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국어 상
8단원. 언어와 세계
1.교재관
대단원 분석
<학습 목표>
<학습 목표와 국어 교육의 목표와의 관련성>
<전 학년과의 관련성>
2.지도관
가. <학습 활동(내용)>
나. 수업 지도 모형
나. 주요 학습 목표 및 활동
3.본시학습지도안
PPT 자료
<형성평가>
8단원. 언어와 세계
1.교재관
대단원 분석
<학습 목표>
<학습 목표와 국어 교육의 목표와의 관련성>
<전 학년과의 관련성>
2.지도관
가. <학습 활동(내용)>
나. 수업 지도 모형
나. 주요 학습 목표 및 활동
3.본시학습지도안
PPT 자료
<형성평가>
본문내용
떠했을 지 전체 학생에게 물어본다.
시에서 작자가 나타내고자 하는 생각은 무엇인지 발표하게 한다.
또한 이 시를 읽은 후 어떤 생각이 드는지 자유롭게 발표하게 한다.
위 활동에서 문학 작품을 감상할 때에 사회·문화적 상황을 찾았고 그 부분에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했다.
이렇게 문학은 시대상을 반영하기도 하고 , 또한 문학을 읽는 사람들의 사고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작품이 편찬된 시대적 상황과 편찬 동기를 전체에게 묻는다.
-언어와 사고,문화,사회는 서로 영향을 주기도 하고 ,영향을 받리도 한다
다음시간에 할 보충학습의 예문을 미리 읽어 오게 한다.
-언어가 사고,문화,사회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편찬 동기를 시대상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번지,-도시 대발, 현대문명
돌 깨는 산울림-도시 개발의 진통
*채석장 포성-물질문명의 압박감
*아침 구공탄, 굴뚝연기-현대문명 속에서도 향수를 느끼고자 함(자연 파괴를 드러냄)
*쫓기는 새- 도시문명이 자연을 파괴함
자연이 파괴되었을 것이다.
공장이나 아파트가 많이 지어지어졌을 것이다.
현대 문명이 자연을 파괴하는 것을 비판하기 위해 시를 썼을 것이다./
자연을 보호하자는 생각에서 시를 썼을 것이다.
산이 깎이고 아파트나 건물이 들어 서는 것을 볼 때에 다시한번 자연의 피해를 생각하게 될 것이다./
길거리의 지저분한 비둘기가 이제는 불쌍하게 보일 것이다.
전쟁이 끝나고 나라가 어려웠으므로
민심을 안정시키고 도덕과 의로운 일을 다지기 위해서였다.
모둠별
활동
발표식
P
P
T
*학습자들이 <성북동 비둘기>에서 시대상황을 찾기 힘들어 할 경우 시대 상황을 간략히 먼저 제시해 줄 수도 있다.
*학생들이 다 찾지 못하더라도 찾은 내용 중에서 시대를 반영한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PPT 자료
생각해 봅시다.^o^
<성북동 비둘기>에서 당시의 시대 상황을 드러내는 부분을 찾아보고 종이에 적어 봅니다.
그리고 찾은 부분을 바탕으로 하여 그 당시 시대 상황이 어떠했을 지도 생각해 봅시다.
<성북동 비둘기>
김광섭
성북동 산에 번지(番地)가 새로 생기면서 본래 살던 성북동 비둘기만이 번지가 없어졌다. 새벽부터 돌 깨는 산울림에 떨다가 가슴에 금이 갔다. 그래도 성북동 비둘기는 하느님의 광장(廣場) 같은 새파란 아침 하늘에 성북동 주민에게 축복(祝福)의 메시지나 전하듯 성북동 하늘을 한 바퀴 휘돈다.//
성북동 메마른 골짜기에는 조용히 앉아 콩알 하나 찍어 먹을 널찍한 마당은커녕 가는 데마다 채석장(採石場) 포성(砲聲)이 메아리쳐서 피난하듯 지붕에 올라 앉아 아침 구공탄(九孔炭) 굴뚝 연기에서 향수를 느끼다가 산 1번지 채석장에 도루 가서 금방 따낸 돌 온기(溫氣)에 입을 닦는다. //
예전에는 사람을 성자(聖者)처럼 보고 사람 가까이 사람과 같이 사랑하고 사람과 같이 평화(平和)를 즐기던 사랑과 평화의 새 비둘기는 이제 산도 잃고 사람도 잃고 사랑과 평화의 사상까지 낳지 못하는 쫓기는 새가 되었다. //
<형성평가>
1.언어가 사회문화에 영향을 주는 경우와
반대로, 사회문화가 언어에 영향을 주는 경우는 어떤 것이 있는지
혹은 동시에 영향을 주고받는 경우 중에 한가지를 써 봅시다.
<언어- 사회문화의 관계>
2.다음은 조선시대 초기의 작품 <용비어천가>중 일부분이다.
천세(千歲) 우희 미리 정 샨 한수북(漢水北)에 누인개국(累仁開國) 샤 복년(卜年)이 업스시니
성신(聖神)이 니즈샤도 경천근민(敬天勤民) 가이셔 하나빌 미드니잇가
님금하 아쇼셔 낙수예 산행 가이셔 하나빌 미드니잇가
<현대어 풀이>
천대 옛날에 미리 정하신 한강 북에, 어진 일을 쌓고 나라를 여시어, (나라 전할) 해가 한이 없으시니성신이 이으셔도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위하여 힘쓰셔야 나라가 더욱 굳으실 것입니다.임금님이시여 아소서. (하 나라 태강처럼) 낙수에 사냥가서 조상의 공덕만을 믿습니까? (믿을 것이겠습니까
(1)이 부분에 나타난 내용을 바탕으로 작자의 중심 의도를 써 보자.
(2)이 글을 읽은 독자(왕, 후대의 독자)들은 어떤 생각을 갖게 되었을 지 적어보자.
2.하나라 우왕의 손자인 태강왕이 사냥을 즐기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그 덕을 잃었다. 한번은 낙수의 남쪽까지 가서 사냥을 즐기느라 백일이 넘어도 돌아오지 않으므로 유궁후(有窮后) 예가 백성을 위해 참을 수 없어 태강왕을 폐위시키고 말았다. 답)타산지석의 교훈을 후대왕들에게 강조하고 있다.
시에서 작자가 나타내고자 하는 생각은 무엇인지 발표하게 한다.
또한 이 시를 읽은 후 어떤 생각이 드는지 자유롭게 발표하게 한다.
위 활동에서 문학 작품을 감상할 때에 사회·문화적 상황을 찾았고 그 부분에서 작가가 말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했다.
이렇게 문학은 시대상을 반영하기도 하고 , 또한 문학을 읽는 사람들의 사고나 행동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작품이 편찬된 시대적 상황과 편찬 동기를 전체에게 묻는다.
-언어와 사고,문화,사회는 서로 영향을 주기도 하고 ,영향을 받리도 한다
다음시간에 할 보충학습의 예문을 미리 읽어 오게 한다.
-언어가 사고,문화,사회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동국신속삼강행실도>의 편찬 동기를 시대상과 관련하여 설명할 수 있다.
*번지,-도시 대발, 현대문명
돌 깨는 산울림-도시 개발의 진통
*채석장 포성-물질문명의 압박감
*아침 구공탄, 굴뚝연기-현대문명 속에서도 향수를 느끼고자 함(자연 파괴를 드러냄)
*쫓기는 새- 도시문명이 자연을 파괴함
자연이 파괴되었을 것이다.
공장이나 아파트가 많이 지어지어졌을 것이다.
현대 문명이 자연을 파괴하는 것을 비판하기 위해 시를 썼을 것이다./
자연을 보호하자는 생각에서 시를 썼을 것이다.
산이 깎이고 아파트나 건물이 들어 서는 것을 볼 때에 다시한번 자연의 피해를 생각하게 될 것이다./
길거리의 지저분한 비둘기가 이제는 불쌍하게 보일 것이다.
전쟁이 끝나고 나라가 어려웠으므로
민심을 안정시키고 도덕과 의로운 일을 다지기 위해서였다.
모둠별
활동
발표식
P
P
T
*학습자들이 <성북동 비둘기>에서 시대상황을 찾기 힘들어 할 경우 시대 상황을 간략히 먼저 제시해 줄 수도 있다.
*학생들이 다 찾지 못하더라도 찾은 내용 중에서 시대를 반영한 의미를 생각하게 한다.
PPT 자료
생각해 봅시다.^o^
<성북동 비둘기>에서 당시의 시대 상황을 드러내는 부분을 찾아보고 종이에 적어 봅니다.
그리고 찾은 부분을 바탕으로 하여 그 당시 시대 상황이 어떠했을 지도 생각해 봅시다.
<성북동 비둘기>
김광섭
성북동 산에 번지(番地)가 새로 생기면서 본래 살던 성북동 비둘기만이 번지가 없어졌다. 새벽부터 돌 깨는 산울림에 떨다가 가슴에 금이 갔다. 그래도 성북동 비둘기는 하느님의 광장(廣場) 같은 새파란 아침 하늘에 성북동 주민에게 축복(祝福)의 메시지나 전하듯 성북동 하늘을 한 바퀴 휘돈다.//
성북동 메마른 골짜기에는 조용히 앉아 콩알 하나 찍어 먹을 널찍한 마당은커녕 가는 데마다 채석장(採石場) 포성(砲聲)이 메아리쳐서 피난하듯 지붕에 올라 앉아 아침 구공탄(九孔炭) 굴뚝 연기에서 향수를 느끼다가 산 1번지 채석장에 도루 가서 금방 따낸 돌 온기(溫氣)에 입을 닦는다. //
예전에는 사람을 성자(聖者)처럼 보고 사람 가까이 사람과 같이 사랑하고 사람과 같이 평화(平和)를 즐기던 사랑과 평화의 새 비둘기는 이제 산도 잃고 사람도 잃고 사랑과 평화의 사상까지 낳지 못하는 쫓기는 새가 되었다. //
<형성평가>
1.언어가 사회문화에 영향을 주는 경우와
반대로, 사회문화가 언어에 영향을 주는 경우는 어떤 것이 있는지
혹은 동시에 영향을 주고받는 경우 중에 한가지를 써 봅시다.
<언어- 사회문화의 관계>
2.다음은 조선시대 초기의 작품 <용비어천가>중 일부분이다.
천세(千歲) 우희 미리 정 샨 한수북(漢水北)에 누인개국(累仁開國) 샤 복년(卜年)이 업스시니
성신(聖神)이 니즈샤도 경천근민(敬天勤民) 가이셔 하나빌 미드니잇가
님금하 아쇼셔 낙수예 산행 가이셔 하나빌 미드니잇가
<현대어 풀이>
천대 옛날에 미리 정하신 한강 북에, 어진 일을 쌓고 나라를 여시어, (나라 전할) 해가 한이 없으시니성신이 이으셔도 하늘을 공경하고 백성을 위하여 힘쓰셔야 나라가 더욱 굳으실 것입니다.임금님이시여 아소서. (하 나라 태강처럼) 낙수에 사냥가서 조상의 공덕만을 믿습니까? (믿을 것이겠습니까
(1)이 부분에 나타난 내용을 바탕으로 작자의 중심 의도를 써 보자.
(2)이 글을 읽은 독자(왕, 후대의 독자)들은 어떤 생각을 갖게 되었을 지 적어보자.
2.하나라 우왕의 손자인 태강왕이 사냥을 즐기고 정사를 돌보지 않아 그 덕을 잃었다. 한번은 낙수의 남쪽까지 가서 사냥을 즐기느라 백일이 넘어도 돌아오지 않으므로 유궁후(有窮后) 예가 백성을 위해 참을 수 없어 태강왕을 폐위시키고 말았다. 답)타산지석의 교훈을 후대왕들에게 강조하고 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