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족문학론] - 해방 후 민족문학론과 비평교육의 과제,민족문학론의 비평교육적 인식,해방이후 남한에서의 민족문학론 전개 과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민족문학론] - 해방 후 민족문학론과 비평교육의 과제,민족문학론의 비평교육적 인식,해방이후 남한에서의 민족문학론 전개 과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민족문학론의 비평교육적 인식

Ⅱ. 해방 후 남한에서의 민족문학론 전개 과정
1. 해방 직후의 민족문학론
2. 1950년대의 민족문학론
3. 1960년대의 민족문학론
4. 1970년대의 민족문학론
5. 1980년대의 민족문학론

Ⅲ. 1990년대 이후 민족문학론과 그 비평교육적 과제

본문내용

초중등학교에서의 비평교육은 대학에서의 그것보다 훨씬 열악한 실정이다. 교육과정을 살펴볼 때 비평교육은 대단히 소략하게 다루어져 있다.ㄷ 따라서 교육과정에 근거한 교재 역시 그럴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교재는 학습자들이 교수학습 활동에 사용하는 가장 직접적인 교육의 매체이다. 이런 점에서 문학비평을 다룬 비평 제재나 작품을 이해, 감상, 평가하는 원리로서의 비평교육이 제자리를 찾을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민족문학론과 관련해 볼 때, 국어과의 교육과정은 그러한 관점과 일정한 거리를 두고 있다. 즉 5차 교육과정 이후 기능교과로서의 국어과 ㄷ육이 강화됨으로써 의사소통으로서의 도구 차원을 강조하게 되었다. 또한 내용 항목에 있어서도 가치 중립적인 목표 기술 체계로 되어 있어 표면상으로는 어떠한 이데올로기로부터도 거리를 취하고 있다. 그런데 교육과정은 교과서(교재)를 만드는 저자들의 비평교육관(문학교육관)에 의해 다양하게 교재화될 수 있다. 또한 교과서 외에도 교사는 교실에서 다양한 교재를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을 통해 동원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교육과정, 교과서(교재), 교수학습 방법 등에서 우리 민족의 삶을 도모하는 방향에서 문학교육과 문학비평교육이 반영될 수 있도록 하는 일은 또 하나의 과제이기도 하다.
참고 문헌
구인환 외, 문학교육론, 삼지원, 2001.
구재진, 민족문학론-화두를 지키기 위하여, 민족문학사연구 제12호, 민족문학사연구소, 1998.
김동리, 순수문학의 진의, 서울신문, 1946. 9. 15.
김상욱, 문학이념과 문학교육, 문학교육의 방법, 한길사, 1991.
김성진, 문학교육에서 비평 활동에 관한 연구: 비판적 읽기와의 관련을 중심으로, 국어국문학 제130호, 2002.
김영민, 1950년대 민족문학론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12집, 현대문학이론학회, 1999.
김영민, 해방 직후 한국 문학비평사 연구, 현대문학이론연구 제11집, 현대문학이론학회, 1999.
김윤식, 한국현대문학비평사, 서울대학교출판부, 1982.
김재용, 분단 현실의 변화와 민족문학의 모색, 실천문학 제46호, 1999. 여름.
김지하, 풍자냐 자살이냐, 민중문학론, 문학과지성사, 1984.
박기범,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문학 교과서의 내용 분석 연구, 제29회 한국문학교육학회 학술대회 발표문.
박현채, 민중과 문학, 민족, 민중 그리고 문학, 지양사, 1985.
백낙청, 민족문학 개념의 정립을 위해, 월간중앙, 1974. 7.
성민엽, 민중문학의 논리, 예술비평, 1984. 가을.
신승엽, 배수아 소설의 몇 가지 낯설고 불안한 매력, 민족문학을 넘어서, 소명, 2000.
우한용, 소설교육의 기본구도, 소설교육론, 평민사, 1993.
유문선, 남한 리얼리즘론의 전개과정, 다시 문제는 리얼리즘이다, 실천문학사, 1992.
이선영하정일, 해방 직후의 민족문학론과 근대관, 민족문학사연구 제8호, 민족문학사학회, 1995.
임경순, 비평교육에 대한 일 고찰, 선청어문 제25집, 서울대국어교육과, 1997.
임경순, 문학의 해석과 문학교육, 역락, 2003.
임규찬, 80년대 민족문학 논쟁, 작품과 시간, 소명출판, 2001.
임 화, 문학의 인민적 기초, 중앙신문, 1945.12.8-14.
조정환, 80년대 문학운동의 새로운 전망-민주주의 민족문학론의 제기, 서강 17집, 1987.6.
조정환, 민주주의 민족문학론과 자기비판, 연구사, 1989.
진정석, 민족문학과 모더니즘, 민족문학사연구 제11집, 민족문학사학회, 1997.
하정일, 분단 자본주의 시대의 민족문학사론, 소명출판사, 2002.
柄谷行人, 일본 정신의 기원, 송태욱 역, imagine, 2003.
Pecheux, M., Language, Semantics and Ideology, H. Nagpal trans., St. Martin's Press, 1982.
Abstract
National Literary Theory after Liberation(815)
and Tasks of Critical Education
Lim, Kyung-Soon
Many reachers have been studied about National Literary Theory in korea critical history. But It is also fact that many reachers have doubts about identification of it. But We are necessary to notice its historicity and positive aspects. Properties of National Literary Theory are historicity, negativity against oppression and pursuit of utopia. Thus Because of feudalistic remnants and the tragic division of the Korean peninsula, Debates about National Literary Theory will be continue. But National Literary Theory has been confronting new situation in acceleration of capitalism and post industrial society after 1990.
For Creative debates of National Literary Theory have got to establish of National Literature concept and global solidarity of National Literature. Also We will try to search practical methods, creative writing strategies, disidentification discourse strategies, reinforcement plans of critical education, and to strengthen National Literature teaching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가격2,3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4.10.21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298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