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687.5㎛²의 면적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실험 과정 중, 고정이라는 과정이 있는데 이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① 고정액 : 생물체 또는 그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시약, 조직이나 세포를 표본으로 만들 때 커버글라스에 눌려 파괴,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능하면 살아있을 때와 가까운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서 고안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무기산, 무기염류, 염화물, 유기산 그 밖에 여러 종류의 시약이 단독 또는 혼합액으로 사용된다.
② 고정액 사용목적 : 효소에 의한 자기분해와 부패를 막고, 세포의 원형을 보존하고 조직을 단단하게 하며 매염작용을 한다.
③ 고정방법 : 에탄올을 처리하는 과정은 Dehydration 이라고 하는데, 세포안의 물을 모두 빼어내는 과정이다. 갑작스런 탈수는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70%의 에탄올로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알코올 농도를 높여가며 진행한다.
- 양파표피 세포를 메틸렌블루 염색약을 사용하여 염색하였는데, 그 결과 염색약 색인 청색으로 대부분 세포가 염색되었다. 특히 세포벽 쪽과 핵이 진하게 청색으로 염색되었다.
- 인간자궁 내막암 세포주를 아세트올세인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는데, 그 결과 염색약 색인 붉은색으로 대부분의 세포가 염색되었다.
문제2. 메틸렌블루 및 아세토카민에 의해서 염색되는 부위는 양파표피세포와 동물세포 중 어디이며 왜 그 부분이 염색되는지 생각해 보시오.
- 메틸렌 블루 : 양파표피세포, 염색질과 핵을 염색
- 아세토 카민 : 동물세포, 핵·염색체·염색질을 염색
- 핵은 (-) 전하를 가지고 있고, 세포막의 인지질도 (-)전하를 띈다. 염기성 시약은 (+) 전하를 띄므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염색된다. 메틸렌블루와 아세토카민은 염기성을 띄고 있어서 세포의 산성 부위인 핵산, 핵, 단백질 부위와 반응하여 염색이 된다.
문제3. 1개의 대물마이크로미터 눈금에 12개의 대안마이크로미터 눈금이 들어왔다면 대안마이크로미터 한 눈금의 간격은 얼마인가? 계산 과정을 쓰면서 계산하시오.
1눈금 간격 =
대물 눈금 수 1
----------------- × 0.01㎜ = --- × 0.01㎜ = 8.333×10-4 = 0.8333㎛
접안 눈금 수 12
문제5. 모든 대물렌즈에서 배율에 관계 없이 세포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같은 환산공식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시오.
- 같은 환산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대물렌즈의 배율에 따라 대물 마이크로미터 눈금 간격이 다르게 보이겠지만, 한 눈금은 0.01mm로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대물렌즈의 배율이 변경되어도 아래의 환산공식을 적용하면 접안마이크로미터 한 눈금의 실제 크기를 알 수 있다.
접안마이크로미터의 1눈금 간격 =
대물 눈금 수
----------------- × 0.01㎜
접안 눈금 수
◈ 참 고 문 헌
- http://ko.wikipedia.org/wiki/%EC%84%B8%ED%8F%AC,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 Eli C.Minkoff 외 1명, 21세기 생명과학, 2008, PP156-157
- 실험 과정 중, 고정이라는 과정이 있는데 이 과정을 자세히 살펴보았다.
① 고정액 : 생물체 또는 그 일부를 고정하기 위한 시약, 조직이나 세포를 표본으로 만들 때 커버글라스에 눌려 파괴, 변형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가능하면 살아있을 때와 가까운 상태로 고정하기 위해서 고안한 것으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무기산, 무기염류, 염화물, 유기산 그 밖에 여러 종류의 시약이 단독 또는 혼합액으로 사용된다.
② 고정액 사용목적 : 효소에 의한 자기분해와 부패를 막고, 세포의 원형을 보존하고 조직을 단단하게 하며 매염작용을 한다.
③ 고정방법 : 에탄올을 처리하는 과정은 Dehydration 이라고 하는데, 세포안의 물을 모두 빼어내는 과정이다. 갑작스런 탈수는 조직에 손상을 줄 수 있기 때문에 70%의 에탄올로 시작하여 단계적으로 알코올 농도를 높여가며 진행한다.
- 양파표피 세포를 메틸렌블루 염색약을 사용하여 염색하였는데, 그 결과 염색약 색인 청색으로 대부분 세포가 염색되었다. 특히 세포벽 쪽과 핵이 진하게 청색으로 염색되었다.
- 인간자궁 내막암 세포주를 아세트올세인을 이용하여 염색하였는데, 그 결과 염색약 색인 붉은색으로 대부분의 세포가 염색되었다.
문제2. 메틸렌블루 및 아세토카민에 의해서 염색되는 부위는 양파표피세포와 동물세포 중 어디이며 왜 그 부분이 염색되는지 생각해 보시오.
- 메틸렌 블루 : 양파표피세포, 염색질과 핵을 염색
- 아세토 카민 : 동물세포, 핵·염색체·염색질을 염색
- 핵은 (-) 전하를 가지고 있고, 세포막의 인지질도 (-)전하를 띈다. 염기성 시약은 (+) 전하를 띄므로 정전기적 인력에 의하여 염색된다. 메틸렌블루와 아세토카민은 염기성을 띄고 있어서 세포의 산성 부위인 핵산, 핵, 단백질 부위와 반응하여 염색이 된다.
문제3. 1개의 대물마이크로미터 눈금에 12개의 대안마이크로미터 눈금이 들어왔다면 대안마이크로미터 한 눈금의 간격은 얼마인가? 계산 과정을 쓰면서 계산하시오.
1눈금 간격 =
대물 눈금 수 1
----------------- × 0.01㎜ = --- × 0.01㎜ = 8.333×10-4 = 0.8333㎛
접안 눈금 수 12
문제5. 모든 대물렌즈에서 배율에 관계 없이 세포의 크기를 결정하는데 같은 환산공식을 사용할 수 있는지를 설명하시오.
- 같은 환산공식을 사용할 수 있다. 대물렌즈의 배율에 따라 대물 마이크로미터 눈금 간격이 다르게 보이겠지만, 한 눈금은 0.01mm로 항상 일정하다. 따라서 대물렌즈의 배율이 변경되어도 아래의 환산공식을 적용하면 접안마이크로미터 한 눈금의 실제 크기를 알 수 있다.
접안마이크로미터의 1눈금 간격 =
대물 눈금 수
----------------- × 0.01㎜
접안 눈금 수
◈ 참 고 문 헌
- http://ko.wikipedia.org/wiki/%EC%84%B8%ED%8F%AC, 위키피디아 백과사전
- Eli C.Minkoff 외 1명, 21세기 생명과학, 2008, PP156-157
추천자료
생명현상과 생명체 - 자연과학 기초론
[과외]고등 공통과학-생명(생식) 01
[과외]고등 공통과학-생명(유전) 02
[생명윤리]과학기술 발달로 인한 생명의 윤리적 문제들과 논쟁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생명영역의 학습목표에 나타난 STS학습목표에 대하여
[과학탐구]과학탐구의 정의, 과학탐구의 보고서, 과학탐구(위로 올라가는 구슬), 과학탐구(광...
[과학기술][과학기술 협력프로그램 사례]과학기술의 성격, 과학기술의 공익성, 과학기술의 예...
인간과과학 교재를 읽고 온생명론과 온생명에서 인간의 역할에 대해 정리하시오.
[생명공학] 과학기술의 긍정성과 부정성
[인권][인권과 정보통신기술][인권과 에너지기술][인권과 생명공학기술][인권과 과학기술]인...
생명과 과학 활동 중 동물에 관한 주제를 채택하여 <활동계획안>을 작성하시오 - 동물은 어떻...
공상과학이란, 인류멸망보고서 해석
과학의 발달이 생명경시 풍조를 가져온 사례를 소개하고 이에 대해 과학교육자로서 어떤 태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