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차
1) 차의 어원 및 전파
2) 우리나라에서의 차의 역사
① 삼국시대
② 고려시대
③ 조선시대
④ 근대와 현대
2. 커피
1) 커피의 기원 및 전파
2) 우리나라의 시대별 다방문화
① 1930년대
② 1950년대
③ 1960년대
④ 1970년대
⑤ 1980년대
1) 차의 어원 및 전파
2) 우리나라에서의 차의 역사
① 삼국시대
② 고려시대
③ 조선시대
④ 근대와 현대
2. 커피
1) 커피의 기원 및 전파
2) 우리나라의 시대별 다방문화
① 1930년대
② 1950년대
③ 1960년대
④ 1970년대
⑤ 1980년대
본문내용
장에 소품 하나까지 고급을 지향했던 업소로 고객들은 기억하고 있다. 한편 지나친 고가정책이 대중의 비난을 받기도 하였다. 1980년대 들어서는 좀 더 대중적인 커피전문점이 속속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반면 기존의 다방은 차츰 저조해지는 매출액과 높은 임대료 부담 등으로 거의 지하로 밀려나게 된다.
⑤ 1980년대
1980년대에는 커피 자동판매기가 봇물처럼 늘어났고(1985년도 15만대) 88올림픽 이후 더 늘어나 모든 자판기의 70%가 커피 자판기였을 정도였다. 이에 발끈한 다방주인들은 자판기 때문에 생긴 손해 배상을 청구 해달라며 소송까지 내기에 이르렀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중반까지 한국의 다방문화는 ‘커피숍’이라고 불리는, 다소 어정쩡한 업소가 주도했다. ‘문화’라고까지 할 것도 없이 커피숍은 도시의 비즈니스타운과 주변부의 상가·주택가에까지 둥지를 틀었다. 커피숍에서는 멀건 원두커피와 함께 이른바 ‘프림’과 설탕을 듬뿍 넣는 ‘다방커피’가 공존했고, 20대와 50대가 같이 드나들어 이전까지의 다방 풍경과는 색다른 분위기를 풍겼다. 또 지방 도시와 농촌의 소읍에는 ‘티켓다방’이라는 이름의 별난 영업 방식이 등장했다. 티켓다방은 시간당 티켓 값으로 얼마간의 대가를 주고 ‘아가씨와 노는’ 노골적이고 저급한 성매매 문화의 기층을 형성했다.
⑥ 티켓다방
티켓다방이 확산된 것은 1990년대 후반의 일이다. 1997년 11월 21일 우리나라는(김영삼 정부)는 IMF시대를 맞게 된다. IMF사태로 커피 시장은 크게 위축됐으며 커피 전문점들이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티켓다방이 크게 확산된 것은 IMF의 여파가 크다 도심지의 다방은 농촌으로 파고들어 티켓다방을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티켓다방은 큰 매출을 올렸으며 매출액 상당부분은 커피값이 아닌 이른바 불법영업인 티켓비가 차지하였다. 티켓다방의 주 활동은 여종업원들이 차를 배달하며 시간제로 출장윤락을 하는 일반적인 사례였으며 반대로 20대 초반의 젊은 남성을 종업원(오봉돌이)으로 고용하여 가정주부 등 여성 고객들을 상대로 술시중이나 윤락을 하게 했다. 2000년대 들어서 한국의 티켓다방은 확산도 부족해 번성을 누리게 된다. 보통 20~30대의 여성 종업원들이 종사 했으며 이른바 티켓비를 받고 업무 외적인 용무로 여성 종업원을 출장 보내는 일종의 변태 영업이었다. 이런 티켓다방 문화는 사회의 큰 혼란을 불러 일으켰으며 악덕 다방주인들의 미성년자(여성)를 고용해 매매춘을 일삼고 각 종 유흥업소에 팔려 다니면서 여러 사람들의 인생을 망치는 일이 난무 했다.
3) 스타벅스 커피와 된장녀
① 스타벅스
IMF 위기가 어느 정도 극복되면서 다방도 늘었지만, 과거의 형태로 돌아가지 않았다. 전혀 새로운 대형커피 전문점들이 생겨난 것이다. 그 대표주자가 미국의 스타벅스였다. 스타벅스는 서울 신촌 이화여대 부근에 100석규모로 1호점을 열었는데, 이는 국내에 들어온 첫 외국 커피 전문점으로 기록되었다. 스타벅스는 ‘천천히 오래볶은’ 고급원두커피를 더 저렴한 값에 선사한다는 마케팅 전략과 자유롭고 편안한 매장분위기, 테이크아웃(take-out)의 활성화, 셀프서비스 등으로 새로운 커피문화를 주도해 나갔다. 스타벅스는 2004년 기준 미국 5900여개 해외에도 2300여개의 매장을 가진 ‘커피제국’으로 등극했다. 그 성공비결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미국에서와는 달리 한국에서는 스타벅스는 그것이 ‘미국식’이라고 하는 사실이 소비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커피는 물론 실내장식과 냅킨, 빨대, 종이컵까지 미국에서 직수입했다.
▶ 고종, 스타벅스에 가다
강준만, 오두진 공저. '고종 스타벅스에 가다'라는 책은 '고종'- 커피 마시기의 시작, '스타벅스'- 현대의 커피마시기 라는 뜻으로, 우리나라 커피의 역사를 총 정리해 놓은 책이다. '커피는 한국인에게 안정된 미학을 보여주는 음료가 아니었다. 그건 차분한 성찰의 분위기와는 거리가 멀었다. 무언가 우아하고 고상한 척하는 효용은 있었을지 몰라도 좀 들뜬 분위기가 늘 커피 주변을 맴돌았다. 물론 이젠 상징이 아닌 실체로서의 커피를 즐기는 사람들도 많아 졌지만, 한국의 커피 역사는 그랬다는 것이다. 그건 한국이 겪어온 초 압축 성장의 한 단면이었다. 커피는 수입품이었지만, 이 지구상에 둘도 없는 한국만의 독특한 커피 문화를 통해 한국사회를 읽어 보려는 시도가 더욱 왕성하게 이루어져야 할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겠다.'
② 된장녀
20대 초반 여성의 무분별한 소비 행태를 지칭하는 ‘된장녀’라는 용어의 시작은 스타벅스 커피의 지나치게 비싼 가격을 비판하는 뉴스 보도였다. 뉴스의 의도는 스타벅스가 원가 대비 지나치게 높은 소비자 가격을 형성해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사실의 폭로였다. 그런데 비판은 엉뚱하게도 가격을 책정한 전지구적 대기업이 아닌 그것을 소비하는 계층으로 우회했다. 스타벅스 커피를 하나의 이미지로 받아들인 젊은 여성이 비난의 주요 대상으로 책정된 것이다. 비난의 목소리는 주로 남성들에게서 유출된 바, 그들은 스타벅스를 애용하는 젊은 여성들을 합리적 소비 능력이 결락된 미숙아로 지칭한다. 커피 맛도 모르면서 이미지를 위해 밥값보다 비싼 커피를 마시는 여자들, 내용물이 빈 일회용 용기마저 소중한 액세서리로 들고 다니는 미련한 소비기계가 바로 그들이 말하는 젊은 여성들이다. 엄밀히 말해 젊은 여성들이 스타벅스 커피를 좋아하게 된 것은 우연이라기보다 철저한 논리적 계획으로 이뤄진 마케팅과 홍보의 결과이다. 스타벅스의 영업 전략이 그만큼 치밀하고 구조적이라는 뜻이다. 문제는 소비하고자 하는 욕망을 이미지와 기호로서 자극하는 자본의 거대한 움직임, 그리고 기업의 전략적 음모를 개인의 취향과 선택으로 호도하는 시선들이다. 된장녀 논란 속에서 결여돼 있는 것은 그 유혹이 얼마나 이성적으로 구축된 전략이었는가라는 사실이다.
▶ 고추장남
시내버스 요금 300원을 아끼기 위해서 마을버스를 타고, 구내식당 갈 돈도 아까워서 집에서 점심을 해결하고, 주로 트레이닝복을 입고 다니며, 샴푸 값이 아까워서 물 칠로 머리를 만지는 남자, 온라인 게임이나 인터넷 글 올리기로 시간을 보내는 남자를 의미함
⑤ 1980년대
1980년대에는 커피 자동판매기가 봇물처럼 늘어났고(1985년도 15만대) 88올림픽 이후 더 늘어나 모든 자판기의 70%가 커피 자판기였을 정도였다. 이에 발끈한 다방주인들은 자판기 때문에 생긴 손해 배상을 청구 해달라며 소송까지 내기에 이르렀다 1980년대와 1990년대 초·중반까지 한국의 다방문화는 ‘커피숍’이라고 불리는, 다소 어정쩡한 업소가 주도했다. ‘문화’라고까지 할 것도 없이 커피숍은 도시의 비즈니스타운과 주변부의 상가·주택가에까지 둥지를 틀었다. 커피숍에서는 멀건 원두커피와 함께 이른바 ‘프림’과 설탕을 듬뿍 넣는 ‘다방커피’가 공존했고, 20대와 50대가 같이 드나들어 이전까지의 다방 풍경과는 색다른 분위기를 풍겼다. 또 지방 도시와 농촌의 소읍에는 ‘티켓다방’이라는 이름의 별난 영업 방식이 등장했다. 티켓다방은 시간당 티켓 값으로 얼마간의 대가를 주고 ‘아가씨와 노는’ 노골적이고 저급한 성매매 문화의 기층을 형성했다.
⑥ 티켓다방
티켓다방이 확산된 것은 1990년대 후반의 일이다. 1997년 11월 21일 우리나라는(김영삼 정부)는 IMF시대를 맞게 된다. IMF사태로 커피 시장은 크게 위축됐으며 커피 전문점들이 구조조정에 들어갔다. 티켓다방이 크게 확산된 것은 IMF의 여파가 크다 도심지의 다방은 농촌으로 파고들어 티켓다방을 확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티켓다방은 큰 매출을 올렸으며 매출액 상당부분은 커피값이 아닌 이른바 불법영업인 티켓비가 차지하였다. 티켓다방의 주 활동은 여종업원들이 차를 배달하며 시간제로 출장윤락을 하는 일반적인 사례였으며 반대로 20대 초반의 젊은 남성을 종업원(오봉돌이)으로 고용하여 가정주부 등 여성 고객들을 상대로 술시중이나 윤락을 하게 했다. 2000년대 들어서 한국의 티켓다방은 확산도 부족해 번성을 누리게 된다. 보통 20~30대의 여성 종업원들이 종사 했으며 이른바 티켓비를 받고 업무 외적인 용무로 여성 종업원을 출장 보내는 일종의 변태 영업이었다. 이런 티켓다방 문화는 사회의 큰 혼란을 불러 일으켰으며 악덕 다방주인들의 미성년자(여성)를 고용해 매매춘을 일삼고 각 종 유흥업소에 팔려 다니면서 여러 사람들의 인생을 망치는 일이 난무 했다.
3) 스타벅스 커피와 된장녀
① 스타벅스
IMF 위기가 어느 정도 극복되면서 다방도 늘었지만, 과거의 형태로 돌아가지 않았다. 전혀 새로운 대형커피 전문점들이 생겨난 것이다. 그 대표주자가 미국의 스타벅스였다. 스타벅스는 서울 신촌 이화여대 부근에 100석규모로 1호점을 열었는데, 이는 국내에 들어온 첫 외국 커피 전문점으로 기록되었다. 스타벅스는 ‘천천히 오래볶은’ 고급원두커피를 더 저렴한 값에 선사한다는 마케팅 전략과 자유롭고 편안한 매장분위기, 테이크아웃(take-out)의 활성화, 셀프서비스 등으로 새로운 커피문화를 주도해 나갔다. 스타벅스는 2004년 기준 미국 5900여개 해외에도 2300여개의 매장을 가진 ‘커피제국’으로 등극했다. 그 성공비결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미국에서와는 달리 한국에서는 스타벅스는 그것이 ‘미국식’이라고 하는 사실이 소비자들에게 가장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이었다. 커피는 물론 실내장식과 냅킨, 빨대, 종이컵까지 미국에서 직수입했다.
▶ 고종, 스타벅스에 가다
강준만, 오두진 공저. '고종 스타벅스에 가다'라는 책은 '고종'- 커피 마시기의 시작, '스타벅스'- 현대의 커피마시기 라는 뜻으로, 우리나라 커피의 역사를 총 정리해 놓은 책이다. '커피는 한국인에게 안정된 미학을 보여주는 음료가 아니었다. 그건 차분한 성찰의 분위기와는 거리가 멀었다. 무언가 우아하고 고상한 척하는 효용은 있었을지 몰라도 좀 들뜬 분위기가 늘 커피 주변을 맴돌았다. 물론 이젠 상징이 아닌 실체로서의 커피를 즐기는 사람들도 많아 졌지만, 한국의 커피 역사는 그랬다는 것이다. 그건 한국이 겪어온 초 압축 성장의 한 단면이었다. 커피는 수입품이었지만, 이 지구상에 둘도 없는 한국만의 독특한 커피 문화를 통해 한국사회를 읽어 보려는 시도가 더욱 왕성하게 이루어져야 할 이유도 여기에 있다 하겠다.'
② 된장녀
20대 초반 여성의 무분별한 소비 행태를 지칭하는 ‘된장녀’라는 용어의 시작은 스타벅스 커피의 지나치게 비싼 가격을 비판하는 뉴스 보도였다. 뉴스의 의도는 스타벅스가 원가 대비 지나치게 높은 소비자 가격을 형성해 폭리를 취하고 있다는 사실의 폭로였다. 그런데 비판은 엉뚱하게도 가격을 책정한 전지구적 대기업이 아닌 그것을 소비하는 계층으로 우회했다. 스타벅스 커피를 하나의 이미지로 받아들인 젊은 여성이 비난의 주요 대상으로 책정된 것이다. 비난의 목소리는 주로 남성들에게서 유출된 바, 그들은 스타벅스를 애용하는 젊은 여성들을 합리적 소비 능력이 결락된 미숙아로 지칭한다. 커피 맛도 모르면서 이미지를 위해 밥값보다 비싼 커피를 마시는 여자들, 내용물이 빈 일회용 용기마저 소중한 액세서리로 들고 다니는 미련한 소비기계가 바로 그들이 말하는 젊은 여성들이다. 엄밀히 말해 젊은 여성들이 스타벅스 커피를 좋아하게 된 것은 우연이라기보다 철저한 논리적 계획으로 이뤄진 마케팅과 홍보의 결과이다. 스타벅스의 영업 전략이 그만큼 치밀하고 구조적이라는 뜻이다. 문제는 소비하고자 하는 욕망을 이미지와 기호로서 자극하는 자본의 거대한 움직임, 그리고 기업의 전략적 음모를 개인의 취향과 선택으로 호도하는 시선들이다. 된장녀 논란 속에서 결여돼 있는 것은 그 유혹이 얼마나 이성적으로 구축된 전략이었는가라는 사실이다.
▶ 고추장남
시내버스 요금 300원을 아끼기 위해서 마을버스를 타고, 구내식당 갈 돈도 아까워서 집에서 점심을 해결하고, 주로 트레이닝복을 입고 다니며, 샴푸 값이 아까워서 물 칠로 머리를 만지는 남자, 온라인 게임이나 인터넷 글 올리기로 시간을 보내는 남자를 의미함
추천자료
2차대전과 드골의 프랑스 재건
차와 건강 그리고 정신
제7차 중등 도덕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
제1차 세계대전의 원인-역사가들의 해석
7차 교육과정에서의 재량활동 교육과정의 의미와 성격
차문화에 대하여
7차교육과정의 국어과 수행평가와 이해
제7차교육과정분석
제7차 미술과 교육 과정
차(Tea)의 이해
7차 교육과정과 지리교과서 분석
제3차 표준보육과정 0~2세와 3~5세(누리과정)의 내용을 참고하여 각각의 영역별 주요 내용과 ...
제3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과 만3~5세 누리과정을 구성방향 및 체계 그리고 목적과 목표를 ...
3차 표준보육과정 자연탐구의 목적, 목표, 세부내용과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자연탐구의 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