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생물과 비생물
2. 식물
3. 동물
참고문헌
2. 식물
3. 동물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는 부화에서 완전히 자랄 때까지 성장과 발달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변화를 유아들에게 보여 주는 데 있음. 구체적으로 동물 주제를 다루는 동안 유아가 알아야 할 사항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음
.
① 모든 동물은 그 종족의 특성에 따라 정해진 크기와 모양이 될 때까지 자란다. 즉, 강아지는 절대 코끼리만큼 자라지 않고 고양이는 기린의 목을 가질 수 없다. 일단 다 자란 후에는 그 크기가 거의 변하지 않는데, 그 크기는 먹는 음식에 따라 결정되며 차이는 거의 없다. 수명도 마찬가지 원리가 적용된다.
② 동물도 성장에는 먹이, 에너지, 조직의 교체가 필요하다.
〈먹이사슬도〉
플랑크톤(식물) → 작은 갑각류 → 생선→ 인간
밀 → 야생쥐 → 독수리
초목 → 토끼 → 여우
③ 어린 포유동물은 다 자란 것과 흡사하다. 성장 변화는 크기와 무게가 증가하는 것이고 외피의 발달과 이의 변화가 포함된다.
④ 개구리의 한살이는 완전한 변화의 한 예이다. 즉,
알 →→→→ 올챙이 →→→ 개구리
(점진적 변화)
개구리의 한살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실에 올챙이를 키우는 것은 좋은 학습 자료가 된다.
⑤ 포유동물 중 개, 돼지는 태어난 지 몇 시간 안에 유아와 같이 놀 수 있다. 그것은 털이 보송보송한 채, 눈을 뜬 채 태어나기 때문에 어려움 없이 체중 증가나 먹이의 변화를 기록할 수 있다.
⑥ 유아가 동물이라는 말을 사용할 때는 대부분 포유동물을 일컫는다.
동물 주제를 통하여 유아는 동물 세계를 사랑하고 생명의 존귀함을 알게 되고,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 살아가기 위한 환경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음. 또한 생물과 무생물의 구별은 물론 생물의 욕구, 즉 사랑이 생물의 욕구라는 것도 알게 됨.
유아가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 학습 목표는 다음과 같음.
① 동물의 종류를 이해한다.
② 동물의 성장을 이해한다.
③ 동물의 사육방법을 안다.
④ 동물과 식물의 차이점을 안다.
⑤ 동물의 기본적 욕구(동물과 인간과의 관계)를 안다.
⑥ 동물의 이름과 생김새를 안다.
교실 내 한쪽이나 운동장 한 구석에 우리나 둥지를 만들어 주어 유아로 하여금 늘 가까이 동물의 생활을 관찰하게 하는 것은 좋은 학습활동임.
참고문헌
김현경, 김경희 외 저,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14
김경미, 김현주 외 저, 현장중심 유아과학교육, 창지사 2013
조형숙, 김선월 외 저,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14
한유미 저, 유아교학교육, 창지사 2013
.
① 모든 동물은 그 종족의 특성에 따라 정해진 크기와 모양이 될 때까지 자란다. 즉, 강아지는 절대 코끼리만큼 자라지 않고 고양이는 기린의 목을 가질 수 없다. 일단 다 자란 후에는 그 크기가 거의 변하지 않는데, 그 크기는 먹는 음식에 따라 결정되며 차이는 거의 없다. 수명도 마찬가지 원리가 적용된다.
② 동물도 성장에는 먹이, 에너지, 조직의 교체가 필요하다.
〈먹이사슬도〉
플랑크톤(식물) → 작은 갑각류 → 생선→ 인간
밀 → 야생쥐 → 독수리
초목 → 토끼 → 여우
③ 어린 포유동물은 다 자란 것과 흡사하다. 성장 변화는 크기와 무게가 증가하는 것이고 외피의 발달과 이의 변화가 포함된다.
④ 개구리의 한살이는 완전한 변화의 한 예이다. 즉,
알 →→→→ 올챙이 →→→ 개구리
(점진적 변화)
개구리의 한살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실에 올챙이를 키우는 것은 좋은 학습 자료가 된다.
⑤ 포유동물 중 개, 돼지는 태어난 지 몇 시간 안에 유아와 같이 놀 수 있다. 그것은 털이 보송보송한 채, 눈을 뜬 채 태어나기 때문에 어려움 없이 체중 증가나 먹이의 변화를 기록할 수 있다.
⑥ 유아가 동물이라는 말을 사용할 때는 대부분 포유동물을 일컫는다.
동물 주제를 통하여 유아는 동물 세계를 사랑하고 생명의 존귀함을 알게 되고,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 살아가기 위한 환경의 중요성을 이해할 수 있음. 또한 생물과 무생물의 구별은 물론 생물의 욕구, 즉 사랑이 생물의 욕구라는 것도 알게 됨.
유아가 달성할 수 있는 구체적 학습 목표는 다음과 같음.
① 동물의 종류를 이해한다.
② 동물의 성장을 이해한다.
③ 동물의 사육방법을 안다.
④ 동물과 식물의 차이점을 안다.
⑤ 동물의 기본적 욕구(동물과 인간과의 관계)를 안다.
⑥ 동물의 이름과 생김새를 안다.
교실 내 한쪽이나 운동장 한 구석에 우리나 둥지를 만들어 주어 유아로 하여금 늘 가까이 동물의 생활을 관찰하게 하는 것은 좋은 학습활동임.
참고문헌
김현경, 김경희 외 저,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14
김경미, 김현주 외 저, 현장중심 유아과학교육, 창지사 2013
조형숙, 김선월 외 저, 유아과학교육, 학지사 2014
한유미 저, 유아교학교육, 창지사 2013
추천자료
생명과학에 관한 레포트인데요...
생명과학
게놈연구로 보는 21세기 생명과학
생명과학이 사회에 미치는 영향
산업경영공학과에서 본 생명과학
생명과학과 인권
[생명과학과윤리] 진화론과 창조론 역사와 쟁점 및 분석
[생명과학실험] 온도, pH가 효소반응에 미치는 영향 - 단백질의 구조, 구조를 이루는 결합의 ...
[생명과학] 생명체의 특성
한자를 통한 생명과학 개발 및 발견 사례 및 특징 조사분석
한자로 배우는 생명과학의 적용 및 특징 및 조사분석
[생명과학] 복제양 돌리에 대해서
생명과학보고서 - 세포의 관찰, 세포의 특성, 세포의 종류, 관찰 보고서
[생명과학] 유성생식과 무성생식 차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