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생은 유통관리와 저온유통 위생이 있으며 유통관리는 TTT(Time, Temperature, Tolerence; 식품의 허용 온도 시간)에 유의 한다.
저온유통 위생은 냉장법, 빙온냉장법, 심온 동결법으로 구분된다. 위해요소중점관리 기준의 약자인 HACCP의 목적은 식품으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는 것으로 식품업체, 소비자, 정부의 입장이 모두 유리하다. 우리나라 HACCP의 의무 적용 품목으로는 어육가공품(어묵류), 냉동수산식품(어류, 연체류, 조미가공품), 냉동식품(피자류, 만두류, 면류), 빙과류, 비가열음료, 레토르트식품, 배추김치가 있다. HACCP 시스템은 1단계부터 5단계까지는 예비단계이며 6단계부터 12단계까지는 실제 적용단계로 구성되어 각각 원칙을 적용한다. 원칙1은 위해요소의 분석을 실시하고, 원칙2는 중요 관리점의 결정, 원칙 3은 각 중요 관리점의 한계기준 설정, 원칙4는 각 중요 관리점의 모니터링 방법의 설정, 원칙 5는 한계기준을 초과할 때 시정 방법의 설정, 원칙 6은 검증과정의 수립, 원칙 7은 기록 보관 및 문서화과정 수립이다. HACCP 인증마크는 농림수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일정한 위생조건을 만족한 업체에 부여한다.
저온유통 위생은 냉장법, 빙온냉장법, 심온 동결법으로 구분된다. 위해요소중점관리 기준의 약자인 HACCP의 목적은 식품으로 인한 위해를 방지하는 것으로 식품업체, 소비자, 정부의 입장이 모두 유리하다. 우리나라 HACCP의 의무 적용 품목으로는 어육가공품(어묵류), 냉동수산식품(어류, 연체류, 조미가공품), 냉동식품(피자류, 만두류, 면류), 빙과류, 비가열음료, 레토르트식품, 배추김치가 있다. HACCP 시스템은 1단계부터 5단계까지는 예비단계이며 6단계부터 12단계까지는 실제 적용단계로 구성되어 각각 원칙을 적용한다. 원칙1은 위해요소의 분석을 실시하고, 원칙2는 중요 관리점의 결정, 원칙 3은 각 중요 관리점의 한계기준 설정, 원칙4는 각 중요 관리점의 모니터링 방법의 설정, 원칙 5는 한계기준을 초과할 때 시정 방법의 설정, 원칙 6은 검증과정의 수립, 원칙 7은 기록 보관 및 문서화과정 수립이다. HACCP 인증마크는 농림수산식품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청에서 일정한 위생조건을 만족한 업체에 부여한다.
키워드
추천자료
웰빙 식품산업의 동향과 전망
웅진식품 마케팅전략분석(A+레포트)
식품과 미생물
국내 식품 업계에서 ISO 22000 활성화방법
동서식품의 정보기술 경영혁신 BPR
고지혈증과 관련된 기능성 식품들
황색포도상구균의 개념과 형별, 황색포도상구균의 증식과 장독소, 황색포도상구균 식중독의 ...
식품산업에 HACCP의 도입
우리나라 건강기능식품 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농업과 식품산업의 연계강화를 위한 세부프로그램 비교연구 및 개발
GMO식품 이대로 안전한가 보고서
호텔주방의 식품 안전관리
호텔주방의 식품 안전관리.ppt
[콩][콩 의미][콩 역사][콩 품종][콩 용도][미생물][GMO][유전자변형식품]콩의 의미, 콩의 역...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