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EMBRAER 개요>
1.1 세계 항공기 시장 상황……………………………………3p
1.2 EMBRAER 소개……………………………………4p
1.3 EMBRAER 연혁……………………………………5p
1.4 EMBRAER의 시작……………………………………6p
<2. EMBRAER 사업>
2.1 EMBRAER 사업 시장 분류……………………………………7p
2.2 EMBRAER 경영위기……………………………………11p
2.3 EMBRAER 민영화……………………………………12p
2.4 EMBRAER 성공전략……………………………………13p
2.5 EMBRAER 재무분석……………………………………17p
1) Embraer의 순수익
2) Embraer의 당기순이익
3) Embraer의 EBITDA
4) Embraer의 투자
2.6 EMBRAER 환경적 책임……………………………………19p
1) 환경 및 산업 안전에 대한 원칙
2) 환경 경영
3) 환경 인증
2.7 EMBRAER 프로그램……………………………………21p
2.8 EMBRAER aircraft 종류……………………………………21p
<3. EMBRAER 방향>
3.1 EMBRAER 향후전망……………………………………26p
3.2 결론……………………………………29p
1.1 세계 항공기 시장 상황……………………………………3p
1.2 EMBRAER 소개……………………………………4p
1.3 EMBRAER 연혁……………………………………5p
1.4 EMBRAER의 시작……………………………………6p
<2. EMBRAER 사업>
2.1 EMBRAER 사업 시장 분류……………………………………7p
2.2 EMBRAER 경영위기……………………………………11p
2.3 EMBRAER 민영화……………………………………12p
2.4 EMBRAER 성공전략……………………………………13p
2.5 EMBRAER 재무분석……………………………………17p
1) Embraer의 순수익
2) Embraer의 당기순이익
3) Embraer의 EBITDA
4) Embraer의 투자
2.6 EMBRAER 환경적 책임……………………………………19p
1) 환경 및 산업 안전에 대한 원칙
2) 환경 경영
3) 환경 인증
2.7 EMBRAER 프로그램……………………………………21p
2.8 EMBRAER aircraft 종류……………………………………21p
<3. EMBRAER 방향>
3.1 EMBRAER 향후전망……………………………………26p
3.2 결론……………………………………29p
본문내용
생산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EMBRAER사는 2000년부터 비행기 시장에 뛰어들었으며, 지난해까지 13%의 성장세를 기록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76대를 판매하였다. 현재 EMBRAER는 중형 사이즈의 상업용 비행기로 경쟁 우위를 점하며 이 크기가 회사의 효자노릇을 해주고 있듯이 향후 10년 동안 미래에는 그 역할을 경비행기가 해주기를 기대하고 있다.
2) 군사용 항공기 시장의 강화
EMBRAER사는 민간항공기 제조와 더불어 군사용 항공기 시장의 부문에 대해서도 강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EMBRAER는 브라질 공군을 위해 유럽 주주와의 제휴관계를 더 강화하여 초음속 전투기를 제조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 계획이 성공을 거둔다면, EMBRAER사는 초음속 비즈니스 제트기, 초고속 초경 제트기를 개발하는 데에 필요한 중대한 기술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EMBRAER는 전투기 등 군사용 항공기 생산 분야에서도 세계 4위 규모를 차지하고 있으나, 주로 브라질 공군에 판매가 집중되고 있는 현황이다. 전 세계적으로 전쟁의 양상이 과거 1, 2차 세계 대전에 비해 소규모로 일어나고 있으나, 국방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군상용 항공기 시장 공략은 또 하나의 EMBRAER 수입의 중요한 원천이 될 것으로 보인다.
3)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투자 확대
EMBRAER는 브라질에서 세 번째로 큰 수출기업으로서 90%이상의 수익을 수출을 통해 거두어 들이고 있다. 하지만 그 대상국은 여전히 북미와 유럽에 편중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북미에 편중되어 항공기를 판매하는 것에서 벗어나야 할 시점이다.
이에 EMBRAER는 금년 초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항공기 주문량이 128대에 이르는 등 시장 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어 항공기 부품 공급 및 조종사 교육, 기술제공 등을 위해 4억 달러를 투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EMBRAER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중형 항공기 판매 확대를 위한 새로운 전략 지역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향후 20년 영업 계획을 통해 인도, 일본, 호주 등 아태지역 국가에 최소한 200대의 항공기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4) 남미공동시장의 시장진출(메르코수르)
메르코수르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4개국이 정 회원국인 경제 블록이다. 미국의 안마당쯤으로 여겨진 데다 내수시장의 수요, 공급에 만족하며 국제사회에서 외면 받아 온 남미 지역이 본격적으로 세계경제에 편입되고 있는 순간이다. 과거 국제 사회에서 외면 받던 남미지역이 본격적으로 세계 경제에 편입하기 시작한 것이다.
또한 최근 이스라엘과 FTA 체결로 변화의 조짐을 크게 보이고 있는 메르코수르는 인도 및 SACU(남아프리카 관세 동맹)과도 FTA를 서두를 예정이다. 메르코수르가 SACU와 FTA를 체결하고, 여기에 인도까지 가세하면 15억 명의 인구를 가진 최대 규모의 자유 무역 지대가 창설되는 셈이다. GCC(사우디 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오만, 바레인, 카타르 등 가입한 경제블록)와 FTA를 체결 시에는 EMBRAER와 에너지 회사 페트로브라스의 아랍권 진출에도 청신호가 밝혀질 전망이다.
3.2 결론
이상으로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엠브라에르는 브라질을 기반으로 하여 남미를 대표하는 항공부문 다국적기업이다. 엠브라에르가 현재의 위치에 오르기까지 비단 순탄한 길의 연속은 아니었다. 재정악화에 따른 민영화, 파산위기, 제품개발의 부분에 대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들을 기회로 바꾸어 틈새시장의 니치마케팅 같은 방법을 통해 세계가 인정하는 항공 사업에 대한 다수 성과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엠브라에르는 상업용 항공기 생산능력에서 미국의 보잉, 유럽의 에어버스에 이은 세계3위에 올라있으며, 중소형 항공기 시장점유율로는 세계1위다. 뿐만 아니라 엠브라에르는 자체 개발한 전투기 ‘A-29 슈퍼투카노’를 중남미,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 판매하는 등 군용기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또한 이스라엘 군수업체인 엘비트 시스템의 자회사인 AEL 시스템과 협력해 무인항공기 시장진출도 모색하고 있다.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는 지난 2010년 보고서에서 엠브라에르가 세계 100대 방산업체에 처음으로 진입했다고 밝혔다. 100대 방산업체 가운데 44개는 미국, 30개는 서유럽, 8개는 러시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런 강대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만큼 성과를 이루어냈다.
이처럼 엠브라에르가 세계 4대 항공기 회사로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이유는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네 가지 성공전략이 유기적으로 잘 맞물렸기 때문이다. 모리씨우 보텔루 사장은 직원들을 단순 노동자가 아닌 그들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하고 진심으로 대하였고 기본적인 사고를 탈피하여 과감하게 니치마케팅을 하였다. 또한 급변하는 상황에 잘 대처하여 오히려 큰 이익을 남겼다. 마지막으로 엠브라에르는 신흥시장에 그 본거지를 두고 선진국에 대거 공급 조직을 거느리는 형태의 새로운 기업의 종류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이른바 역 아웃 소싱 전략이다.
엠브라에르의 향후전망으로는 고급 제트기 시장에 더 많은 투자를 할 것으로 보인다. 민간 중소형 항공기만으로는 한정적이라 판단하여 고급 제트기 시장으로 라인확장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서 자체 전투기를 개발하여 해외각국에 진출하였듯이 군사용 항공기 시장도 강화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북미와 유럽에 국한되어있는 수출시장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도 투자 확대 할 것으로 간주된다.
<자료 출처>
EMBRAER홈페이지(http://www.embraer.com)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_항공산업 진출전략
위키 백과(http://wikipedia.com)
연합 뉴스 (http://news.naver.com/main/)
아시아 투데이(http://www.asiatoday.co.kr)
머니 투데이 투자뉴스(http://stock.mt.co.kr)
매일 경제(http://newsmk.co.kr)
한국경제(http://www.hankyung.com)
아시아경제(http://www.saise.co.kr)
2) 군사용 항공기 시장의 강화
EMBRAER사는 민간항공기 제조와 더불어 군사용 항공기 시장의 부문에 대해서도 강점을 가지고 있다. 현재 EMBRAER는 브라질 공군을 위해 유럽 주주와의 제휴관계를 더 강화하여 초음속 전투기를 제조할 계획을 가지고 있다. 이 계획이 성공을 거둔다면, EMBRAER사는 초음속 비즈니스 제트기, 초고속 초경 제트기를 개발하는 데에 필요한 중대한 기술을 확보할 것으로 보인다.
다만 EMBRAER는 전투기 등 군사용 항공기 생산 분야에서도 세계 4위 규모를 차지하고 있으나, 주로 브라질 공군에 판매가 집중되고 있는 현황이다. 전 세계적으로 전쟁의 양상이 과거 1, 2차 세계 대전에 비해 소규모로 일어나고 있으나, 국방에 대한 관심은 여전히 높은 상황이다. 따라서, 군상용 항공기 시장 공략은 또 하나의 EMBRAER 수입의 중요한 원천이 될 것으로 보인다.
3)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투자 확대
EMBRAER는 브라질에서 세 번째로 큰 수출기업으로서 90%이상의 수익을 수출을 통해 거두어 들이고 있다. 하지만 그 대상국은 여전히 북미와 유럽에 편중되어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북미에 편중되어 항공기를 판매하는 것에서 벗어나야 할 시점이다.
이에 EMBRAER는 금년 초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항공기 주문량이 128대에 이르는 등 시장 규모가 점차 커지고 있어 항공기 부품 공급 및 조종사 교육, 기술제공 등을 위해 4억 달러를 투자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EMBRAER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을 중형 항공기 판매 확대를 위한 새로운 전략 지역으로 간주하고 있으며, 향후 20년 영업 계획을 통해 인도, 일본, 호주 등 아태지역 국가에 최소한 200대의 항공기 판매를 목표로 하고 있다.
4) 남미공동시장의 시장진출(메르코수르)
메르코수르는 아르헨티나, 브라질, 파라과이, 우루과이 4개국이 정 회원국인 경제 블록이다. 미국의 안마당쯤으로 여겨진 데다 내수시장의 수요, 공급에 만족하며 국제사회에서 외면 받아 온 남미 지역이 본격적으로 세계경제에 편입되고 있는 순간이다. 과거 국제 사회에서 외면 받던 남미지역이 본격적으로 세계 경제에 편입하기 시작한 것이다.
또한 최근 이스라엘과 FTA 체결로 변화의 조짐을 크게 보이고 있는 메르코수르는 인도 및 SACU(남아프리카 관세 동맹)과도 FTA를 서두를 예정이다. 메르코수르가 SACU와 FTA를 체결하고, 여기에 인도까지 가세하면 15억 명의 인구를 가진 최대 규모의 자유 무역 지대가 창설되는 셈이다. GCC(사우디 아라비아, 아랍에미리트, 쿠웨이트, 오만, 바레인, 카타르 등 가입한 경제블록)와 FTA를 체결 시에는 EMBRAER와 에너지 회사 페트로브라스의 아랍권 진출에도 청신호가 밝혀질 전망이다.
3.2 결론
이상으로 위에서 본 바와 같이 엠브라에르는 브라질을 기반으로 하여 남미를 대표하는 항공부문 다국적기업이다. 엠브라에르가 현재의 위치에 오르기까지 비단 순탄한 길의 연속은 아니었다. 재정악화에 따른 민영화, 파산위기, 제품개발의 부분에 대해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위기들을 기회로 바꾸어 틈새시장의 니치마케팅 같은 방법을 통해 세계가 인정하는 항공 사업에 대한 다수 성과를 이루게 되었다. 현재 엠브라에르는 상업용 항공기 생산능력에서 미국의 보잉, 유럽의 에어버스에 이은 세계3위에 올라있으며, 중소형 항공기 시장점유율로는 세계1위다. 뿐만 아니라 엠브라에르는 자체 개발한 전투기 ‘A-29 슈퍼투카노’를 중남미, 아프리카, 동남아시아 등에 판매하는 등 군용기 시장에도 적극적으로 진출하고 있다. 또한 이스라엘 군수업체인 엘비트 시스템의 자회사인 AEL 시스템과 협력해 무인항공기 시장진출도 모색하고 있다.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는 지난 2010년 보고서에서 엠브라에르가 세계 100대 방산업체에 처음으로 진입했다고 밝혔다. 100대 방산업체 가운데 44개는 미국, 30개는 서유럽, 8개는 러시아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런 강대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만큼 성과를 이루어냈다.
이처럼 엠브라에르가 세계 4대 항공기 회사로서 자리 잡을 수 있었던 이유는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네 가지 성공전략이 유기적으로 잘 맞물렸기 때문이다. 모리씨우 보텔루 사장은 직원들을 단순 노동자가 아닌 그들의 입장에서 먼저 생각하고 진심으로 대하였고 기본적인 사고를 탈피하여 과감하게 니치마케팅을 하였다. 또한 급변하는 상황에 잘 대처하여 오히려 큰 이익을 남겼다. 마지막으로 엠브라에르는 신흥시장에 그 본거지를 두고 선진국에 대거 공급 조직을 거느리는 형태의 새로운 기업의 종류 모델을 보여주고 있다. 이른바 역 아웃 소싱 전략이다.
엠브라에르의 향후전망으로는 고급 제트기 시장에 더 많은 투자를 할 것으로 보인다. 민간 중소형 항공기만으로는 한정적이라 판단하여 고급 제트기 시장으로 라인확장을 할 것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앞서 자체 전투기를 개발하여 해외각국에 진출하였듯이 군사용 항공기 시장도 강화 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북미와 유럽에 국한되어있는 수출시장을 아시아-태평양 지역으로도 투자 확대 할 것으로 간주된다.
<자료 출처>
EMBRAER홈페이지(http://www.embraer.com)
KOTRA(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_항공산업 진출전략
위키 백과(http://wikipedia.com)
연합 뉴스 (http://news.naver.com/main/)
아시아 투데이(http://www.asiatoday.co.kr)
머니 투데이 투자뉴스(http://stock.mt.co.kr)
매일 경제(http://newsmk.co.kr)
한국경제(http://www.hankyung.com)
아시아경제(http://www.saise.co.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