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ANOVA 사례분석
2.T-TEST 사례분석
3.분석한 프로그램
2.T-TEST 사례분석
3.분석한 프로그램
본문내용
실시하였다. 이 프로그램에 참가한 학생들은 참가하기 전보다 사회성과 자존감이 발달될 것이라는 가설을 세우고 검증하려 한다. 채혜자,2006,「자기 주장 훈련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대인불안감, 사회성 및 자존감에 미치는 효과」를 재구성
참가 학생 수
실시 전 사회성
실시 후 사회성
실시 전 자존감
실시 후 자존감
1
4
4
4
4
2
2
4
3
4
3
4
5
3
4
4
3
4
2
3
5
3
3
3
3
6
3
4
3
4
7
2
3
1
3
8
3
4
3
4
9
3
3
4
4
10
4
3
4
4
11
1
2
1
3
12
3
4
3
3
13
2
4
3
4
14
4
5
3
4
*5점 척도
②분석결과
<표5.1>프로그램 실시 전후 사회성의 변화
실시 전 사회성
실시 후 사회성
T값
Pr > l t l
평균
2.93
3.71
3.67
0.0028
(표준편차)
(0.92)
(0.83)
Pr > l t l 가 0.0028로 0.05보다 작아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실시 전 사회성에 대한 실시 후 사회성의 차이를 나타낸 T값이 3.67로 0.5보다 높아 자기 주장 훈련 프로그램의 시행이 고학년 초등학생의 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고 나타났다.
<표5.2>프로그램 실시 전후 자존감의 변화
실시 전 자존감
실시 후 자존감
T값
Pr > l t l
평균
2.86
3.64
4.20
0.0010
(표준편차)
(0.95)
(0.50)
Pr > l t l 가 0.0010으로 0.05보다 작아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T값이 4.20으로 0.5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여 자기 주장 훈련 프로그램 시행이 고학년 초등학생의 자존감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나타났다.
이 두 변화에 대한 분석결과는 자기 주장 훈련 프로그램이 고학년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자존감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특히 사회성 발달이 늦거나, 낮은 자존감을 가진 학생에게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3.분석한 프로그램
1-(가) 프로그램
data text;
input a y@@;
cards;
1 700 2 480 3 500
1 850 2 460 3 550
1 820 2 500 3 480
1 640 2 570 3 600
1 920 2 580 3 610
;
proc means;class a;var y;
proc anova;class a;model y=a;run;
1-(나) 프로그램
data volunteer;
input a y@@;
cards;
1 13 2 15 3 8 4 11
1 8 2 11 3 12 4 15
1 9 2 13 3 7 4 10
1 15 2 9 3 5 4 5
1 5 2 18 3 14 4 13
proc means;class a;var y;
proc anova;class a;model y=a;run;
1-(다) 프로그램
data media;
input a y@@;
cards;
1 16 2 13 3 18 4 11
1 19 2 15 3 18 4 15
1 25 2 14 3 15 4 11
1 22 2 16 3 15 4 17
1 21 2 15 3 14 4 13
1 15 2 12 3 10 4 14
1 16 2 19 3 18 4 16
1 22 2 16 3 15 4 13
1 21 2 20 3 15 4 11
1 18 2 14 3 14 4 14
;
proc means;class a;var y;
proc anova;class a;model y=a;run;
2-(가) 프로그램
data edu;
input a y@@;
cards;
1 3 2 7
1 4 2 4
1 1 2 6
1 1 2 3
1 5 2 10
1 8 2 7
1 2 2 6
1 7 2 9
1 5 2 8
1 4 2 10
;
proc ttest;
class a;var y;
run;
2-(나) 프로그램
①실시 전후 사회성 프로그램
data socio;
input s1 s2;
d=s2-s1;
cards;
4 4
2 4
4 5
3 4
3 3
3 4
2 3
3 4
3 3
4 3
1 2
3 4
2 4
4 5
;
proc means;var s1 s2;
proc means mean stderr t prt;var d;run;
②실시 전후 자존감 프로그램
data self;
input x1 x2;
d=x2-x1;
cards;
4 4
3 4
3 4
2 3
3 3
3 4
1 3
3 4
4 4
4 4
1 3
3 3
3 4
3 4
;
proc means;var x1 x2;
proc means mean stderr t prt;var d;run;
*각 자료의 출처는 자료에 각주로 명시하였습니다.
참가 학생 수
실시 전 사회성
실시 후 사회성
실시 전 자존감
실시 후 자존감
1
4
4
4
4
2
2
4
3
4
3
4
5
3
4
4
3
4
2
3
5
3
3
3
3
6
3
4
3
4
7
2
3
1
3
8
3
4
3
4
9
3
3
4
4
10
4
3
4
4
11
1
2
1
3
12
3
4
3
3
13
2
4
3
4
14
4
5
3
4
*5점 척도
②분석결과
<표5.1>프로그램 실시 전후 사회성의 변화
실시 전 사회성
실시 후 사회성
T값
Pr > l t l
평균
2.93
3.71
3.67
0.0028
(표준편차)
(0.92)
(0.83)
Pr > l t l 가 0.0028로 0.05보다 작아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실시 전 사회성에 대한 실시 후 사회성의 차이를 나타낸 T값이 3.67로 0.5보다 높아 자기 주장 훈련 프로그램의 시행이 고학년 초등학생의 사회성 증진에 효과가 있었다고 나타났다.
<표5.2>프로그램 실시 전후 자존감의 변화
실시 전 자존감
실시 후 자존감
T값
Pr > l t l
평균
2.86
3.64
4.20
0.0010
(표준편차)
(0.95)
(0.50)
Pr > l t l 가 0.0010으로 0.05보다 작아 유의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T값이 4.20으로 0.5보다 상당히 높은 수치를 보여 자기 주장 훈련 프로그램 시행이 고학년 초등학생의 자존감 증진에 효과적이라고 나타났다.
이 두 변화에 대한 분석결과는 자기 주장 훈련 프로그램이 고학년 초등학생의 사회성과 자존감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주며, 특히 사회성 발달이 늦거나, 낮은 자존감을 가진 학생에게 의미 있는 변화를 가져왔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3.분석한 프로그램
1-(가) 프로그램
data text;
input a y@@;
cards;
1 700 2 480 3 500
1 850 2 460 3 550
1 820 2 500 3 480
1 640 2 570 3 600
1 920 2 580 3 610
;
proc means;class a;var y;
proc anova;class a;model y=a;run;
1-(나) 프로그램
data volunteer;
input a y@@;
cards;
1 13 2 15 3 8 4 11
1 8 2 11 3 12 4 15
1 9 2 13 3 7 4 10
1 15 2 9 3 5 4 5
1 5 2 18 3 14 4 13
proc means;class a;var y;
proc anova;class a;model y=a;run;
1-(다) 프로그램
data media;
input a y@@;
cards;
1 16 2 13 3 18 4 11
1 19 2 15 3 18 4 15
1 25 2 14 3 15 4 11
1 22 2 16 3 15 4 17
1 21 2 15 3 14 4 13
1 15 2 12 3 10 4 14
1 16 2 19 3 18 4 16
1 22 2 16 3 15 4 13
1 21 2 20 3 15 4 11
1 18 2 14 3 14 4 14
;
proc means;class a;var y;
proc anova;class a;model y=a;run;
2-(가) 프로그램
data edu;
input a y@@;
cards;
1 3 2 7
1 4 2 4
1 1 2 6
1 1 2 3
1 5 2 10
1 8 2 7
1 2 2 6
1 7 2 9
1 5 2 8
1 4 2 10
;
proc ttest;
class a;var y;
run;
2-(나) 프로그램
①실시 전후 사회성 프로그램
data socio;
input s1 s2;
d=s2-s1;
cards;
4 4
2 4
4 5
3 4
3 3
3 4
2 3
3 4
3 3
4 3
1 2
3 4
2 4
4 5
;
proc means;var s1 s2;
proc means mean stderr t prt;var d;run;
②실시 전후 자존감 프로그램
data self;
input x1 x2;
d=x2-x1;
cards;
4 4
3 4
3 4
2 3
3 3
3 4
1 3
3 4
4 4
4 4
1 3
3 3
3 4
3 4
;
proc means;var x1 x2;
proc means mean stderr t prt;var d;run;
*각 자료의 출처는 자료에 각주로 명시하였습니다.
추천자료
[심리학] 융의 분석 심리학
[심리학개론] 심리학개론 요점정리 서브노트
스포츠 심리학 A+ 완벽정리(스포츠심리학의 정의와 역사 및 스포츠심리학의 목적과 분류)
심리기술훈련과 수행향상 (스포츠심리학 정의)
[인간과심리 1공통] 이제껏 배운 심리학 이론과 관련된 최근의 사례(뉴스기사)를 찾아, 그 심...
인지심리학에 대해서 논하고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구체적인 사례를 적용하여 5가지 서술하...
(교육심리학 역사) 교육심리학의 역사를 정리하고 교육심리학의 발전과정과 자신의 앞으로의 ...
[문학의 이해 공통] 프로이트의 심리주의 비평의 방법론을 적용하여 자신이 애독, 애청한 소...
[심리학과 심리치료] 아들러치료에 대한 개관적 이해(철학적 전제, 성격모델, 건강모델, 이상...
[스포츠 심리] 스포츠 심리기술훈련의 방법 분석 ; 심리훈련기술의 절차 및 프로그램
심리학이 왜 필요한지, 심리학에는 어떤 분야가 있는지에 대해 정리하세요
교육심리학-교육심리학의 연구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 자신이 관심 있는 교육현상에 대하여 ...
심리학의 여러 분야들에 대해 요약하고 본인이 관심 있는 심리학에 대한 소개와 관련된 영화,...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