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분단의 배경 (한국분단, 사실적 배경, 현실적 배경, 전시회담,일반명령)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대한민국 분단의 배경 (한국분단, 사실적 배경, 현실적 배경, 전시회담,일반명령)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분단의 사실적 배경
(1) 극동 지역의 전후 처리에 대한 연합국의 입장
(2) 전시회담에서의 한국문제

Ⅲ. 분단의 현실적 배경
(1) 일반명령 제 1호의 배경

본문내용

군 지역에 포함되어야 한다”고 결정, 서울 북방에 선을 그었는데. 그것이 정확히 38도선은 아니었으나 “거의 그것에 가까웠고 또 그것에 연한 것이었다.” 그러나 미 소 대표들은 포츠담의 군사 회담에서 이 분계선을 토의하지 않았다. 결국 연합국들은 그들의 마지막 회의였던 포츠담회담에서조차 한반도의 장래에 관해 아무런 명시적 설계를 마련하지 못했던 것이다.
Ⅲ. 분단의 현실적 배경
(1) 일반명령 제 1호의 배경
1945년 8월 6일과 8일 미국이 일본의 히로시마와 나가사키에 원자탄을 투하, 전(全) 시를 잿더미로 만들고, 8일소련이대일전에참가함으로써전세는결정적단계에도달하였다.소련군은파죽지세로한 만에 진입, 8 일 나진 공습에 이어 9일에는 한반도의 최동북인 웅기를 폭격하고 곧 경흥 으로 진공, 13일에는 청진에 상륙하였다. 일본은 10일 항복 의사를 표시하 고 14일 무조건 항복을 발표하였다.
이러한 전국(戰局)의 급작스런 진전은 미국으로 하여금 한반도에 대한 진공에서 군사적 점령과 일군의 무장 해제로 전략을 변경토록 하였다. 이 때(8월 12일) 미국의 모스크바 특사 폴리 (Edwin W. Pauley)와 모스크바 대사 해리만(Averell Harriman) 등은 한반도 전역과 만주의 공업 지대를 미군이 점령토록 건의했으나 트루만 대통령은 “이 시점의 기회는 장기간의 전쟁을 끝내는 것”이라고 판단, 채택하지 않았다.
그 대신 미국은 한반도를 38도선에서 분단하기로 결정했다. 이 작업에 직접 참가했던 국무성 일반 참모부의 러스크(Dean Rusk) 대령은 후일의 회에서 다음과 같이 증언한 바 있다.
일본의 돌연한 항복으로, 국무성과 군부는 맥아더장군에게 필요한 명령을 내리고 다른 연합국 정부와 일본 항복에 대해 필요한 협의를 하기 위해 긴급회의를 가졌다. 이러한 목적으로 국무성 육군 해군성 합동 조정위원회 (State-War-Navy Coordination Committee)는 8월 10일부터 15일까지 몇 차례 긴 회의를 열었다. 의제는 일본 항복의 수락에 관한 협의였다. 국무성은 미군이 가능한 한 북쪽에서 항복받을 것을 건의했다.
군부는 즉시 이용할 만한 미군이 부족했고, 또한 시 공적 조건으로 보 아도 소련군이 이 지역에 진입하기 전에 더 북쪽으로 가기는 어려웠다. 사실 소련군이 이미 한반도 동북에 진입하였음에 반해, 한국으로 이동될 수 있는 가장 가까운 곳에 있던 미군은 600마일 떨어진 오키나와와 1,500 내지 2천 마일 떨어진 필리핀에 있었다. 따라서 러스크에 의하면, 육군 측은 가능한 한 북쪽에서 항복받기를 원하는 미국의 정치적 욕구와 미군이 그 지역에 도달하기에는 분명한 한계를 갖고 있는 점을 조화시킨 제안을 요청하였다. 우리는 38도선을 권고했는데… … 이것은 미군의 책임 지역 내에 한국 수도를 포함시켜 놓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 안은 8월 13일 트루만에 의해 채택, 즉시 영국과 소련 및 국부(장개석)에 전달되었다. 어느 나라도 이를 이의 없이 받아들이자 이것은 8월 15일 마닐라에 있는 맥아더 태평양 지역 연합군 최고사령관에게 ‘일반 명령 제1호’로 전달되었다.
맥아더는 9월 2일 일본 항복의 공식 서명과 함께 이를 포고, 한반도에서 38도선 이북의 일본군의 항복은 소련이, 이남의 일본군의 항복은 미국이 접수한다고 규정하였다. 분단에 관한 명시적인 국제 합의가 없었던 한국은 이 렇게 군사적 편의주의에 입각한 임시 조치로서 분단되고 말았다.
참고자료
- 해방전후사의 인식 1 | 송건호 외 | 한길사 2007
- 해방후사 | 이정식 | 경희대학교출판문화원 2013
- 한국 분단시 연구 | 강우식 | 한국문화사 2004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4.11.17
  • 저작시기2014.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04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