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용심리통계 과제-일원 공변량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응용심리통계 과제-일원 공변량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일원공변량분석
2.분석한 프로그램 및 결과

본문내용

72*
1.000
중간고사 영어성적
-.129*
.595**
1.000
*p > .05 **p < .01
<표2.2>이수여부에 따른 기말고사 성적의 조정된 평균 및 표준편차표
이수여부(A)
이수
미이수
전체
기말고사 성적의 평균(표준편차)
75.00(10.66)
76.70(13.90)
75.85(12.08)
조정된 평균
74.07
77.63
<표2.3>공변량분석표
변량원
자유도
자승합
평균자승합
F
유의수준
이수여부(A)
중간고사 성적(X)
오차
1
1
17
62.43
1028.83
1731.27
62.43
1028.83
101.84
0.61
10.10
0.4444
0.0055
전체
19
2774.55
공변량분석 결과, 중간고사 영어성적이 기말고사 영어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제거하였을 때 교육훈련프로그램 이수여부에 따른 기말고사 영어성적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기말고사 영어성적 평균을 조정하였을 때, 이수한 학생의 기말고사 영어성적 평균은 74.07점으로 도리어 전체 평균인 75.85점보다 낮았고, 미이수 학생의 기말고사 영어성적 평균은 77.63으로 전체 평균보다 높았다. <표2.1>상관분석표에서 중간고사 영어성적과 기말고사 영어성적의 상관관계는 유의수준 0.01 이하로 유의하고 59.5%로 상당한 상관관계를 지니고 있었다.
정리하면, 교육훈련프로그램은 학생들의 영어성적 향상에 아무런 도움이 되지 못했으며, 학생들의 기말고사 영어성적은 본래 실력인 중간고사 영어성적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2.분석한 프로그램 및 결과
1-(가)예제1 프로그램
data ancova1;
input a y x;
cards;
1 5 170
1 7 180
1 5 150
1 8 220
1 4 130
2 7 250
2 5 200
2 4 180
2 4 190
2 5 230
3 6 270
3 3 190
3 4 230
3 2 170
3 4 190
;
proc tabulate fc(1 6 7 8)=' - ';
class a;var y;
table y*(mean*f=6.2 std*f=6.2),(a all)/rts=12;
proc glm;
class a;model y=a x;
lsmeans a/adjust=scheffe tdiff=all pdiff=all;
run;
1-(나)예제2 프로그램
data ancova1;
input a y x;
cards;
1 90 78
1 80 82
1 78 96
1 87 92
1 74 86
1 65 78
1 84 73
1 68 65
1 57 83
1 67 75
2 54 67
2 92 95
2 84 82
2 56 64
2 67 73
2 87 83
2 78 62
2 72 75
2 87 89
2 90 92
;
proc corr;var a y x;
proc tabulate fc(1 6 7 8)=' - ';
class a;var y;
table y*(mean*f=6.2 std*f=6.2),(a all)/rts=12;
proc glm;
class a;model y=a x;
lsmeans a;
run;
*출처는 각 자료 제시 시 각주로 명시하였습니다.
  • 가격1,3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3.09.10
  • 저작시기2010.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4604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