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청소년 문제에 도움이 될 만한 도서 및 내용 소개
2. 청소기의 특성
3. 청소년 생활지도 및 상담의 활성화 방안
4. 청소년 상담자의 역할과 태도
Ⅲ. 결론
Ⅳ. 참고자료
Ⅱ. 본론
1. 청소년 문제에 도움이 될 만한 도서 및 내용 소개
2. 청소기의 특성
3. 청소년 생활지도 및 상담의 활성화 방안
4. 청소년 상담자의 역할과 태도
Ⅲ. 결론
Ⅳ. 참고자료
본문내용
내담자에게 좋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내담자의 행동변화를 이끌어 낼 수 있어야 하는 것이다.
나.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상담자의 얼굴표정은 상담에 있어 내담자에게 신뢰감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가령 자신이 처한 문제점으로 인해 내담자가 울 때, 화난 표정을 짓는다면 내담자는 울음을 그치고 상담에 몰입하기 보단, 상담자를 불신하고 더 이상 상담을 원치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로 고통스러워 할 때는 슬픈 표정이나 동감을 한다는 표정을 지어 내담자가 상담자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안면 표정은 정서의 전달과 관련된다. 또 얼굴은 말하려는 메시지를 더 잘 나타낼 수 있는데, 의도적으로 안면표정을 조절하는 것을 안면 속임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안면 속임은 조절과 위장으로 두 가지 일반적인 형태가 있다. 조절이라는 것은 실제로 경험한 것보다 저변에 깔려 있는 감정을 대략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안면표정을 의식적으로 통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위장 은 느꼈던 감정을 완전히 억압하거나 또는 경험하지 않은 감정을 허위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다. 목소리의 어조에 신경을 내담자의 공감적 이해를 이끌어 내야 한다.
상담자의 어조는 내담자와의 감정교류 및 의사소통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부드럽고 낮은 어조는 내담자들의 정서를 안정적이게 하고, 그들의 공감과 반응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게 한다. 반대로 거칠고 높은 어조는 내담자들로 하여금 심리적으로 불안하게 하고, 상담자를 피하게 만드는 것이다.
Ⅲ. 결론
이상 청소년에게 귀감이 될 만한 도서를 선정하고 청소년 상담 활성화 방안 및 상담자의 역할과 태도에 대한 나의 견해를 기술해 보았다. 상담자는 내담자와 원만한 관계 형성을 이루지 못한다면, 내담자는 자신의 고민거리에 대해 진솔하게 말을 할 수 없을 것이며, 결국 상담은 실패로 귀결될 것이다. 이에 사회복지사는 인간심리를 파악하고 내담자와의 원만한 관계형성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Ⅳ. 참고자료
집단심리학과 자아분석 지그문트 프로이트(심리학자) 저 | 이상률 역 | 지도리 | 2014.10.19
효과적인 상담관계의 비결 Leah Brew, MICHAEL K. ALTERKRUSE 저 | 이은경 외 1명 역 | 시그마프레스 | 2014.09.27.
나. 상담자는 내담자에게 신뢰감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상담자의 얼굴표정은 상담에 있어 내담자에게 신뢰감을 주는 주요 요인으로 작용한다. 가령 자신이 처한 문제점으로 인해 내담자가 울 때, 화난 표정을 짓는다면 내담자는 울음을 그치고 상담에 몰입하기 보단, 상담자를 불신하고 더 이상 상담을 원치 않을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내담자가 자신의 문제로 고통스러워 할 때는 슬픈 표정이나 동감을 한다는 표정을 지어 내담자가 상담자를 신뢰할 수 있도록 해야 하는 것이다.
한편 안면 표정은 정서의 전달과 관련된다. 또 얼굴은 말하려는 메시지를 더 잘 나타낼 수 있는데, 의도적으로 안면표정을 조절하는 것을 안면 속임이라고도 한다. 이러한 안면 속임은 조절과 위장으로 두 가지 일반적인 형태가 있다. 조절이라는 것은 실제로 경험한 것보다 저변에 깔려 있는 감정을 대략적으로 표현하기 위해 안면표정을 의식적으로 통제하는 것을 의미하며, 위장 은 느꼈던 감정을 완전히 억압하거나 또는 경험하지 않은 감정을 허위로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다. 목소리의 어조에 신경을 내담자의 공감적 이해를 이끌어 내야 한다.
상담자의 어조는 내담자와의 감정교류 및 의사소통에 있어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이다. 부드럽고 낮은 어조는 내담자들의 정서를 안정적이게 하고, 그들의 공감과 반응을 효과적으로 이끌어 낼 수 있게 한다. 반대로 거칠고 높은 어조는 내담자들로 하여금 심리적으로 불안하게 하고, 상담자를 피하게 만드는 것이다.
Ⅲ. 결론
이상 청소년에게 귀감이 될 만한 도서를 선정하고 청소년 상담 활성화 방안 및 상담자의 역할과 태도에 대한 나의 견해를 기술해 보았다. 상담자는 내담자와 원만한 관계 형성을 이루지 못한다면, 내담자는 자신의 고민거리에 대해 진솔하게 말을 할 수 없을 것이며, 결국 상담은 실패로 귀결될 것이다. 이에 사회복지사는 인간심리를 파악하고 내담자와의 원만한 관계형성을 이루기 위해 노력해야 겠다는 생각을 해보았다.
Ⅳ. 참고자료
집단심리학과 자아분석 지그문트 프로이트(심리학자) 저 | 이상률 역 | 지도리 | 2014.10.19
효과적인 상담관계의 비결 Leah Brew, MICHAEL K. ALTERKRUSE 저 | 이은경 외 1명 역 | 시그마프레스 | 2014.09.27.
키워드
추천자료
가출청소년의 현황과 문제점 및 개입방안
청소년 문제와 해결방안
가출청소년의 문제점과 해결방안에 관한 고찰
자원봉사자의 정의,필요성, 성인자원봉사와 청소년자원봉사 비교, 청소년자원봉사활동의 실태...
미혼모복지의 현황과 미혼모복지의 문제점 분석 및 미혼모 복지사업의 발전방안에 대한 논의(...
청소년의 학교중퇴문제와 해결방안
[청소년육성제도론] 청소년육성정책 전담 중앙 행정조직의 변천과정 요약과 변천하는 과정에...
청소년 가출 문제의 대책 및 가출청소년 지도방안
대중매체의 거대화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사회 청소년의 문제점에 대해 기술하고 해결방안...
[학교school 밖청소년] 학교밖청소년 현황, 문제점, 학교밖청소년정책 개선방안 - 학교밖청소년
[청소년육성제도론] 우리나라 청소년행정 전달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대해 서술하시오 (...
청소년 관련 문제 중 가장 심각하다고 생각되는 주제를 정하여 개념 문제점 현황과 실태 개입...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