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하는 데 효과적으로 쓰이게 된다.
4) 어안렌즈
(1) 초광각렌즈로서 180도의 각 또는 그 이상의 시야를 커버를 한다.
(2) 어안렌즈에서 화상이 원형으로서 나타나는 것(6 ~ 8mm)과 과장이 된 시각효과를 내되 보통의 직사각형으로서 나타내는 것(15 ~ 21mm)의 두 가지로서 나눌 수가 있다.
(3) 일반적으로 기상관측, 학술연구용으로 많이 쓰이게 된다.
5) 마이크로렌즈
(1) 접사를 목적으로 하는 렌즈로서 보조용구 없이도 23 ~ 24cm의 자리에서 화상배율 0.5까지 클로즈업을 할 수가 있다.
(2) 서류나 책의 부분적 복사 등에 유리하게 된다. 작은 물체를 클로즈업을 하여 촬영을 한다.
6) 줌렌즈
(1) 일정한 범위의 안에서 초점의 거리를 연속적으로 변경시켜 화상을 원하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게 만든 렌즈를 말을 한다.
(2) 피사체는 초점을 다시 맞추지 않아도 그 배율을 마음대로 변경시킬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3.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4) 어안렌즈
(1) 초광각렌즈로서 180도의 각 또는 그 이상의 시야를 커버를 한다.
(2) 어안렌즈에서 화상이 원형으로서 나타나는 것(6 ~ 8mm)과 과장이 된 시각효과를 내되 보통의 직사각형으로서 나타내는 것(15 ~ 21mm)의 두 가지로서 나눌 수가 있다.
(3) 일반적으로 기상관측, 학술연구용으로 많이 쓰이게 된다.
5) 마이크로렌즈
(1) 접사를 목적으로 하는 렌즈로서 보조용구 없이도 23 ~ 24cm의 자리에서 화상배율 0.5까지 클로즈업을 할 수가 있다.
(2) 서류나 책의 부분적 복사 등에 유리하게 된다. 작은 물체를 클로즈업을 하여 촬영을 한다.
6) 줌렌즈
(1) 일정한 범위의 안에서 초점의 거리를 연속적으로 변경시켜 화상을 원하는 크기로 조절할 수 있게 만든 렌즈를 말을 한다.
(2) 피사체는 초점을 다시 맞추지 않아도 그 배율을 마음대로 변경시킬 수가 있는 장점이 있다.
3. 참고문헌
1) 화재감식실무 완전정복(2014), 아토즈에듀, 저자 : 김하연
2) 화재감식(2011), 두양사, 저자 : JOHN D. DEHAAN
3) 화재감식평가 세트(2013), 동화기술, 저자 : 한국화재감식학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