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0세 발달 특성
1, 0~6개월
1)주요 발달 특성
가. 신체 발달
1) 외형적 발달
2) 감각의 발달
3) 운동기능의 발달
나. 정서 발달
다. 사회성 발달
라. 언어 발달
마. 인지 발달
❑ 7~12개월
주요 발달 특성
가. 신체 발달
1) 외형적 발달
2) 감각의 발달
3) 운동 기능의 발달
나. 정서 발달
다. 사회성 발달
라. 언어 발달
마. 인지 발달
참고도서
1, 0~6개월
1)주요 발달 특성
가. 신체 발달
1) 외형적 발달
2) 감각의 발달
3) 운동기능의 발달
나. 정서 발달
다. 사회성 발달
라. 언어 발달
마. 인지 발달
❑ 7~12개월
주요 발달 특성
가. 신체 발달
1) 외형적 발달
2) 감각의 발달
3) 운동 기능의 발달
나. 정서 발달
다. 사회성 발달
라. 언어 발달
마. 인지 발달
참고도서
본문내용
를 끌고 사회적 효과를 끄는 데 관심이 있다.
-간단한 사회적 놀이(예: 까꿍놀이)를 즐긴다.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좋아하고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7개월경 엄마나 애착 대상에게 반응을 불러일으키도록 신호를 보낸다.
-7개월경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쓰다듬는다.
-7~9개월경 영아들은 사회적인 놀이를 하며, 사람들로부터 반응을 얻으려고 노력한다. 다른 영아들을 만지고 그들에게 말하려고 하며, 그들로부터 반응을 얻기 위해서 부추긴다.
-9~12개월경 영아들은 그들의 주된 양육자에게 집착하며, 낯선 사람을 두려워하고, 새로운 상황에서 억제된 행동을 한다.
-10개월경 다른 영아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이 더욱 증가된다.
-또래를 도와주거나 위로해 주는 친사회적 행동을 나타낸다.
-11개월경 손을 내밀어 장난감을 달라고 요구하면 손 위에 장난감을 놓는다.
라. 언어 발달
-7개월경 기침 소리, 혀 차는 소리 등을 모방한다.
-7개월경 ‘아, 에’ 등 모음의 소리를 낼 수 있다.
-‘다, 바, 가, 카’ 같은 단자음을 낸다.
-8개월이 되면 의미 없이 ‘다다, 바바’ 같은 소리를 낸다.
-8개월이 되면 옹알이가 절정에 이른다.
-‘안 돼’라는 어조에 반응한다.
-9개월경 한 단어를 말할 수 있다.
-한 단어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정도이지만 무수히 많은 언어적 시도와 연습을 통하여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9~10개월경 의도적으로 다른 소리를 모방한다.
-9~11개월이 되면 성인들이 말하듯이 중얼거리며, 엄마, 빠빠, 다다 등 의미 있는 말을 한다. 까꿍놀이, 빠이빠이, 짝짜꿍 놀이를 즐긴다.
-10개월경 자신을 부르는 이름이나 별명을 알아듣는다.
-10개월경 두 단어를 말할 수 있다.
-11개월경 세 단어를 말할 수 있다.
-간단한 언어 지시를 수행할 수 있다.
-12개월경 네 단어를 말할 수 있다
-자신의 감정을 몸짓으로 보충한다.
-타인의 얼굴 표정, 음성, 몸짓에 의해 타인의 말을 이해하는 것이 먼저 발달하여 그의 말뜻을 짐작하는 능력이 생긴다.
-언어로 지시하면 사물을 바라볼 수 있다.
마. 인지 발달
-6~8개월경에 의도적으로 어떠한 행동을 시도하거나, 흥미 있는 결과를 기대하며 반복하여 행동하기를 즐긴다. 즉 행동이 목표지향적이 된다.
-7개월경 시각적인 호기심과 함께 공간적인 개념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수단과 목적과의 관계에 대한 초보적인 지식을 가지게 된다.
-물체와 사람이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에 흥미가 있다.
-8~12개월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단과 목표를 구분한 의도적 행위를 통해 문제 해결을 시도하기도 한다.
-대상영속성이 발달한다(대략 11개월에 시야에서 없어진 물체를 찾는다).
-그릇과 그릇에 담긴 것과의 관계에 관심이 있으며, 벽장, 서랍, 용기에 담긴 것을 쏟아 버리기를 좋아한다.
-사라진 물체를 당기는 끈을 사용하여 찾아낸다.
-물체를 탐색하는 데 흥미를 보이며 좋아한다.
-물체를 움직이고 떨어뜨리는 데 흥미가 있다.
-열고 닫기, 밀고 당기기 등 간단한 장치를 작동하는 것을 좋아하고 그 결과를 관찰한다.
-사람, 물체, 게임, 장난감을 가지고 한 행동 등을 기억해 낸다.
-지속성을 보이고 새로운 것에 관심이 있다.
-자기 이름을 알아듣고 명명된 물체를 가리키거나 간단한 명령에 따르기 시작한다.
-과거 사건을 기억하는 능력이 발달되며, 간단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생긴다.
참고도서
교수학습방법이론의 실제 박 성익 교육과학사
영유아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이 정환 파란마음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론 김 진영 양서원
-간단한 사회적 놀이(예: 까꿍놀이)를 즐긴다.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좋아하고 긍정적인 반응을 나타낸다.
-7개월경 엄마나 애착 대상에게 반응을 불러일으키도록 신호를 보낸다.
-7개월경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보고 쓰다듬는다.
-7~9개월경 영아들은 사회적인 놀이를 하며, 사람들로부터 반응을 얻으려고 노력한다. 다른 영아들을 만지고 그들에게 말하려고 하며, 그들로부터 반응을 얻기 위해서 부추긴다.
-9~12개월경 영아들은 그들의 주된 양육자에게 집착하며, 낯선 사람을 두려워하고, 새로운 상황에서 억제된 행동을 한다.
-10개월경 다른 영아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이 더욱 증가된다.
-또래를 도와주거나 위로해 주는 친사회적 행동을 나타낸다.
-11개월경 손을 내밀어 장난감을 달라고 요구하면 손 위에 장난감을 놓는다.
라. 언어 발달
-7개월경 기침 소리, 혀 차는 소리 등을 모방한다.
-7개월경 ‘아, 에’ 등 모음의 소리를 낼 수 있다.
-‘다, 바, 가, 카’ 같은 단자음을 낸다.
-8개월이 되면 의미 없이 ‘다다, 바바’ 같은 소리를 낸다.
-8개월이 되면 옹알이가 절정에 이른다.
-‘안 돼’라는 어조에 반응한다.
-9개월경 한 단어를 말할 수 있다.
-한 단어로 자신의 의사를 표현하는 정도이지만 무수히 많은 언어적 시도와 연습을 통하여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한다.
-9~10개월경 의도적으로 다른 소리를 모방한다.
-9~11개월이 되면 성인들이 말하듯이 중얼거리며, 엄마, 빠빠, 다다 등 의미 있는 말을 한다. 까꿍놀이, 빠이빠이, 짝짜꿍 놀이를 즐긴다.
-10개월경 자신을 부르는 이름이나 별명을 알아듣는다.
-10개월경 두 단어를 말할 수 있다.
-11개월경 세 단어를 말할 수 있다.
-간단한 언어 지시를 수행할 수 있다.
-12개월경 네 단어를 말할 수 있다
-자신의 감정을 몸짓으로 보충한다.
-타인의 얼굴 표정, 음성, 몸짓에 의해 타인의 말을 이해하는 것이 먼저 발달하여 그의 말뜻을 짐작하는 능력이 생긴다.
-언어로 지시하면 사물을 바라볼 수 있다.
마. 인지 발달
-6~8개월경에 의도적으로 어떠한 행동을 시도하거나, 흥미 있는 결과를 기대하며 반복하여 행동하기를 즐긴다. 즉 행동이 목표지향적이 된다.
-7개월경 시각적인 호기심과 함께 공간적인 개념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수단과 목적과의 관계에 대한 초보적인 지식을 가지게 된다.
-물체와 사람이 나타나고 사라지는 것에 흥미가 있다.
-8~12개월경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수단과 목표를 구분한 의도적 행위를 통해 문제 해결을 시도하기도 한다.
-대상영속성이 발달한다(대략 11개월에 시야에서 없어진 물체를 찾는다).
-그릇과 그릇에 담긴 것과의 관계에 관심이 있으며, 벽장, 서랍, 용기에 담긴 것을 쏟아 버리기를 좋아한다.
-사라진 물체를 당기는 끈을 사용하여 찾아낸다.
-물체를 탐색하는 데 흥미를 보이며 좋아한다.
-물체를 움직이고 떨어뜨리는 데 흥미가 있다.
-열고 닫기, 밀고 당기기 등 간단한 장치를 작동하는 것을 좋아하고 그 결과를 관찰한다.
-사람, 물체, 게임, 장난감을 가지고 한 행동 등을 기억해 낸다.
-지속성을 보이고 새로운 것에 관심이 있다.
-자기 이름을 알아듣고 명명된 물체를 가리키거나 간단한 명령에 따르기 시작한다.
-과거 사건을 기억하는 능력이 발달되며, 간단한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이 생긴다.
참고도서
교수학습방법이론의 실제 박 성익 교육과학사
영유아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 이 정환 파란마음
유아를 위한 교수학습방법론 김 진영 양서원
추천자료
영유아의 기본생활지도는 요즈음 필요성이 더욱강조되고 있는데 그 주요원인을 세가지로 설명...
뇌의 발달과 언어와의 관계를 설명하고 영유아의 언어발달을 촉진시키기 위한 방법에는 어떤 ...
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영양교육의 기본원칙을 설명하고 영아와 유아를 대상으로 각각의 발달 ...
[영유아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보육기관의 환경구성 - 만 2세 미만 영아를 위한 환경구성, ...
[유아교육과 B형] 태내기 및 영아기 발달 특성과 중요성을 설명하고(15점), 태내기 및 영아기...
영유아 과학교육의 내용(물상과학, 생명과학, 지구과학)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상세한 내용...
영아기의 수학적 개념 중에서 3가지의 수학적 개념을 선정하여 개념의 특징을 서술하고, 그...
[언어지도] 영유아의 발달에 적합한 언어교육방법을 영아와 유아로 구분하여 기술하시오 [...
[보육과정] 일일 보육 계획(보육 일지) 및 운영의 기본 원리 - 만 2세 미만 영아반 일일 보육...
영유아 수과학의 중요성 (A+) (영아 수학 교육의 중요성, 영아 과학 교육의 중요성, 레지오에...
[보육nurture학개론] 발달에 적합한 보육 환경의 특징 (영아를 위한 보육 환경 특성, 걸음마 ...
[음성언어발달단계 音聲言語發達段階] 영유아기 음성언어발달을 순서대로 제시, 설명(음성언...
영유아의 음성언어 발달 : 영, 유아기 음성언어발달을 순서대로 제시, 설명하시고, 영아기 음...
아동과학지도의 의미와 표준보육과정에 근거하여 누리과정의 과학활동(자연탐구영역)의 내용,...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