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혈액검사(정상범위와 비정상일경우의 간호방법)
⑴ 백혈구 (White blood cell, leukocyte) … 1
⑵ 혈색소 (hemoglobin) … 2
⑶ 혈소판 (blood Platelet) … 4
⑷ 호중구 (Neutrophil) … 6
ⅱ 감염지침
⑴ VRE의 감염지침 … 8
⑵ Rota virus의 감염지침 … 11
ⅲ 참고문헌 … 13
⑴ 백혈구 (White blood cell, leukocyte) … 1
⑵ 혈색소 (hemoglobin) … 2
⑶ 혈소판 (blood Platelet) … 4
⑷ 호중구 (Neutrophil) … 6
ⅱ 감염지침
⑴ VRE의 감염지침 … 8
⑵ Rota virus의 감염지침 … 11
ⅲ 참고문헌 … 13
본문내용
다른 사람들에게 전염될 수 있다. rota virus는 생후 2개월 이전 신생아들이나 영아들에게도 감염될 수 있으나 그들에게는 위장염이 잘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생후 2~24개월 영유아들에게 감염되어 그들에게 위장염을 잘 일으킨다.
생후 2~24개월 영유아들이 앓는 위장염들 중 가장 흔한 위장염이다. 데이케어, 유치원 등 아이들이 집단 생활하는 곳에서 rota virus에 잘 감염될 수 있다.
5. 발생빈도, 잠복기, 예방
- 발생빈도: 2세 이하의 아동이나 영아에게 가장 흔하고 주간간호센터에서 흔하다.
- 잠복기: 48시간
- 예방: 좋은 위생(기저귀나 변기사용에 의해 억제할 수 없는 설사아동은 설사가 멈출 때 까지 주간간호센터에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6. 치료적 관리
① 항바이러스 제는 아직 없으며, 자연 치료되므로, 대증요법이 필요하다.
② 치료의 주목적은 탈수, 산혈증, 전해질 장애의 교정 및 영양결핍의 예방이다.
③ 탈수: 대부분의 경우 경구용 수액(ORS)제제를 사용하여 교정한다.
④ 구토증세가 지속적으로 너무 심하거나 중증 탈수 시, 시간당 설사의 양이 100㎖/㎏이상 일 때에는 정맥 내 수액요법을 실시한다.
⑤ 설사를 계속하더라도 모유는 제한할 필요 없이 계속 수유를 시키며 수유시간을 처음 2-3분으로 시작하여 3-4시간 간격으로 1회 1-2회분씩 수유시간을 증가시켜 나간다.
⑥ 인공 영양아는 우유를 1/4로 희석하여 소량씩 자주 먹이고, 괜찮으면 24-48시간 동안에 걸쳐 우유농도와 양을 차츰 늘려간다. 이 기간 중 부족한 양은 경구용 포도당-전해질 용 액이나, 쌀로 만든 미음, 희석한 쥬스 등으로 보충 해 준다.
7. 예방
대변-경구의 전파경로를 취하므로 격리의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환자와 환자간의 전파를 막을 수 있는 기본경계가 필요하며 더불어 접촉경계를 실시하도록 한다.
① 손씻기
- 매 환아와 접촉할 때마다 접촉 전·후로 세심한 손씻기를 시행한다.
② 기저귀 교환
- 감염된 환아에서 대부분의 바이러스 배출 경로는 대변이기 때문에 감염되었거나 감염이 의심되는 환아의 기저귀 처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③주변환경의 청결유지
- Rota virus는 Hibitan과 같은 소독제는 효과가 없으며 95% ethanol, povidone iodine, sodium chlorite 등이 유효하다.
- 환아들의 침상을 닦는 걸레와 기타 주변기기를 닦는 걸레는 구별되어야 하며, 하나의 걸 레로 모든 표면을 닦는 일은 없어야 한다.
- 사용한 걸레는 뜨거운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하고, 100배 희석한 차아염소산액에 30 분간 담궜다가 헹군 후 말려서 사용하도록 한다.
- 오염지역 환경의 모든 표면(가구, 시설물, 기구 포함)은 소독제를 이용하여 닦아야하며 소독제를 사용한 경우는 다시 깨끗한 물걸레로 닦아내도록 한다.
- 오염지역에 소독제를 이용한 분무는 효과적이지 않다.
④격리
- 감염이 의심되거나 감염으로 확인된 경우는 즉시 격리하도록 한다.
- 감염된 환아는 한곳으로 옮기고, 의료인뿐만 아니라 물품도 분리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⑤환기
- 드물지만 공기로 인한 전파도 가능하므로 유행적 발생이 있는 경우는 환기 상태를 점검 한다.
- 환기장치가 없어 창문으로 조절해야 한다면 오랜 시간 창문을 열어놓아 실내온도가 떨어 지지 않도록 한다.
⑥의료인/산모의 stool Rota virus Ag 검사
- 신생아실과 같은 경우 증상이 없이 감염된 직원이 중요한 감염원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 로 유행적 발생이 있는 경우는 의료인을 검사하도록 한다.
- 신생아에서의 유행적 발생 시에는 산모도 감염원이 될 수 있으므로 분만직전 산모의 설 사 유, 무를 조사하고 필요시 검사하도록 한다.
⑦조기발견 및 격리를 위한 조치
- 입원 환아의 stool Rota virus Ag 검사: 바이러스가 대변으로 분리되는 것은 감염후 3-8일 정도이며, 무증상이 많으므로 Rota virus의 유행 발생시에는 출생후 감염의 증상이 없더 라도 3일, 5일에 stool Ag검사를 시행하여 증상 없는 감염 환아가 발견되지 못한 상태에 서 감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줄이도록 한다.
- 환아의 증상 관찰: Rota virus 감염의 초기 증상인 fever, vomiting, diarrhea 등이 있는지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감염된 환아를 조기 격리할 수 있도록 한다.
ⅲ 참고문헌
* 김희순 외 8명 (2007),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 김희순 외 9명 (2007),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편 (2005), 생리학, 정담미디어
* 이성호 외 8명 (2005), 인체해부학, 현문사
* 김태운 외 11명 (2006), 의학 미생물과 감염질환, 수문사
* 조결자 외 (2006), 아동간호학 1, 현문사
* http://www.kangnamcmc.com/faq1/bbs.asp?uid=&intAdmin=
* http://kdcp.hallym.or.kr/education/leukocyte-ds.htm
* http://humc.hallym.or.kr/kangdong/infection-control/management.htm
*http://cafe329.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S6yt&fldid=lqa&contentval=0000Lzzzzzzzzzzzzzzzzzzzzzzzzz&nenc=elG-wjTaG8F2j45MD9V.kQ00&dataid=21&fenc=JYF1CWB21rw0&docid=S6yt|lqa|21|20050424183630&q=vre%20%B0%A8%BF%B0%B0%FC%B8%AE
*http://webzine.koreanurse.or.kr/Webzine/read_article.php?webzine_id=26&sub_cat_id=294&is_sub_no=493&article_id=725
* http://www.kosnic.org/v2/sub02_06.php
* http://blog.naver.com/taengguri02/80016853969
* http://nursestudy.com.ne.kr/
생후 2~24개월 영유아들이 앓는 위장염들 중 가장 흔한 위장염이다. 데이케어, 유치원 등 아이들이 집단 생활하는 곳에서 rota virus에 잘 감염될 수 있다.
5. 발생빈도, 잠복기, 예방
- 발생빈도: 2세 이하의 아동이나 영아에게 가장 흔하고 주간간호센터에서 흔하다.
- 잠복기: 48시간
- 예방: 좋은 위생(기저귀나 변기사용에 의해 억제할 수 없는 설사아동은 설사가 멈출 때 까지 주간간호센터에 들어오지 못하게 한다.)
6. 치료적 관리
① 항바이러스 제는 아직 없으며, 자연 치료되므로, 대증요법이 필요하다.
② 치료의 주목적은 탈수, 산혈증, 전해질 장애의 교정 및 영양결핍의 예방이다.
③ 탈수: 대부분의 경우 경구용 수액(ORS)제제를 사용하여 교정한다.
④ 구토증세가 지속적으로 너무 심하거나 중증 탈수 시, 시간당 설사의 양이 100㎖/㎏이상 일 때에는 정맥 내 수액요법을 실시한다.
⑤ 설사를 계속하더라도 모유는 제한할 필요 없이 계속 수유를 시키며 수유시간을 처음 2-3분으로 시작하여 3-4시간 간격으로 1회 1-2회분씩 수유시간을 증가시켜 나간다.
⑥ 인공 영양아는 우유를 1/4로 희석하여 소량씩 자주 먹이고, 괜찮으면 24-48시간 동안에 걸쳐 우유농도와 양을 차츰 늘려간다. 이 기간 중 부족한 양은 경구용 포도당-전해질 용 액이나, 쌀로 만든 미음, 희석한 쥬스 등으로 보충 해 준다.
7. 예방
대변-경구의 전파경로를 취하므로 격리의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환자와 환자간의 전파를 막을 수 있는 기본경계가 필요하며 더불어 접촉경계를 실시하도록 한다.
① 손씻기
- 매 환아와 접촉할 때마다 접촉 전·후로 세심한 손씻기를 시행한다.
② 기저귀 교환
- 감염된 환아에서 대부분의 바이러스 배출 경로는 대변이기 때문에 감염되었거나 감염이 의심되는 환아의 기저귀 처리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③주변환경의 청결유지
- Rota virus는 Hibitan과 같은 소독제는 효과가 없으며 95% ethanol, povidone iodine, sodium chlorite 등이 유효하다.
- 환아들의 침상을 닦는 걸레와 기타 주변기기를 닦는 걸레는 구별되어야 하며, 하나의 걸 레로 모든 표면을 닦는 일은 없어야 한다.
- 사용한 걸레는 뜨거운 물과 세제를 이용하여 세탁하고, 100배 희석한 차아염소산액에 30 분간 담궜다가 헹군 후 말려서 사용하도록 한다.
- 오염지역 환경의 모든 표면(가구, 시설물, 기구 포함)은 소독제를 이용하여 닦아야하며 소독제를 사용한 경우는 다시 깨끗한 물걸레로 닦아내도록 한다.
- 오염지역에 소독제를 이용한 분무는 효과적이지 않다.
④격리
- 감염이 의심되거나 감염으로 확인된 경우는 즉시 격리하도록 한다.
- 감염된 환아는 한곳으로 옮기고, 의료인뿐만 아니라 물품도 분리하여 제공하도록 한다.
⑤환기
- 드물지만 공기로 인한 전파도 가능하므로 유행적 발생이 있는 경우는 환기 상태를 점검 한다.
- 환기장치가 없어 창문으로 조절해야 한다면 오랜 시간 창문을 열어놓아 실내온도가 떨어 지지 않도록 한다.
⑥의료인/산모의 stool Rota virus Ag 검사
- 신생아실과 같은 경우 증상이 없이 감염된 직원이 중요한 감염원으로 적용할 수 있으므 로 유행적 발생이 있는 경우는 의료인을 검사하도록 한다.
- 신생아에서의 유행적 발생 시에는 산모도 감염원이 될 수 있으므로 분만직전 산모의 설 사 유, 무를 조사하고 필요시 검사하도록 한다.
⑦조기발견 및 격리를 위한 조치
- 입원 환아의 stool Rota virus Ag 검사: 바이러스가 대변으로 분리되는 것은 감염후 3-8일 정도이며, 무증상이 많으므로 Rota virus의 유행 발생시에는 출생후 감염의 증상이 없더 라도 3일, 5일에 stool Ag검사를 시행하여 증상 없는 감염 환아가 발견되지 못한 상태에 서 감염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기회를 줄이도록 한다.
- 환아의 증상 관찰: Rota virus 감염의 초기 증상인 fever, vomiting, diarrhea 등이 있는지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 감염된 환아를 조기 격리할 수 있도록 한다.
ⅲ 참고문헌
* 김희순 외 8명 (2007), 아동건강간호학Ⅰ, 수문사
* 김희순 외 9명 (2007), 아동건강간호학Ⅱ, 수문사
* 한국해부생리학교수협의회 편 (2005), 생리학, 정담미디어
* 이성호 외 8명 (2005), 인체해부학, 현문사
* 김태운 외 11명 (2006), 의학 미생물과 감염질환, 수문사
* 조결자 외 (2006), 아동간호학 1, 현문사
* http://www.kangnamcmc.com/faq1/bbs.asp?uid=&intAdmin=
* http://kdcp.hallym.or.kr/education/leukocyte-ds.htm
* http://humc.hallym.or.kr/kangdong/infection-control/management.htm
*http://cafe329.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S6yt&fldid=lqa&contentval=0000Lzzzzzzzzzzzzzzzzzzzzzzzzz&nenc=elG-wjTaG8F2j45MD9V.kQ00&dataid=21&fenc=JYF1CWB21rw0&docid=S6yt|lqa|21|20050424183630&q=vre%20%B0%A8%BF%B0%B0%FC%B8%AE
*http://webzine.koreanurse.or.kr/Webzine/read_article.php?webzine_id=26&sub_cat_id=294&is_sub_no=493&article_id=725
* http://www.kosnic.org/v2/sub02_06.php
* http://blog.naver.com/taengguri02/80016853969
* http://nursestudy.com.ne.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