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없음
본문내용
에 맞는 일을 군대에서 수행해야 이를 밖에 나가서도 활용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현제 이루어지고 있는 모집제도의 보완이 필요하다.
모집 병사들의 적성분류와 군사특기 분류를 더욱 세분화 하고 아까 언급한 심층면접이나 잦은 주특기 훈련을 통해 합리적으로 배치, 관리 하여야 한다. 즉 입영 대상자들이 입대 전까지 취득한 면허, 자격, 전공, 경력분야를 인정해 군사특기 및 보직을 부여하고 이를 군대 내에서 더욱 발전시키는 계기로 삼아 사회에 나왔을 때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래야 기업에서도 군가산점제도의 당위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또한 이번 달부터 육군에서 도입하기로 한 군복무경력 증명서도 좋은 해결방안이 될 것이다. 군 생활이 그저 시간이나 때우면 끝나고 마는 것이 아니라 공문화되고 객관화된 지표로서 나의 커리어와 경력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나태해지지 않을 것이고 상세 내용에 상훈이나 훈련 수료, 경력, 특이사항, 교육사항들이 모두 기록되기 때문에 복무 동기화에 큰 촉진제도 작용 할 것이라 예상된다.
Conclusion : 결 론
앞에서도 보았듯이 군대라는 조직은 그 조직의 규모와 필요성에 비해 동기화 요소가 많이 결여되어 있고 이로 인한 사회와 군대내의 인식도 좋지 않았다. 이러한 인식을 타개하기 위해 정부와 군대 내에서 아래와 같은 해결방안을 내놓았으나
--------------------------------------
1. 대체복무제
2. 기술행정병 모집, 성과제 제도 개선
3. 포상휴가 제도
4. 군가산점 제도, 제대 군인 전직 지원
--------------------------------------
큰 실효를 걷지 못하였고 아직도 부족한 점이 있었다. 그래서 우리는 여러 대책을 세웠고 이는 다음과 같다.
--------------------------------------
복무 기간 단축
휴대폰 지급, 교육 기회 확대 및 미 육군 제도 벤치마킹
마일리지 제도
모집제도의 보완, 군복무경력 증명서
--------------------------------------
위와 같은 대책들은 실현가능한 대책들로, 실제로 시행될 경우, 장병들의 동기부여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러한 대책들의 제한점은 타 기업에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복무 기간 단축이나 휴대폰 지급, 군복무경력 증명서의 경우 일반 기업에 적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군대와 일반 회사는 근본적으로 그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군대는 회사에 비해 폐쇄적이고 구성들의 행동 또한 많이 제약 된다. 또한 동기부여의 효과도 일반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데, 그 이유는
회사의 경우 구성원들이 그 회사에 취직을 하고 싶어 하며, 열심히 일하려는 동기를 가지고 회사에 입사하지만 군대의 경우, 입대하고 싶지 않지만 국방의 의무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군복무를 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몇몇 대책의 경우 회사에도 적용 가능하며 실제로 회사에서 많이 적용하고 있다. 교육기회의 확대와 마일리지제도에 녹아있는 원리가 그렇다. 회사 내에서 임금 등의 외부적인 보상 외에 자기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교육기회를 꾸준히 제공함으로써 구성원들의 동기부여를 유도하는 사례들이 많다.
또한 마일리지제도에 녹아있는 목표설정이론(Goal setting theory)을 회사 업무 곳곳에 적용함으로써 동기부여를 유도할 수 있다.
우리가 제시한 대책들을 실제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 금액이 필요할 것이다. 물론,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요인 때문에, 굳이 지금의 제도를 개혁할 필요가 있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하지만, 군생활의 만족도, 동기부여는 군대의 전투력으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는 국방력과 큰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한다. 또한, 좀 더 개선된 대책은 군대 내에서의 자살 사고를 줄일 수 있다. 현재 군대 내에서의 자살 사고는 2008년부터 2012년 6월까지 매년 증가해, 총 368명의 병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개선된 대책이 단 한명의 병사의 생명을 구할 수만 있다면 그 대책을 시행하는 의의는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제시한 대책들을 통해 요즘 동해 미사일 발사 등으로 긴장이 고도화 된 한반도 정세 속에서 군대내의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한 병사들의 사기진작과 능률상승으로 전시체제인 우리나라의 국방력에 더욱 힘이 보태졌으면 한다.
Source : 출처 및 참고자료
1. 군대조직의 인사고과 승진과 관계특성이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복우, 1998
------------------------------------------
2. 군대조직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방연구 민진, 2010
------------------------------------------
3. 육군 신세대 병사 군 복무 동기부여 방안,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임영봉, 2007
------------------------------------------
4. 영화 용서 받지 못한 자, 윤종빈, 2005
------------------------------------------
5. 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병사의 정신건강,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2008년 12월, 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4호
------------------------------------------
6. 고졸취업자의 고용 이행지원을 위한 병역제도개선 방안 김현수김종우박효선
------------------------------------------
7. http://blog.daum.net/mma9090/6127
------------------------------------------
8. 육군 모집센터 http://www.goarmy.mil.kr/sub_soldier/sub_soldier.jsp
------------------------------------------
9. 뉴스와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2&aid=0000013890
모집 병사들의 적성분류와 군사특기 분류를 더욱 세분화 하고 아까 언급한 심층면접이나 잦은 주특기 훈련을 통해 합리적으로 배치, 관리 하여야 한다. 즉 입영 대상자들이 입대 전까지 취득한 면허, 자격, 전공, 경력분야를 인정해 군사특기 및 보직을 부여하고 이를 군대 내에서 더욱 발전시키는 계기로 삼아 사회에 나왔을 때 이를 활용할 수 있게 하여야 한다. 그래야 기업에서도 군가산점제도의 당위성을 가지게 될 것이다.
또한 이번 달부터 육군에서 도입하기로 한 군복무경력 증명서도 좋은 해결방안이 될 것이다. 군 생활이 그저 시간이나 때우면 끝나고 마는 것이 아니라 공문화되고 객관화된 지표로서 나의 커리어와 경력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나태해지지 않을 것이고 상세 내용에 상훈이나 훈련 수료, 경력, 특이사항, 교육사항들이 모두 기록되기 때문에 복무 동기화에 큰 촉진제도 작용 할 것이라 예상된다.
Conclusion : 결 론
앞에서도 보았듯이 군대라는 조직은 그 조직의 규모와 필요성에 비해 동기화 요소가 많이 결여되어 있고 이로 인한 사회와 군대내의 인식도 좋지 않았다. 이러한 인식을 타개하기 위해 정부와 군대 내에서 아래와 같은 해결방안을 내놓았으나
--------------------------------------
1. 대체복무제
2. 기술행정병 모집, 성과제 제도 개선
3. 포상휴가 제도
4. 군가산점 제도, 제대 군인 전직 지원
--------------------------------------
큰 실효를 걷지 못하였고 아직도 부족한 점이 있었다. 그래서 우리는 여러 대책을 세웠고 이는 다음과 같다.
--------------------------------------
복무 기간 단축
휴대폰 지급, 교육 기회 확대 및 미 육군 제도 벤치마킹
마일리지 제도
모집제도의 보완, 군복무경력 증명서
--------------------------------------
위와 같은 대책들은 실현가능한 대책들로, 실제로 시행될 경우, 장병들의 동기부여에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러한 대책들의 제한점은 타 기업에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예를 들면, 복무 기간 단축이나 휴대폰 지급, 군복무경력 증명서의 경우 일반 기업에 적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군대와 일반 회사는 근본적으로 그 성격이 다르기 때문이다. 군대는 회사에 비해 폐쇄적이고 구성들의 행동 또한 많이 제약 된다. 또한 동기부여의 효과도 일반 기업에 비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데, 그 이유는
회사의 경우 구성원들이 그 회사에 취직을 하고 싶어 하며, 열심히 일하려는 동기를 가지고 회사에 입사하지만 군대의 경우, 입대하고 싶지 않지만 국방의 의무 때문에 어쩔 수 없이 군복무를 하게 되는 것이다.
하지만 몇몇 대책의 경우 회사에도 적용 가능하며 실제로 회사에서 많이 적용하고 있다. 교육기회의 확대와 마일리지제도에 녹아있는 원리가 그렇다. 회사 내에서 임금 등의 외부적인 보상 외에 자기 발전을 도모할 수 있도록, 교육기회를 꾸준히 제공함으로써 구성원들의 동기부여를 유도하는 사례들이 많다.
또한 마일리지제도에 녹아있는 목표설정이론(Goal setting theory)을 회사 업무 곳곳에 적용함으로써 동기부여를 유도할 수 있다.
우리가 제시한 대책들을 실제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많은 시간과 노력, 금액이 필요할 것이다. 물론, 어떤 사람들은 이러한 요인 때문에, 굳이 지금의 제도를 개혁할 필요가 있냐고 반문할 수도 있다. 하지만, 군생활의 만족도, 동기부여는 군대의 전투력으로 이어지며 궁극적으로는 국방력과 큰 상관관계가 있다는 것을 잊지 말아야한다. 또한, 좀 더 개선된 대책은 군대 내에서의 자살 사고를 줄일 수 있다. 현재 군대 내에서의 자살 사고는 2008년부터 2012년 6월까지 매년 증가해, 총 368명의 병사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개선된 대책이 단 한명의 병사의 생명을 구할 수만 있다면 그 대책을 시행하는 의의는 충분하다고 볼 수 있다.
우리가 제시한 대책들을 통해 요즘 동해 미사일 발사 등으로 긴장이 고도화 된 한반도 정세 속에서 군대내의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이를 통한 병사들의 사기진작과 능률상승으로 전시체제인 우리나라의 국방력에 더욱 힘이 보태졌으면 한다.
Source : 출처 및 참고자료
1. 군대조직의 인사고과 승진과 관계특성이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이복우, 1998
------------------------------------------
2. 군대조직의 구조적 특성에 관한 연구, 국방연구 민진, 2010
------------------------------------------
3. 육군 신세대 병사 군 복무 동기부여 방안, 경북대학교 행정대학원 임영봉, 2007
------------------------------------------
4. 영화 용서 받지 못한 자, 윤종빈, 2005
------------------------------------------
5. 군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병사의 정신건강, 자아존중감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2008년 12월, 정신간호학회지 제17권 제4호
------------------------------------------
6. 고졸취업자의 고용 이행지원을 위한 병역제도개선 방안 김현수김종우박효선
------------------------------------------
7. http://blog.daum.net/mma9090/6127
------------------------------------------
8. 육군 모집센터 http://www.goarmy.mil.kr/sub_soldier/sub_soldier.jsp
------------------------------------------
9. 뉴스와이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422&aid=0000013890
소개글