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인지발달이론이란
2. 인지발달의 주요개념
3. 인지 발달의 단계
4. 감각운동시기의 구체적 내용
5. 조작기 시기의 구체적 내용
6. 구체적 조작기의 내용
참고문헌
2. 인지발달의 주요개념
3. 인지 발달의 단계
4. 감각운동시기의 구체적 내용
5. 조작기 시기의 구체적 내용
6. 구체적 조작기의 내용
참고문헌
본문내용
11,12세)보존 개념
보존 개념이란, 모양이 넓은 같은 모양의 컵에 같은 양의 우유를 보여준 뒤, 한 컵의 우유를 모양이 다른 긴 컵에 부어도 긴 컵과 넓은 컵의 우유의 양은 같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즉, 동일성, 보상,역조작의 개념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수의 개념에서도 달걀과 컵을 나란히 놓은 뒤 어느 것이 더 많으냐 하면 컵과 달걀의 수가 같다고 대답하지만 달걀이나 컵을 한쪽으로 모아놓으면 달걀과 컵의 수가 다르다고 생각했던 전조작기의 특성에서 벗어나게 된다. 전조작기 아동은 같은 양의 진흙으로 만든 두 개의 공을 보여준 뒤 아동 앞에서 하나를 핫도그처럼 길게 만들면 어느새 양이 달라졌다고 생각하지만 보존개념을 획득한 구체적 조작기에는 모양이 달라져도 그 양이나 수는 보존된다는 개념을 획득한다.
유목화
같은 모양의 구슬을 보고 쇠구슬과 유리구슬을 구분할 수 있게 됨
서열화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게 됨
6. 구체적 조작기의 내용
이 단계에서는 사물이나 현상이 여러 다른 차원 또는 측면을 서로 관련짓기 시작하며 보존의 개념, 즉 불변성의 법칙의 개념을 형성한다. 위에서 예를 든 진흙의 크기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 이 단계의 어린이는 쉽게 추리한다. 어린이는 진흙의 모양은 달라졌지만 진흙의 양은 일정불변 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가역성의 개념, 즉 진행되어 온 사고과정을 거꾸로 되밟아 나갈 수 있으며 행위를 거꾸로 말소해 나감으로써 원상을 회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시기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 사물이나 대상을 활용하면서 논리적 사고를 하게 된다. 둘째, 자기 중심적인 사고와 언어로부터 사회화된 사고와 언어로 변화하게 된다. 셋째, 유목화 능력이 발달한다. 넷째, 미래의 가능성에 대한 사고는 대상에 직접적인 경험이 없이는 일어나기 어렵다. 다섯째, 보존의 개념과 가역적 사고가 형성된다. 여섯째, 도덕적 상대주의(자율적 도덕성)의 관점에서 도덕적 사고와 판단을 할 수 있다.
형식적 조작기(11,12세 이후)명제적 사고
인지발달의 최종단계인 이 시기는 대체로 12세 경부터 시작되는데, 이 때에 와서 사고는 완전히 구체적인 대상물을 떠나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어린이는 지각된 실제의 대상만을 분류하고 조작할 수 있는데 반해,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아동은 일반적인 법칙을 생각해 내고 가상적으로 대상에 대한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구체적 조작기에는 지적 조작이 ;지금 여기'에 국한되고 시행착오적 문제해결방법을 사용하게 되지만, 이 단계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과 미래'에 까지 사고가 가능하며 가설-연역적 문제해결방법을 사용할 줄 알게 된다. 따라서 감각적 자극이나 구체적인 내용 없이도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되어 높은 수준의 적응 할 수 있게 된다. 이 시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기의 사고체계는 고도의 평형상태에 도달해 있다. 즉, 융통성 있고 능동적으로 복잡한 문제를 능률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
둘째, 특정의 사물이나 현상에 내재해 있는 무수한 가능성을 상상할 수 있다. 즉, 구체적 현실을 초월하여 사고를 진행시킬 수 있다.
셋째, 추상적인 것을 포함한 논리적인 사고가 완전히 가능하다. 즉, 문제해결을 위하여 가설을 세울 수 있으며 연역적인 사고와 귀납적인 사고를 해나갈 수 있다.
넷째, 거의 완전한 도덕적 상대주의가 획득된다.
다섯째, 사상의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참고 문헌
이태영 외 5명, 신유아교육개론, 교육아카데미, 2005.
전성연, 교수-학습의 이론적 탐색, 도서출판 원미사, 2002.
네이버 백과 사전 참조
보존 개념이란, 모양이 넓은 같은 모양의 컵에 같은 양의 우유를 보여준 뒤, 한 컵의 우유를 모양이 다른 긴 컵에 부어도 긴 컵과 넓은 컵의 우유의 양은 같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이다. 즉, 동일성, 보상,역조작의 개념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또한 수의 개념에서도 달걀과 컵을 나란히 놓은 뒤 어느 것이 더 많으냐 하면 컵과 달걀의 수가 같다고 대답하지만 달걀이나 컵을 한쪽으로 모아놓으면 달걀과 컵의 수가 다르다고 생각했던 전조작기의 특성에서 벗어나게 된다. 전조작기 아동은 같은 양의 진흙으로 만든 두 개의 공을 보여준 뒤 아동 앞에서 하나를 핫도그처럼 길게 만들면 어느새 양이 달라졌다고 생각하지만 보존개념을 획득한 구체적 조작기에는 모양이 달라져도 그 양이나 수는 보존된다는 개념을 획득한다.
유목화
같은 모양의 구슬을 보고 쇠구슬과 유리구슬을 구분할 수 있게 됨
서열화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게 됨
6. 구체적 조작기의 내용
이 단계에서는 사물이나 현상이 여러 다른 차원 또는 측면을 서로 관련짓기 시작하며 보존의 개념, 즉 불변성의 법칙의 개념을 형성한다. 위에서 예를 든 진흙의 크기를 묻는 질문에 대해서 이 단계의 어린이는 쉽게 추리한다. 어린이는 진흙의 모양은 달라졌지만 진흙의 양은 일정불변 한다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따라서 이들은 가역성의 개념, 즉 진행되어 온 사고과정을 거꾸로 되밟아 나갈 수 있으며 행위를 거꾸로 말소해 나감으로써 원상을 회복할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게 된다.
이 시기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구체적 사물이나 대상을 활용하면서 논리적 사고를 하게 된다. 둘째, 자기 중심적인 사고와 언어로부터 사회화된 사고와 언어로 변화하게 된다. 셋째, 유목화 능력이 발달한다. 넷째, 미래의 가능성에 대한 사고는 대상에 직접적인 경험이 없이는 일어나기 어렵다. 다섯째, 보존의 개념과 가역적 사고가 형성된다. 여섯째, 도덕적 상대주의(자율적 도덕성)의 관점에서 도덕적 사고와 판단을 할 수 있다.
형식적 조작기(11,12세 이후)명제적 사고
인지발달의 최종단계인 이 시기는 대체로 12세 경부터 시작되는데, 이 때에 와서 사고는 완전히 구체적인 대상물을 떠나서 자유롭게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 조작기에 있는 어린이는 지각된 실제의 대상만을 분류하고 조작할 수 있는데 반해, 형식적 조작기에 있는 아동은 일반적인 법칙을 생각해 내고 가상적으로 대상에 대한 조작을 할 수 있게 된다. 즉, 구체적 조작기에는 지적 조작이 ;지금 여기'에 국한되고 시행착오적 문제해결방법을 사용하게 되지만, 이 단계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것과 미래'에 까지 사고가 가능하며 가설-연역적 문제해결방법을 사용할 줄 알게 된다. 따라서 감각적 자극이나 구체적인 내용 없이도 논리적으로 사고할 수 있게 되어 높은 수준의 적응 할 수 있게 된다. 이 시기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시기의 사고체계는 고도의 평형상태에 도달해 있다. 즉, 융통성 있고 능동적으로 복잡한 문제를 능률적으로 다룰 수 있게 된다.
둘째, 특정의 사물이나 현상에 내재해 있는 무수한 가능성을 상상할 수 있다. 즉, 구체적 현실을 초월하여 사고를 진행시킬 수 있다.
셋째, 추상적인 것을 포함한 논리적인 사고가 완전히 가능하다. 즉, 문제해결을 위하여 가설을 세울 수 있으며 연역적인 사고와 귀납적인 사고를 해나갈 수 있다.
넷째, 거의 완전한 도덕적 상대주의가 획득된다.
다섯째, 사상의 인과관계를 파악할 수 있다.
참고 문헌
이태영 외 5명, 신유아교육개론, 교육아카데미, 2005.
전성연, 교수-학습의 이론적 탐색, 도서출판 원미사, 2002.
네이버 백과 사전 참조
추천자료
행동주의이론 주요개념, 성격발달관점, 실천 및 사례관리 보고서
인지발달이론(피아제)의 이론적 배경과 기본 개념, 인지발달이론(피아제)의 의의, 인지발달이...
[인지행동치료] 인지행동모델의 이론, 정의, 개요, 인지행동 치료기법, 주요개념, 기독교적 ...
프로이트(Freud)의 생애와 이론, 주요개념, 발달단계, 자아방어기제, 평가.PPT자료
[인지발달이론] 인지 발달과 언어 - 발달의 3가지 원리, 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인지발달의 ...
발달이론의 기본 개념과 관련 용어 정의, 교사의 역할 {에릭슨 심리사회적 발달이론/피아제 ...
비고스키이론(비고츠키/vygotsky theory)의 주요개념 중 근접발달영역(Zone of Proximal Deve...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人間行動 社會環境] 인본주의 이론(人本主義理論)을 통한 개인체계의 ...
프로이드의 정신분석이론(프로이드이론의 주요개념 및 성격구조, 심리성적발달단계)
[로저스의 인간중심 접근] 로저스(Rogers)의 생애, 인간중심이론의 주요개념, 로저스의 성격...
[사회복지개론]피아제의 인지발달 이론과 스키너의 행동주의 이론의 주요 특징은 무엇이며, ...
[머레이의 욕구이론] 욕구이론의 주요개념 머레이의 성격발달이론
[올포트의 특질이론] 올포트(Allport)의 생애 특질이론의 주요개념 올포트의 성격발달이론
[카텔의 특질이론] 카텔(Cattell)의 성격이론 - 카텔의 생애 특질이론의 주요개념 카텔의 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