 및 창의력 개발이 더 강조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사고력과 창의성 개발을 위해서는 수업 장면에서 학생들에 대한 교육적 배려가 요청된다. 가령, 학생들의 배경 지식에 대한 연구, 텍스트와 학생의 배경 지식 사이의 상호 작용에 따른 텍스트 이해 과정에 대한 연구, 학생의 유목적적인 학습 활동인 ‘공부(studying)’에 대한 연구, 초인지 연구 등이 바로 수업 연구가 교수가 아닌 학습, 교사가 아닌 학생 중심의 연구로 그 방향을 선회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넷째, 앞에서 지적한 내용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서, 위의 교사의 수업 행동 분석에는 수업 또는 학습에서 매우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텍스트(교과서 또는 교재)와 학습의 당사자인 학생에 대한 고려가 너무 소홀히 되어 있다. 교사의 수업은 상당한 정도로 교재에 의존된다. 우리 나라나 미국의 학교 수업에서 교사 수업의 80% 이상이 교과서의 내용과 방법에 의존되고 있다는 연구들이 이를 잘 증명해 준다. 학교 수업에서 텍스트가 차지하는 중요성에 비추어 볼 때, 텍스트를 배제한 교사 행동만의 수업 분석은 교사와 학생 사이의 역동적 과정인 수업 연구로 적합하다고 볼 수 없다.
다섯째, 교사의 수업은 학생의 학습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교수-학습에서는 교사 위주의 교수보다는 오히려 학생 중심의 학습에 대한 고려가 더 요청된다. 따라서 교실 수업은 교사 중심보다는 학생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교실 수업에 대한 연구는 교사 중심의 연구보다는 학생 중심의 연구로 그 전체적인 방향이 바뀌어야 한다.
학생 중심의 수업 운영과 수업 분석 연구는 최근 교육에서 크게 강조되고 있는 사고력 및 창의력과도 관련된다. 지식 기반 사회의 도래와 함께 학교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반성이 이루어지고, 그 결과 교육 정책 방향 그리고 학자들의 연구에서는 학교 교육에서 종래의 지식보다는 학생들의 사고력 및 창의력 개발이 더 강조되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런데 사고력과 창의성 개발을 위해서는 수업 장면에서 학생들에 대한 교육적 배려가 요청된다. 가령, 학생들의 배경 지식에 대한 연구, 텍스트와 학생의 배경 지식 사이의 상호 작용에 따른 텍스트 이해 과정에 대한 연구, 학생의 유목적적인 학습 활동인 ‘공부(studying)’에 대한 연구, 초인지 연구 등이 바로 수업 연구가 교수가 아닌 학습, 교사가 아닌 학생 중심의 연구로 그 방향을 선회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추천자료
(교육문제연구론)수업을 다룬 연구물 하나를 선택하여 그 방법 및 연구결과에 대해 비판적으...
수준별수업(교육과정, 수준별학습)의 의미와 분류, 수준별수업(교육과정, 수준별학습) 필요성...
[교육사회학] 해석적 접근(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낙인)(방어적수업)
개별화수업(교육, 개별화학습)의 의미와 성립요건, 개별화수업(교육, 개별화학습)의 필요성과...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 의미와 종류, 개별화학습(교육지도, 개별화수업) 교육프로...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개념과 필요성, 특별보충과정(학습, 수업)의 연구사례, 특별보충...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의미와 도입이유, 심화보충형 수준별교육과정(수업) 선행연...
체육과교육(수업, 학습) 형태와 연구, 체육과교육(수업, 학습) 내용, 체육과교육(수업, 학습)...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의 선행연구, 컴퓨터보조수업(CAI, 컴퓨터보조학습)의 ...
리더십의 전통적 접근법(특성론적 접근, 행동과학적 접근, 상황론적 접근)과 21세기 리더십...
[신용위험측정, 신용위험측정 배경, 신용위험측정 모형, 신용위험측정 전통적 접근법]신용위...
[교육학] 질전연구와 양적연구 (질적연구와 양적연구의 차이점, 질적 연구방법과 질적 자료의...
[행정학개론] 행정학의 접근방법의 개념과 유형, 전통적 접근방법, 인간관계론, 형태론적 접...
전통적인 접근방식과 구성주의 접근방식 중에서 유아 수학교육을 위해 효과적이고 적절한 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